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per117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Ripper117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 | |- |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출생지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출생지 |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파일:아일랜드국 기 1 (CLBI).png|16px|link=|테두리]] [[아일랜드국 (CLBI)|아일랜드국]]/[https://en.wikipedia.org/wiki/Kilkenny 킬 체이니]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파일:에이레 켈틱 연방 기 1 (CLBI).png|16px|link=|테두리]] [[에이레 켈틱 연방 (CLBI)|에이레 켈틱 연방]]/[[파일:아일랜드국 기 1 (CLBI).png|16px|link=|테두리]] [[아일랜드국 (CLBI)|아일랜드국]]/[https://en.wikipedia.org/wiki/Kilkenny 킬 체이니] | ||
|- | |- |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국적 | ! width=4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국적 | ||
55번째 줄: | 55번째 줄: | ||
! width=20% rowspan="3"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군이력 | ! width=20% rowspan="3"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군이력 | ||
! width=2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복무 | ! width=2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복무 |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아일랜드군 (CLBI)|아일랜드군]]/지상전군 <font color="#7f7f7f"><sup>2052년 ~ 2056년</sup></font>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파일:아일랜드군 상징 1 (CLBI).svg|16px|link=]] [[아일랜드군 (CLBI)|아일랜드군]]/지상전군 <font color="#7f7f7f"><sup>2052년 ~ 2056년</sup></font> | ||
|- | |- | ||
! width=2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부대 | ! width=2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부대 |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서양 작전사령부/제15 야전사단/그로즈윅스 전단<br><font color="#7f7f7f"><sup>2052년 ~ 2053년</sup></font><br>서양 작전사령부/제15 야전사단/제77 여단전투단<br><font color="#7f7f7f"><sup>2053년 ~ 2056년</sup></font>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파일:아일랜드군 상징 1 (CLBI).svg|16px|link=]] 서양 작전사령부/제15 야전사단/그로즈윅스 전단<br><font color="#7f7f7f"><sup>2052년 ~ 2053년</sup></font><br>[[파일:아일랜드군 상징 1 (CLBI).svg|16px|link=]] 서양 작전사령부/제15 야전사단/제77 여단전투단<br><font color="#7f7f7f"><sup>2053년 ~ 2056년</sup></font> | ||
|- | |- | ||
! width=2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최종계급 | ! width=2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최종계급 |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아일랜드 지상군 하사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파일:아일랜드군 상징 1 (CLBI).svg|16px|link=]] 아일랜드 지상군 하사<br>[[파일:에이레 켈틱 연방 기 1 (CLBI).png|16px|link=|테두리]] 에이레 연방 육상군종 하사 | ||
|- | |- | ||
! width=20% rowspan="2"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사이력 | ! width=20% rowspan="2"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사이력 | ||
! width=2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근무 | ! width=2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근무 |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기디언 아우터 파트너 컨트랙트 (CLBI)|기디언 - OPC]]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파일:기디언 아우터 파트너 컨트랙트 로고 1 (CLBI).svg|30px|link=]] [[기디언 아우터 파트너 컨트랙트 (CLBI)|기디언 - OPC]] | ||
|- | |- | ||
! width=2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소속 | ! width=20% style="background:#0a0909; color:#fff; border:1px solid #280d0d;" | 소속 |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레반트 공동경비대 이라크 지원전단 (CLBI)|LJSF - 이라크 지원전단]] | | style="background:#1a1a1a; color:#e4e4e4; border:1px solid #280d0d;" | [[파일:레반트 국제 합동 경비 안보위원회 기 1 (CLBI).png|16px|link=|테두리]] [[레반트 공동경비대 이라크 지원전단 (CLBI)|LJSF - 이라크 지원전단]] | ||
|- | |- | ||
|} | |} |
2024년 8월 26일 (월) 13:53 판
Tooltip text

[[틀:다크모드]]
안내: 제이위키의 다크모드 지원 확장으로 이 틀은 기능을 잃었습니다. 사용 중이신 문서에서 제거 바랍니다.![]() |
[ 펼치기 · 접기 ]
|
|
드리즈 | |||||||||||||||||||||||||||||||||||
---|---|---|---|---|---|---|---|---|---|---|---|---|---|---|---|---|---|---|---|---|---|---|---|---|---|---|---|---|---|---|---|---|---|---|---|
2037년 ~ | |||||||||||||||||||||||||||||||||||
![]() | |||||||||||||||||||||||||||||||||||
CLBI: 크림슨 레더 기준 | |||||||||||||||||||||||||||||||||||
프로필 | |||||||||||||||||||||||||||||||||||
이름 | |||||||||||||||||||||||||||||||||||
|
개요
별명 드리즈로 더 알려진 쇼 번은 애넥도트 크림슨 레더의 등장인물이자 주역이다.
애넥도트 이전
2037년 겨울, 장남이 운명한 잉글랜드계 가정에서 차남으로 태어난 쇼, 당시의 이름은 션이었다. 그는 중산층 가정에서 다른 이들과 비교할 때 매우 안정적이고 화목한 유년 시기를 보냈다.
잉글랜드의 독립주의 행동가였던 조부의 영향으로, 쇼는 가정 내에서 반아일랜드 사상과 잉글랜드 민족주의 교육을 받았고, 그로 인해 어렸을 때부터 사람들과 갈등을 빚으며 아일랜드 사회에 적응하기 몹시 힘들었다.
17살 때에 연루된 인종 간 폭행 사건으로 재판부로부터 국적 박탈과 국외 추방이 거론되는 위기에 처했으나[2], 가족과 친척의 도움으로 사사나로 강제 이주하는 정도의 조건으로 유예될 수 있었다. 이후 정계에 진출한 친부로부터 절연과 개명을 요구받았고, 이 이후로 바뀐 이름이 쇼 번이다.
룬런에서 지역 출판사의 보조 편집자로 일하면서 얻은 수익과 모친이 간간이 보내오는 생활비로 수도 외곽의 작은 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했고, 졸업 후에는 인맥에 의해 아일랜드 측 사사나 계엄총무부에서 하급 사관의 서리로 근무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호재도 잠시, 곧 모친이 결핵에 걸려 투병 중이라는 소식을 전해 듣게 된다.
그의 당시 근무 현황과 발전 가능성을 미뤄본다면 2년 후 그는 내무군 보급관으로의 편입 신청 자격이 발생하며, 하사 계급을 부여받을 수 있는 최적의 형편에 있었으나, 모친의 극적인 건강 악화로 인해 치료를 늦출 수 없었기에 급히 퇴역하고 입대를 결정하게 된다.[3]
인간관계
가족(오 슐라반 가)
- 형 | 미상
션이 태어나기도 전에 사망한 형제, 가족이 해주는 옛날 이야기에서만 간간히 접한 인물로, 사적으로 아는 사이가 아니기에 감상이 없다. - 부친 | 타이그 오 슐라반(Tadhg Ó Súilleabháin)
아일랜드의 수도인 킬 체이니에서 좌익 정치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타이그와는 청소년기 이후로 절연하여 목소리도 기억나지 않으며, 왕래나 연락도 전혀 없었기에 별다른 감상은 없으나, 과거 폭행 사건 재판에서 자신을 도와준 것에 큰 감사함을 가지고 있다. - 모친 | 쉴라 니 슐라반(Síle Ní Shúilleabháin)
드리즈 이전에 아들을 잃은 경험으로 션을 각별히 사랑했고, 복잡한 가정사로 인해 절연한 상황에서도 가족들 몰래 개명한 쇼에게 안부를 묻는 편지를 보내거나 멀리서 많은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기에, 드리즈 또한 그녀의 헌신에 진심 어린 감사를 느끼며 병원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 당시 자신이 이룬 모든 것을 제쳐두고 입대를 선택했다. - 조부 | 리엄 오 슐라반(Liam Ó Súilleabháin)
이전 HMMLR에 소속되어 잉글랜드 무장 독립 운동에 참여했던 리엄은 봉기가 완전히 실패하자 이름을 바꾸고 잠적했으며, 이후 가정을 이루고 아일랜드에 완전히 정착했다. 아일랜드에 대한 엄청난 증오와 반감을 가지고 있었으나, 어린 시절 션에게 과거 이야기를 해주며 불평하는 정도에서 그쳤으나, 션은 그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여 반사회적인 가치관을 가지게 되었기에 그를 원망하는 부분이 있다.
사회적 인간관계
애인 | 바이너(Byner)
이전 룬런에 위치한 지역 출판사에서 근무하던 당시, 드리즈는 사내 연애로 바이너와 만남을 시작했다. 그가 계엄총무부에서 근무를 시작하면서 두 사람은 동거를 시작했으나, 그가 입대를 결정하면서 바이너의 곁을 떠났다. 그러나 그녀가 그곳에서 계속 지낼 수 있도록 줄곧 월세를 지불하고 있다. 데이팅을 이어오면서도 그녀의 제대로된 법적 성명에 대해 의문을 가져본 적이 없기에, 여태껏 바이너라고만 부르고 있다. 드리즈와 같은 성분의 잉글랜드계 아일랜드인이다.
참고
비고(Obsidian)
외부 문서
- ↑ 개신교 관련 종교 행사에 참여한 것이 확인 되었으며 아미시 출신이라는 전언이 있지만 정확히 침례회인지 재침례파인지 확실하지 않다.
- ↑ 이인종이 아일랜드 본토 인종을 대상으로 하는 증오 범죄가 절대로 용인될 수 없음을 선전하기 위해 잉글랜드계인 쇼의 폭행 사건은 철저한 처벌을 목적으로 처리되었다.
- ↑ 21세기 기준, 끊임없는 국경전과 국지전, 소규모 봉기, 폭동 등으로 인해 군대의 유지는 국가 존속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되었고, 크고 작은 부상으로 의무대를 가득 채운 병사들을 신속히 처리하고 전장으로 재배치하기 위해서, 그리고 이들의 복지와 병사들이 느껴야 할 사회적 우월감에 따른 계급 차별 유지를 위해 병원이나 진료소와 같은 공공 의료 시설은 정규군 복무자 본인과 직계 가족들을 대상으로 제한적인 진료권과 우선권을 발급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