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506번째 줄: | 506번째 줄: | ||
|- | |- | ||
| colspan="7" | {{글씨 색|red|'''<!>'''}} 이민자는 지구에서 온 주거자의 총칭으로 지구 외 행성 출신 주거 인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투자 현황 또한 지구의 자본만 표기하고 있습니다. | | colspan="7" | {{글씨 색|red|'''<!>'''}} 이민자는 지구에서 온 주거자의 총칭으로 지구 외 행성 출신 주거 인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투자 현황 또한 지구의 자본만 표기하고 있습니다. | ||
|} | |||
---- | |||
{| class="wikitable" width="100%" style="font-size: 85%;" | |||
{|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font-size: 85%;" width="100%" | |||
| colspan="5" | {{여백|2em}}[[파일:09e709ba3890b066d0b27c7c8553f2a0 icon.png|22px]] '''!@#$%^&*()_+\/?우주정거장''' | |||
|- | |||
| colspan="5" | 테라포밍 시설이 제대로 주거 시설 역할을 할 때까지 인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축된 우주정거장 (5) | |||
|- | |||
! 이민 계획 | |||
! colspan="2" | 착수 계획 | |||
! 이주 현황 | |||
! 시설 현황 | |||
|- | |||
| | |||
<div> | |||
*{{국기그림|유엔 평화유지군}} 2075: 시험 거주 | |||
*{{국기그림|미국}} 2078: 거주 계획 | |||
*{{국기그림|러시아}} 2079: 거주 계획 | |||
*{{국기나라 그림|1280px-Flag of Europe.svg.png}} 2079: 거주 계획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2079: 거주 계획 | |||
*{{국기그림|인도}} 2080: 거주 계획 | |||
*{{국기그림|일본}} 2081: 거주 계획 | |||
*{{국기그림|프랑스}} 2082: 거주 계획 | |||
*{{국기그림|한국}} 2082: 거주 계획 | |||
*{{국기그림|캐나다}} 2083: 거주 계획 | |||
*{{국기나라 그림|720px-Flag of Brazil.svg.png}} 2084: 거주 계획 | |||
*{{국기그림|유엔 평화유지군}} 2085: 대규모 이주 계획 | |||
</div> | |||
| | |||
<div> | |||
*{{국기그림|유엔 평화유지군}} 2043: 인구 수용 우주시설 계획 | |||
*{{국기그림|유엔 평화유지군}} 2048: 설계 완료 | |||
*{{국기그림|미국}} 2061: 본체 건설 | |||
*{{국기그림|러시아}} 2063: α모듈 건설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2070: ω모듈 건설 | |||
*{{국기그림|미국}} 2071: β모듈 건설 | |||
*{{국기나라 그림|1280px-Flag of Europe.svg.png}} 2071: γ모듈 건설 | |||
*{{국기그림|러시아}} 2072: δ모듈 건설 | |||
*{{국기그림|일본}} 2073: ε모듈 건설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2074: ψ모듈 건설 | |||
*{{국기나라 그림|1280px-Flag of Europe.svg.png}} 2076: ζ모듈 건설 | |||
*{{국기그림|인도}} 2077: η모듈 건설 | |||
*{{국기그림|미국}} 2077: θ모듈 건설 | |||
</div> | |||
| | |||
<div> | |||
*{{국기그림|한국}} 2078: ι모듈 건설 | |||
*{{국기그림|프랑스}} 2079: κ모듈 건설 | |||
*{{국기그림|러시아}} 2079: λ모듈 건설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2082: χ모듈 건설 | |||
*{{국기나라 그림|1280px-Flag of Europe.svg.png}} 2089: μ모듈 건설 | |||
*{{국기그림|미국}} 2092: ξ모듈 건설 | |||
*{{국기그림|일본}} 2094: ο모듈 건설 | |||
*{{국기그림|러시아}} 2095: π모듈 건설 | |||
*{{국기그림|인도}} 2099: ρ모듈 건설 | |||
*{{국기그림|캐나다}} 2100: σ모듈 건설 | |||
*{{국기나라 그림|720px-Flag of Brazil.svg.png}} 2105: τ모듈 건설 | |||
*{{국기그림|한국}} 2112: υ모듈 건설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2120: φ모듈 건설; 완공 | |||
</div> | |||
| | |||
<div> | |||
*{{국기나라|미국}} 11.2K | |||
*{{국기나라|러시아}} 9.4K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중국]] 30.6K | |||
*{{국기나라|인도}} 12K | |||
*{{국기나라|일본}} 6.5K | |||
*{{국기나라|프랑스}} 3K | |||
*{{국기나라|한국}} 5.9K | |||
*{{국기나라|캐나다}} 4.6K | |||
*{{국기나라 그림|720px-Flag of Brazil.svg.png}} [[브라질]] 5.2K | |||
*{{국기그림|유엔 평화유지군}} 기타 50K | |||
* 총 138.4K | |||
</div> | |||
| | |||
<div> | |||
*[[파일:Civilian_factories.png|22px|민간공장]] [[파일:Army experience.png|18px]][[파일:Army experience.png|18px]] | |||
*[[파일:Rocket site.png|22px|로켓발사대]] [[파일:Army experience.png|18px]][[파일:Army experience.png|18px]][[파일:Army experience.png|18px]][[파일:Army experience.png|18px]][[파일:Army experience.png|18px]] | |||
*[[파일:Nuclear Reactor.png|22px|전력시설]] [[파일:Army experience.png|18px]][[파일:Army experience.png|18px]][[파일:Army experience.png|18px]][[파일:Army experience.png|18px]][[파일:Army experience.png|18px]] | |||
</div> | |||
|- | |||
| colspan="5" | {{글씨 색|red|'''<!>'''}} 이민자는 지구에서 온 주거자의 총칭으로 지구 외 행성 출신 주거 인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투자 현황 또한 지구의 자본만 표기하고 있습니다. | |||
|} | |} |
2019년 1월 2일 (수) 22:07 판
세계관 범위
![]() | ||||||
1차 우주 거주 프로젝트의 표적 천체로 지정되어 지구 외의 인류 거주 천체 중 가장 가깝다. 인류의 우주 전초 기지로써 우주 교통의 중심지로 발달했다. | ||||||
이민 계획 | 착수 계획 | 투자 현황 | 이주 현황 | 시설 현황 | ||
---|---|---|---|---|---|---|
<!> 이민자는 지구에서 온 주거자의 총칭으로 지구 외 행성 출신 주거 인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투자 현황 또한 지구의 자본만 표기하고 있습니다. |
![]() | ||||||
1차 우주 거주 프로젝트의 표적 천체로 지정되어 지구 외의 인류 거주 천체 중 가장 크다. 철과 황화물이 주로 석출되며, 이를 바탕으로 제조업이 발달해 있다. | ||||||
이민 계획 | 착수 계획 | 투자 현황 | 이주 현황 | 시설 현황 | ||
---|---|---|---|---|---|---|
<!> 이민자는 지구에서 온 주거자의 총칭으로 지구 외 행성 출신 주거 인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투자 현황 또한 지구의 자본만 표기하고 있습니다. |
![]() | |||||
화성과의 충돌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해체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나오는 자원은 지구로 운반되어왔다. | |||||
이민 계획 | 착수 계획 | 투자 현황 | 이주 현황 | 시설 현황 | |
---|---|---|---|---|---|
|
|||||
<!> 이민자는 지구에서 온 주거자의 총칭으로 지구 외 행성 출신 주거 인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투자 현황 또한 지구의 자본만 표기하고 있습니다. |
![]() | ||||||
화성의 중력이 테라포밍으로 증강된 덕분에 화성 중력에 안착되었다. 따라서 2차 우주 거주 프로젝트 표적 천체가 되었다. 화성의 관문으로서 교통의 중심지로 빛나고 있다. | ||||||
이민 계획 | 착수 계획 | 투자 현황 | 이주 현황 | 시설 현황 | ||
---|---|---|---|---|---|---|
<!> 이민자는 지구에서 온 주거자의 총칭으로 지구 외 행성 출신 주거 인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투자 현황 또한 지구의 자본만 표기하고 있습니다. |
![]() | ||||||
갈릴레이 테라포밍 프로젝트의 첫 산물로 화성 다음으로 큰 인류 외권 주거지이다. 외곽이라 대외산업은 크게 발달되어 있지 않지만 자급자족을 위해 자체산업은 크게 발달되어 있다. (주로 툰드라 기후~빙설 기후) | ||||||
이민 계획 | 착수 계획 | 투자 현황 | 이주 현황 | 시설 현황 | ||
---|---|---|---|---|---|---|
<!> 이민자는 지구에서 온 주거자의 총칭으로 지구 외 행성 출신 주거 인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투자 현황 또한 지구의 자본만 표기하고 있습니다. |
![]() | ||||||
갈릴레이 테라포밍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 시기부터 우주 개발 자금이 적자를 기록했다. (주로 툰드라 기후~빙설 기후) | ||||||
이민 계획 | 착수 계획 | 투자 현황 | 이주 현황 | 시설 현황 | ||
---|---|---|---|---|---|---|
<!> 이민자는 지구에서 온 주거자의 총칭으로 지구 외 행성 출신 주거 인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투자 현황 또한 지구의 자본만 표기하고 있습니다. |
![]() | ||||||
신 테라포밍 프로젝트의 표적이 된 천체이다. 수자원의 주 원산지다. | ||||||
착수 계획 | 투자 현황 | 비고 | ||||
---|---|---|---|---|---|---|
십 수년 안에 기념비적 성과가 없으면 테라포밍 포기령이 내려올 수 있다. 테라포밍에 성공하면 수증기 분출이 일어나는 엔셀라두스나 세레스와 같은 첸체의 테라포밍도 기대해 볼 수 있다. | ||||||
<!> 이민자는 지구에서 온 주거자의 총칭으로 지구 외 행성 출신 주거 인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투자 현황 또한 지구의 자본만 표기하고 있습니다. |
![]() | ||||||
신 테라포밍 프로젝트의 표적이 된 천체이다. 상당히 큰 규모의 위성으로 대규모 인류 거주지로 유력하다. | ||||||
착수 계획 | 투자 현황 | 비고 | ||||
---|---|---|---|---|---|---|
성과가 좋으면 레아 등 다른 위성의 테라포밍 및 인류 주거 프로젝트가 확정된다. | ||||||
<!> 이민자는 지구에서 온 주거자의 총칭으로 지구 외 행성 출신 주거 인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투자 현황 또한 지구의 자본만 표기하고 있습니다. |
![]() | ||||
테라포밍 시설이 제대로 주거 시설 역할을 할 때까지 인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축된 우주정거장 (5) | ||||
이민 계획 | 착수 계획 | 이주 현황 | 시설 현황 | |
---|---|---|---|---|
<!> 이민자는 지구에서 온 주거자의 총칭으로 지구 외 행성 출신 주거 인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투자 현황 또한 지구의 자본만 표기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