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글씨 크기|17|'''상세'''}} | *{{글씨 크기|17|'''상세'''}} | ||
고대부터 생귀오파지, 혈귀 등으로 불리던 미지의 바이러스. 현대에는 혈식증, 흡혈 증후군으로 민간에 불리우는 신경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밝혀졌다. 자외선 파장에 굉장히 민감해, 강력한 빛이 있으면 바이러스의 활동이 줄어들며 감염자의 상태가 일시적으로 호전된다. 그러나 어둠이 강할 수록 바이러스의 활동이 촉진되어 환자의 상태가 급속히 나빠지게 된다. | |||
혈식증에 걸린 환자는 수시간 이내로 심각한 갈증을 느끼다가 어느 시점을 지나면 이성을 잃고 인간 혹은 동물의 혈액에 대한 광적인 집착을 하게 된다. 이를 '흡혈 발작'이라하며 현대 의학으로는 혈식증 환자의 흡혈 발작을 막을 수 있으나 혈식병의 완치는 불가하다. | 혈식증에 걸린 환자는 수시간 이내로 심각한 갈증을 느끼다가 어느 시점을 지나면 이성을 잃고 인간 혹은 동물의 혈액에 대한 광적인 집착을 하게 된다. 이를 '흡혈 발작'이라하며 현대 의학으로는 혈식증 환자의 흡혈 발작을 막을 수 있으나 혈식병의 완치는 불가하다. |
2024년 5월 31일 (금) 22:53 판

[ 펼치기 • 접기 ]
| |||
![]() |
血食症 / Hematophagy
혈액을 섭취하려는 강력한 충동이 드는 신경 바이러스.
- 상세
고대부터 생귀오파지, 혈귀 등으로 불리던 미지의 바이러스. 현대에는 혈식증, 흡혈 증후군으로 민간에 불리우는 신경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밝혀졌다. 자외선 파장에 굉장히 민감해, 강력한 빛이 있으면 바이러스의 활동이 줄어들며 감염자의 상태가 일시적으로 호전된다. 그러나 어둠이 강할 수록 바이러스의 활동이 촉진되어 환자의 상태가 급속히 나빠지게 된다.
혈식증에 걸린 환자는 수시간 이내로 심각한 갈증을 느끼다가 어느 시점을 지나면 이성을 잃고 인간 혹은 동물의 혈액에 대한 광적인 집착을 하게 된다. 이를 '흡혈 발작'이라하며 현대 의학으로는 혈식증 환자의 흡혈 발작을 막을 수 있으나 혈식병의 완치는 불가하다.
기원이 명확하진 않으나 기록상으론 알렉산드로스 제국의 원정군이 이 병으로 몰살 된 것이 처음으로 나오며, 지중해권 신화에서 생귀오파트렘이라는 혈식증 환자와 유사한 종족이 등장한다.
혈식증 환자중 증상이 심하지 않고 대신 혈액에 대한 집착이 강한 보균자를 고대부터 '베르세르크라 불렀다. 베르세르크는 역사 동안 7차례 수면 위로 등장하였으며 등장때 마다 대규모 전염 사태를 일으켰기에 항상 템플 기사단과의 혈악 대전을 치뤘다. 제4차 혈악 대전 이후 베르세르크들이 모인 감염자 집단인 '사냥꾼'을 형성해 자체적인 조직을 보유하고 있다.
- 혈생학 / 혈마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