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per117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Ripper117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 |- |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공식 명칭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공식 명칭 |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 [[파일:독일어 아이콘 (CLBI).png|18px|link=]]독일어. Reichskommissariat Turkestan<br>• [[파일:영어 (영국) 아이콘 (CLBI).png|14px|link=]][[파일:영어 (미국) 아이콘 (CLBI).png|14px|link=]]{{글씨 크기|9|영어. Reich Commissariat of Turkestan}}<br>• [[파일:중국어 아이콘 (CLBI).png|14px|link=]]{{글씨 크기|9|중국어. 突厥斯坦总督辖区}}<br>• [[파일:한국어 아이콘 (CLBI).png|14px|link=]]{{글씨 크기|9|한국어. 투르케스탄 국가판무관부}}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 [[파일:독일어 아이콘 (CLBI).png|18px|link=|테두리]]독일어. Reichskommissariat Turkestan<br>• [[파일:영어 (영국)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파일:영어 (미국)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글씨 크기|9|영어. Reich Commissariat of Turkestan}}<br>• [[파일:중국어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글씨 크기|9|중국어. 突厥斯坦总督辖区}}<br>• [[파일:한국어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글씨 크기|9|한국어. 투르케스탄 국가판무관부}}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역사 | ! colspan="2"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역사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 | |- |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전신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전신 |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정체성상 전신'''<br>[[파일:독일 국방군 기 1 (CLBI).svg|18px|link=]] [[소련 군정청 (CLBI)|소련 군정청]]/투르케스탄 임시군사행정지역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정체성상 전신'''<br>[[파일:독일 국방군 기 1 (CLBI).svg|18px|link=|테두리]] [[소련 군정청 (CLBI)|소련 군정청]]/투르케스탄 임시군사행정지역 | ||
|- | |- |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후신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후신 | ||
57번째 줄: | 57번째 줄: | ||
|- | |- |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화폐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화폐 |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파일:독일국 기 1 (CLBI).png|18px|link=]] 라이히스마르크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파일:독일국 기 1 (CLBI).png|18px|link=|테두리]] 라이히스마르크 | ||
|- | |- |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경제권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경제권 | ||
65번째 줄: | 65번째 줄: | ||
|- | |- |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독립성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독립성 |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파일:독일국 기 1 (CLBI).png|18px|link=]] [[대독일국 (CLBI)|대독일국]]의 자치 국가판무관부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파일:독일국 기 1 (CLBI).png|18px|link=|테두리]] [[대독일국 (CLBI)|대독일국]]의 자치 국가판무관부 | ||
|- | |- | ||
| colspan="2" | | | colspan="2" | |
2024년 8월 1일 (목) 13:01 판
[[틀:다크모드]]
안내: 제이위키의 다크모드 지원 확장으로 이 틀은 기능을 잃었습니다. 사용 중이신 문서에서 제거 바랍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프로젝트 디스코드 • ![]() |
투르케스탄 국가판무관부 | |||||||||||||||||||||||||||||||||||||||||||||||||||||
---|---|---|---|---|---|---|---|---|---|---|---|---|---|---|---|---|---|---|---|---|---|---|---|---|---|---|---|---|---|---|---|---|---|---|---|---|---|---|---|---|---|---|---|---|---|---|---|---|---|---|---|---|---|
1943년 1월 1일 ~ | |||||||||||||||||||||||||||||||||||||||||||||||||||||
파일:투르케스탄 국가판무관부 기 1 (CLBI).png | |||||||||||||||||||||||||||||||||||||||||||||||||||||
국기 | |||||||||||||||||||||||||||||||||||||||||||||||||||||
이름 | |||||||||||||||||||||||||||||||||||||||||||||||||||||
|
개요
역사
설명 |
출처 |
정치
참고
비고(Obsidian)
누리 킬리길의 투르케스탄 군단은 산악 배경의 전투 작전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였고 국방군의 손실을 상당 감소시켰다.
투르케스탄 군단 창설에 기여한 누리 킬리길은 카민스키가 판무관 자격을 박탈 당한 것과 달리 명예 아리아인으로 인정받고 민족국가판무관이라는 특수한 직책을 임명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