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종 (조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div style="width:100%;text-align:left;font-size:12px;word-spacing:1px;border-top:1px solid rgba(158,8,33,.5);border-bottom:1px solid rgba(158,8,33,.5);padding:15px 25px;color:rgba(235,193,82,.6);font-family:Chosunilbo_myungjo, ChosunSm;font-weight:500; background:#9e0821;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rgba(0,0,0,0.2) 0%, rgba(0,0,0,0) 50%, rgba(0,0,0,0.2) 100%);text-shadow:0px 0px 2px rgba(0,0,0,0.35);">
<div style="width:100%;text-align:left;font-size:12px;word-spacing:1px;border-top:1px solid rgba(158,8,33,.5);border-bottom:1px solid rgba(158,8,33,.5);padding:15px 25px;color:rgba(235,193,82,.6);font-family:Chosunilbo_myungjo, ChosunSm;font-weight:500; background:#9e0821;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rgba(0,0,0,0.2) 0%, rgba(0,0,0,0) 50%, rgba(0,0,0,0.2) 100%);text-shadow:0px 0px 2px rgba(0,0,0,0.35);">
<div style="font-size:13.5px;letter-spacing:1px;margin-bottom:10px;color:rgba(235,193,82,.8);">1. 생애</div>
<div style="font-size:13.5px;letter-spacing:1px;margin-bottom:10px;color:rgba(235,193,82,.8);">1. 생애</div>
1421년(세종 3), 6살에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그러고부터 1423년(세종 5), 1425년(세종 7) 지금으로 치면 초등학생 나이에 세종을 대신해 명나라 사신들에게 하마연을 베풀었는데 사신들이 문종의 외모를 보고는 립서비스를 담아 "이 나라는 산수(山水)가 기절(奇絶)하므로 이런 아름다운 인물이 난다."고 찬미하기도 했다. 문종은 체격이 크고 수염이 풍성하여 관우와 같은 풍모를 보였다고 한다. 당대의 미의 기준으로 친다면 비슷한 시기 명나라의 홍희제와 비슷한 외모일수도 있다. 홍희제 역시 잔병치레가 많았지만 어진을 보면 관우와 같이 큰 풍채와 풍성한 수염있는 외모였기 때문. 그밖에도 학문에도 능해 세자 책봉 3년 만인 10살이 되는 1424년(세종 6) 논어를 배우기 시작했고 다음 해에는 바로 맹자를 배우는 등 경서들을 빠르게 익혀나가 세종과 사대부들의 기대를 한껏 높여나갔다.[19] 또한, 어릴때부터 조회와 조계에 세종과 함께 참석해 국정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직접적으로 경험했다.
1441년(세종 23), 문종과 현덕왕후 사이에서 태어나 원손이 되었으며, 이에 세종이 기뻐 2급 이하의 죄수를 사면하는 교지를 발표하였다. 안타깝게도 광종은 태어나자마자 어머니를 잃었는데, 현덕왕후는 광종을 낳고 얼마 안가 숨을 거두고 말았다. 광종 이전에도 문종은 아들을 얻었으나 두 아들 모두 얼마 못가 죽고 말았으니, 광종이 사실상 유일한 아들로 온 왕실의 관심과 보살핌 아래에서 자랐다. 어머니를 잃은 단종을 어머니처럼 보살핀 것은 세종의 후궁인 혜빈 양씨였다. 광종이 막 태어났을 때 단종이 태어나기 얼마 전에 혜빈이 아이를 낳은 상태라 혜빈 양씨가 광종의 유모가 되었다. 혜빈 양씨는 얼마 전 태어난 자신의 아들을 제쳐두고 직접 광종에게 젖을 물렸다고 한다.
 
1448년(세종 30), 6살이 된 광종은 왕세손으로 책봉되었고, 왕실의 체계적인 교육을 받기 시작하였다. 광종은 어릴 때 무척이나 총명했으며 할아버지 세종이 실로 감탄했을 정도였다. 문종과 비슷하게도 논어를 이른 나이에 졸업하고 사서오경을 일찍이 배웠으며, 어릴때부터 조회와 조계에 문종과 함께 참석해 국정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직접적으로 경험했다. 이때까지는 문종이 건강했으나, 광종이 13살이 되던 해부터 문종은 건강이 쇠약해지기 시작했다. 광종이 성년이 다된 1460년(문종 10년)에는 병이 심화되어 광종에게 서서히 정사를 맡기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문종은 자신이 북한산성의 완성을 보기까지는 친정하기를 원했기에 광종에게 많은 일을 맡기지 않았다.
 
1461년(문종 11년)에 이르러 문종의 병이 극심해지자, 광종에게 대리청정을 하도록 하였다. 광종은 대리청정을 매우 우수하게 수행하였는데, 북한산성 축성에 동원된 노역자들을 찾아 격려하기도 하고, 적절한 휴식과 대가를 지급하라고 명하였다.  또한, 직접 수차례 방문하여 불상사가 생기지 않는지 감독하였다. 이러한 정성은 다음 해 탕춘대성을 축성할 때도 똑같이 실시하여 한양 백성들로부터 인망을 얻었다. 그리고 어릴 적부터 잡학에 조예가 깊었던 광종은 대리청정 동안, 독자적으로 관상감을 설치하였는데, 이를 통해서 산학과 천문의 이론적인 연구와 교육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관상감이 설치된 1465년에는 행차하여 관리들의 실력을 직접 시험해보았는데, 광종의 학식이 높아 관리들이 고초를 겪을 정도였다. 그럼에도 관종은 매우 흡족해하여 관리들에게 포상을 내리도록 하였다.
 
1466년(문종 16년)이 되어서 문종의 병이 목숨을 위태롭게하자 광종에게 양위하고자 했으며, 하루는 대신들이 석고대죄하며 반대하였으나, 다음날에 문종의 기력이 쇠한 채로 대신들에게 간청하여 양위하였다. 그러고 문종은 상왕이 되었는데, 10일을 넘기지 못하고 훙서하였다. 그렇게 11년의 왕세자 생활과 5년의 대리청정 끝에 광종은 24살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이때 광종은 원손, 세손, 세자를 모두 거친 최고의 정통성을 가졌으며, 이것은 그 누구도 넘볼 수 없는 것이었고, 그의 왕권도 역시 매우 강하였다.
</div>
</div>
{{광종의 업적}}
{{광종의 업적}}

2023년 12월 15일 (금) 17:30 판

조선 국왕
[ 펼치기 · 접기 ]
추존
목조
태조 4대조
추존
익조
태조 3대조
추존
도조
태조 2대조
추존
환조
태조 1대조
초대
태조
1392 - 1398
2대
정종
1398 - 1400
3대
태종
1400 - 1418
4대
세종
1418 - 1450
5대
문종
1450 - 1466
6대
광종
1466 - 1480
7대
인종
1480 - 1501
8대
성종
1501 - 1529
9대
현종
1529 - 1538
10대
혜종
1538 - 1543
11대
경종
1543 - 1558
12대
명종
1558 - 1581
13대
중종
1581 - 1605
14대
숙종
1605 - 1617
15대
덕종
1617 - 1634
16대
정조
1634 - 1656
17대
단종
1656 - 1660
18대
선종
1660 - 1678
19대
고종
1678 - 1699
20대
헌종
1699 - 1742
21대
철종
1742 - 1745
22대
순종
1745 - 1791
23대
영종
1791 - 1814
24대
성원군
1814 - 1828
조선 국왕 · 조선 총재 · 대한 황제
조선 국왕
[ 펼치기 · 접기 ]
추존
목조
태조 4대조
추존
익조
태조 3대조
추존
도조
태조 2대조
추존
환조
태조 1대조
초대
태조
1392 - 1398
2대
정종
1398 - 1400
3대
태종
1400 - 1418
4대
세종
1418 - 1450
5대
문종
1450 - 1466
6대
광종
1466 - 1480
7대
인종
1480 - 1501
8대
성종
1501 - 1529
9대
현종
1529 - 1538
10대
혜종
1538 - 1543
11대
경종
1543 - 1558
12대
명종
1558 - 1581
13대
중종
1581 - 1605
14대
숙종
1605 - 1617
15대
덕종
1617 - 1634
16대
정조
1634 - 1656
17대
단종
1656 - 1660
18대
선종
1660 - 1678
19대
고종
1678 - 1699
20대
헌종
1699 - 1742
21대
철종
1742 - 1745
22대
순종
1745 - 1791
23대
영종
1791 - 1814
24대
성원군
1814 - 1828
조선 국왕 · 조선 총재 · 대한 황제
조선 6대 국왕
光宗 · 광종
왕세손
1448년 5월 14일 ~ 1450년 9월 5일
세종 30년 4월 3일 ~ 문종 원년 7월 20일
왕세자
1450년 9월 5일 ~ 1466년 6월 14일
문종 원년 7월 20일 ~ 문종 16년 4월 23일
국왕
1466년 6월 14일 ~ 1480년 11월 16일
문종 16년 4월 23일 ~ 광종 14년 10월 6일
상왕
1480년 11월 16일 ~ 1482년 8월 3일
광종 14년 10월 6일 ~ 인종 2년 7월 10일
출생
1441년 8월 18일
세종 23년 7월 23일
즉위
1466년 6월 14일 (24세)
문종 16년 4월 23일
사망
1482년 8월 3일 (40세)
인종 2년 7월 10일
본관
전주 이씨
홍위 · 弘暐
부모
문종 / 현덕왕후
형제자매
1남 2녀 중 장남
왕비
정순왕후
묘호
광종 · 光宗
4대
세종
1418 - 1450
5대
문종
1450 - 1466
6대
광종
1466 - 1480
조선 6대 국왕
光宗 · 광종
왕세손
1448년 5월 14일 ~ 1450년 9월 5일
세종 30년 4월 3일 ~ 문종 원년 7월 20일
왕세자
1450년 9월 5일 ~ 1466년 6월 14일
문종 원년 7월 20일 ~ 문종 16년 4월 23일
국왕
1466년 6월 14일 ~ 1480년 11월 16일
문종 16년 4월 23일 ~ 광종 14년 10월 6일
상왕
1480년 11월 16일 ~ 1482년 8월 3일
광종 14년 10월 6일 ~ 인종 2년 7월 10일
출생
1441년 8월 18일
세종 23년 7월 23일
즉위
1466년 6월 14일 (24세)
문종 16년 4월 23일
사망
1482년 8월 3일 (40세)
인종 2년 7월 10일
본관
전주 이씨
홍위 · 弘暐
부모
문종 / 현덕왕후
형제자매
1남 2녀 중 장남
왕비
정순왕후
묘호
광종 · 光宗
1. 생애

1441년(세종 23), 문종과 현덕왕후 사이에서 태어나 원손이 되었으며, 이에 세종이 기뻐 2급 이하의 죄수를 사면하는 교지를 발표하였다. 안타깝게도 광종은 태어나자마자 어머니를 잃었는데, 현덕왕후는 광종을 낳고 얼마 안가 숨을 거두고 말았다. 광종 이전에도 문종은 아들을 얻었으나 두 아들 모두 얼마 못가 죽고 말았으니, 광종이 사실상 유일한 아들로 온 왕실의 관심과 보살핌 아래에서 자랐다. 어머니를 잃은 단종을 어머니처럼 보살핀 것은 세종의 후궁인 혜빈 양씨였다. 광종이 막 태어났을 때 단종이 태어나기 얼마 전에 혜빈이 아이를 낳은 상태라 혜빈 양씨가 광종의 유모가 되었다. 혜빈 양씨는 얼마 전 태어난 자신의 아들을 제쳐두고 직접 광종에게 젖을 물렸다고 한다.

1448년(세종 30), 6살이 된 광종은 왕세손으로 책봉되었고, 왕실의 체계적인 교육을 받기 시작하였다. 광종은 어릴 때 무척이나 총명했으며 할아버지 세종이 실로 감탄했을 정도였다. 문종과 비슷하게도 논어를 이른 나이에 졸업하고 사서오경을 일찍이 배웠으며, 어릴때부터 조회와 조계에 문종과 함께 참석해 국정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직접적으로 경험했다. 이때까지는 문종이 건강했으나, 광종이 13살이 되던 해부터 문종은 건강이 쇠약해지기 시작했다. 광종이 성년이 다된 1460년(문종 10년)에는 병이 심화되어 광종에게 서서히 정사를 맡기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문종은 자신이 북한산성의 완성을 보기까지는 친정하기를 원했기에 광종에게 많은 일을 맡기지 않았다.

1461년(문종 11년)에 이르러 문종의 병이 극심해지자, 광종에게 대리청정을 하도록 하였다. 광종은 대리청정을 매우 우수하게 수행하였는데, 북한산성 축성에 동원된 노역자들을 찾아 격려하기도 하고, 적절한 휴식과 대가를 지급하라고 명하였다. 또한, 직접 수차례 방문하여 불상사가 생기지 않는지 감독하였다. 이러한 정성은 다음 해 탕춘대성을 축성할 때도 똑같이 실시하여 한양 백성들로부터 인망을 얻었다. 그리고 어릴 적부터 잡학에 조예가 깊었던 광종은 대리청정 동안, 독자적으로 관상감을 설치하였는데, 이를 통해서 산학과 천문의 이론적인 연구와 교육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관상감이 설치된 1465년에는 행차하여 관리들의 실력을 직접 시험해보았는데, 광종의 학식이 높아 관리들이 고초를 겪을 정도였다. 그럼에도 관종은 매우 흡족해하여 관리들에게 포상을 내리도록 하였다.

1466년(문종 16년)이 되어서 문종의 병이 목숨을 위태롭게하자 광종에게 양위하고자 했으며, 하루는 대신들이 석고대죄하며 반대하였으나, 다음날에 문종의 기력이 쇠한 채로 대신들에게 간청하여 양위하였다. 그러고 문종은 상왕이 되었는데, 10일을 넘기지 못하고 훙서하였다. 그렇게 11년의 왕세자 생활과 5년의 대리청정 끝에 광종은 24살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이때 광종은 원손, 세손, 세자를 모두 거친 최고의 정통성을 가졌으며, 이것은 그 누구도 넘볼 수 없는 것이었고, 그의 왕권도 역시 매우 강하였다.

조선 6대 국왕
광종의 업적
[ 펼치기 · 접기 ]
지만사국능부강
혁허개편사부
용술편인
인생제리사성제향
호패법 강화
개인정보의 체계화
16세 이상 남자는 신분무관 호패를 국가가 지급
체탐사 확대
국가정보기관 확보
세종때 체탐인을 아문화하여 규모를 늘리고 여진, 왜, 명, 조선팔도에 대해 정보조사 확대
탐광인 양성
지하자원 개발
팔도의 광맥을 찾아 미리 알고 기록하여 후대에 쉬이 채광할 수 있도록 조사하기 위해 탐광 사업을 할 자를 양성하였다.
국조오례의
국가의례의 성문화
국가의례의 간소화와 명문화를 통한 국가지출 축소

내수사 개혁
왕실재정의 국유화
왕실의 사유재산을 유사시에 국가재정에 포함하도록 하는 법규

내궁부 개설
궁내 업무의 축소
상의원, 내의원, 사옹원등의 궁내업무부서를 혁파하고 지위를 내려 궁내부로 개편함으로써 궁내 지출 축소

대동법
공납의 일원화
특산품 공납 부담이 공평치 않아 목면, 삼베, 곡식으로 지급하게하고 조정에서 공인을 통해 필요 물품을 조달
직전법
전관예우 축소
전직 관리에게도 과전하던 수신전, 휼양전을 혁파하여 누적된 과전부담을 줄여 재정 안정성 완화

보법
군역의 정비
봉족제를 개편하여 호 단위에서 인정단위의 군역으로 정군의 군역을 양인 3정이 면포로써 보필하게 했다.

경비식례횡간
세입 세출의 체계화
세입의 규모와 세출의 규모를 체계화하고 기록함으로써 세출을 줄이고 백성의 납세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하였다.

공용조작식례횡간
세입 세출의 체계화
세입의 규모와 세출의 규모를 체계화하고 기록함으로써 세출을 줄이고 백성의 납세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하였다.
육대로 보수
도로망 확보
파발의 신속함과 상업의 발달을 장려하기 위해 도로는 필수적이기 때문에 육대로를 보수하고 넓혀 수레도 이용하기 쉽도록 하였다.
수레 · 수차
기술 보급
수레를 통해서 운반과 운송을 편히하여 상업과 지역교류를 장려하였고, 병사들의 운반도 쉽게 하도록 하였다. 또한, 수차를 보급하여 가뭄에 대비하고 물을 쉬이 구하여 농업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치구수
가뭄 및 재해 대비
청천강, 대동강, 임진강, 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 재령강, 성천강 이하 아홉개의 강에서 저수지, 둑, 보를 정비하고 이를 통해 가뭄과 기근에 대비하였다. 이를 위해서 거중기, 우수레 등이 개발되어 동원되었다.
판목운하
조운 안전 확보
안흥량은 조운선이 필히 지나야 하는 곳인데 물길이 험악하여 자주 피해를 입었다. 이에 고려대부터 굴포운하를 개척하려 했으나 어려움이 많았으니 판목 운하를 뚫어 안흥량의 조류를 흘러보내어 안전을 확보하고자 한다
선의원 설치
지방양반 의결자문기관
팔도 지방의 양반, 선비를 5년에 한번 200여명 불러들여 의견을 묻는 기관
면리제
지방행정의 세분화
군 아래로 면과 리를 두고 권농관을 두어 관리하게 하였다
십가작통제
지방행정의 세분화
10개의 집을 하나의 통으로 묶어 관리하게 하여 말단행정을 국가에서 통제하려 했다
유향소
수령 견제 지방 기구
악질 향리를 규찰하고 향풍을 바로잡기 위해 지방의 품관들이 조직한 자치기구
知萬事國能富强
정보의 수집은 국가재정의 확대
변방의 안정과 외교의 안정을 위함이다
革虛改偏射富
허례허식을 혁파하고 공정치 못한 것을 고쳐
청렴한 부국을 만들기 위함이다
用術便人
기술을 이용해 일손을 줄여
많은 이를 편히하게 위함이다
人生諸里事成諸鄕
모든 사람은 마을에서 나고
일은 모두 향토에서 이루어지니라
조선 틀 목록
광종
조선 6대 국왕
광종의 업적
[ 펼치기 · 접기 ]
호패법 강화
개인정보의 체계화
16세 이상 남자는 신분무관 호패를 국가가 지급
체탐사 확대
국가정보기관 확보
세종때 체탐인을 아문화하여 규모를 늘리고 여진, 왜, 명, 조선팔도에 대해 정보조사 확대
탐광인 양성
지하자원 개발
팔도의 광맥을 찾아 미리 알고 기록하여 후대에 쉬이 채광할 수 있도록 조사하기 위해 탐광 사업을 할 자를 양성하였다.
국조오례의
국가의례의 성문화
국가의례의 간소화와 명문화를 통한 국가지출 축소
내수사 개혁
왕실재정의 국유화
왕실의 사유재산을 유사시에 국가재정에 포함하도록 하는 법규
내궁부 개설
궁내 업무의 축소
상의원, 내의원, 사옹원등의 궁내업무부서를 혁파하고 지위를 내려 궁내부로 개편함으로써 궁내 지출 축소
대동법
공납의 일원화
특산품 공납 부담이 공평치 않아 목면, 삼베, 곡식으로 지급하게하고 조정에서 공인을 통해 필요 물품을 조달
직전법
전관예우 축소
전직 관리에게도 과전하던 수신전, 휼양전을 혁파하여 누적된 과전부담을 줄여 재정 안정성 완화
보법
군역의 정비
봉족제를 개편하여 호 단위에서 인정단위의 군역으로 정군의 군역을 양인 3정이 면포로써 보필하게 했다.
경비식례횡간
세입 세출의 체계화
세입의 규모와 세출의 규모를 체계화하고 기록함으로써 세출을 줄이고 백성의 납세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하였다.
공용조작식례횡간
세입 세출의 체계화
세입의 규모와 세출의 규모를 체계화하고 기록함으로써 세출을 줄이고 백성의 납세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하였다.
육대로 보수
도로망 확보
파발의 신속함과 상업의 발달을 장려하기 위해 도로는 필수적이기 때문에 육대로를 보수하고 넓혀 수레도 이용하기 쉽도록 하였다.
수레 · 수차
기술 보급
수레를 통해서 운반과 운송을 편히하여 상업과 지역교류를 장려하였고, 병사들의 운반도 쉽게 하도록 하였다. 또한, 수차를 보급하여 가뭄에 대비하고 물을 쉬이 구하여 농업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치구수
가뭄 및 재해 대비
청천강, 대동강, 임진강, 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 재령강, 성천강 이하 아홉개의 강에서 저수지, 둑, 보를 정비하고 이를 통해 가뭄과 기근에 대비하였다. 이를 위해서 거중기, 우수레 등이 개발되어 동원되었다.
판목운하
조운 안전 확보
안흥량은 조운선이 필히 지나야 하는 곳인데 물길이 험악하여 자주 피해를 입었다. 이에 고려대부터 굴포운하를 개척하려 했으나 어려움이 많았으니 판목 운하를 뚫어 안흥량의 조류를 흘러보내어 안전을 확보하고자 한다
선의원 설치
지방양반 의결자문기관
팔도 지방의 양반, 선비를 5년에 한번 200여명 불러들여 의견을 묻는 기관
면리제
지방행정의 세분화
군 아래로 면과 리를 두고 권농관을 두어 관리하게 하였다
십가작통제
지방행정의 세분화
10개의 집을 하나의 통으로 묶어 관리하게 하여 말단행정을 국가에서 통제하려 했다
유향소
수령 견제 지방 기구
악질 향리를 규찰하고 향풍을 바로잡기 위해 지방의 품관들이 조직한 자치기구
조선 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