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돈 이데아포비아

금태자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7월 7일 (월) 22:23 판 (새 문서: {{이데아포비아 테마}} {{보일제목:<span style="text-shadow: 0px 0px 5px #FFFFFF; color: #FFFFFF; padding: 15px;">아바돈<big></big><span style="font-size: 20px"> 이데아포비아</span></span>}} 분류:이데아포비아 <br><br> ---- <br> <div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20px;">'''아바돈'''</div> <div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2px;">Abaddon</div> <br> ---- <br> {|class="wikitable" style="width: 300px; border: 2px solid #C0C0C0; margi...)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문서 열람 시 세계관 특성 상 극도록 혐오스럽거나 잔혹하고 민감한 요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저작자는 등장하는 특정 집단, 개인, 사상을 지지하거나 찬양하지 않습니다.
[ 트리거 목록 열기 ]
동물 살해, 살인, 자살 및 자해, 약물사용, 음주 및 흡연, 욕설, 폭행, 고문, 신체훼손, 시체훼손, 식인, 납치, 병리학적 정신증상
가정폭력, 존속살해, 오컬트, 공포, 고어 및 그로테스크, 가스라이팅, 왕따, 광과민성 요소, 멀미를 유발하는 요소, 흉기 및 총기
전쟁범죄, 차별, 신체변형, 교통사고, 강제화된 사상 및 행동



 







아바돈
Abaddon






“ Ὄνομα αὐτῷ Ἑβραϊστὶ Ἀβαδδών, καὶ ἐν τῇ Ἑλληνικῇ ὄνομα ἔχει Ἀπολλύων.
그 이름은 히브리 말로는 아바돈이고 그리스 말로는 아폴리욘이니 곧 파괴자라는 뜻입니다. ”
–요한 계시록 9장 11절

아바돈은 세계를 떠도는 거대한 재앙 중 하나로, 황충(蝗蟲, locust)이라고도 불린다. 아바돈은 일반적인 생물과 달리 금속 기반의 유기체로 레기온(legion)이라는 집단네트워크로 서로 의식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군집 지능 형태의 생물이다.

이들은 거대한 군체를 이루어서 세계 곳곳을 유랑하며, 충분한 유기물이 존재하는 지역을 습격해 대지를 초토화하고 유기물들을 모두 분해해 화학 연료를 얻는 방식으로 생존한다. 그렇기에 이들이 지나간 자리에는 오로지 황폐한 흔적만이 남기에, 아바돈을 두고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아바돈이 형성하는 레기온이라는 집단네트워크는 중앙집중적이지 않고 분산적이기 때문에 모든 아바돈 개체들은 민주적인 토론과 상호 합의적인 방식으로 결론을 도출하고 이에 따라 행동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참여하는데 막대한 정보의 계산과 판단이 필요하므로 아바돈은 정보를 저장할 개체, 계산을 담당할 개체, 그리고 네트워크 교신을 담당할 개체 등으로 여러 개체의 종류가 나뉜다.






Copyright 2025. 금태자. All rights reserved.
이곳을 클릭해 라이선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이데아포비아 라이선스



이데아포비아의 이름으로 창작된 모든 형태의 지적재산(이하 "본 저작물")은 금태자(이하 "저작자")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저작자는 본 세계관과 관련된 모든 저작권, 사용권, 편집권을 포함한 일체의 권리를 소유합니다. 본 저작물에 대한 어떠한 제3자의 권리 주장도 인정되지 않으며, 저작자의 허가 없이 복제, 배포, 전송, 전시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본 저작물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설정, 역사, 문화, 종교, 철학, 지리, 정치 체계 등 세계관 전반.
  • 고유 용어, 개념, 명칭 및 독창적인 표현.
  • 캐릭터, 사건, 조직 등 본 저작물에 기반한 모든 서사적 요소.
  • 고유한 특징을 가진 이미지, 음악, 영상 등.

위 각 항목에 해당하는 저작물에 대한 절대적 권리는 저작자에게 있으며, 개인적인 감상 및 비공유 목적으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자의 명시적 허가 없이 본 저작물의 요소를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할 수 없으며, 본 저작물을 기반으로 한 2차적 저작권, 상표권, 기타 지식재산권의 등록 또한 금지됩니다.

비상업적 2차 창작(팬아트, 팬픽션 등)은 저작자의 원칙을 준수하는 한에서 허용될 수 있으나, 공식 설정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이를 수익화하는 행위(예: 후원, 광고 게재)는 원 저작자의 권리를 침해한다고 판단될 경우, 저작자는 경고 후 민·형사상 법적 대응을 취할 권리를 가집니다. 또한, 본 저작물에 기반한 설정, 문서, 창작물 등을 저작자의 허가 없이 재배포하거나 수정·배포할 수 없습니다. 출판, 영상화, 게임화 등 본 저작물을 활용한 프로젝트 또한 저작자의 사전 승인 없이 진행할 수 없습니다.

저작자가 직접 발표한 설정만이 공식 설정으로 인정되며, 제3자가 창작한 콘텐츠는 비공식 설정으로 간주됩니다. 공식 설정과 충돌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저작자는 해당 창작물이 비공식적 성격임을 명확히 밝힐 것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대한민국 저작권법 및 국제 저작권 협약(베른 협약 등)에 의해 보호됩니다. 무단 사용이 적발될 경우, 저작자는 사전 경고 없이도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피해 금액 산정을 포함한 민·형사상 대응을 진행할 권리를 가집니다. 저작자의 동의 없이 본 저작물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 해당 창작물의 삭제 및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저작자의 허가를 받은 경우 저작자가 허가한 영역에 한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저작물을 제작할 권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

문서 작성에 사용된 위키미디어 및 CSS 문법, 제이위키에 작성된 문서 자체의 디자인에 대해서는 제이위키의 CC-BY-SA 3.0을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