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독일국 ROUTE TO '76

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다소 난잡하거나 생략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주요국 목록 ]
[ 설정 목록 ]
[ 그 외 ]

대독일국(1935~1942)
Deutsches Reich | Großdeutsches Reich
국기(1936~1942) 국장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하나의 지도자
Ein Volk, Ein Reich, Ein Führer[1]
(1936-1942)

본토 | 식민지 | 점령지
1936년 7월 30일~1942년 3월 15일
(5년 5개월 15일)
독일 재통일 이전 대게르만국 선포 이후
프로이센 왕국 대게르만국
상징
국가
독일인의 노래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역사
[ 펼치기 · 접기 ]
1936년 7월 30일 독일 재통일
1938년 3월 23일 수권법 통과
1938년 4월 17일 국방군 장악
1939년 9월 1일 민족 해방 전쟁 개전
1941년 6월 22일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
1942년 3월 15일 군주제 폐지, 대게르만국 수립
지리
[ 펼치기 · 접기 ]
위치
중부유럽
수도
베를린
영토
독일 (1936~1942)
  • 폴란드 전역 (1939~1942)
  • 덴마크 전역 (1940~1942)
  • 노르웨이 전역 (1940~1942)
  • 베네룩스 전역 (1940~1942)
  • 프랑스 전역 (1940~1942)
  • 세르비아 일부 (1940~1942)
  • 발트 전역 (1941~1942)
  • 벨라루스 전역 (1941~1942)
  • 우크라이나 전역 (1941~1942)
  • 유럽 러시아 일부 (1942~1942)
면적
544,153km²(1940)[2]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74,219,012 (1940년)
민족
게르만족
언어
공용어
독일어
지역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덴마크어, 벨기에
공용문자
로마자
국교
개신교, 카톨릭
군대
독일 국방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 일당독재(1936~1942)
국가 원수
카이저[3]
역대 카이저
빌헬름 2세(1936~1941)
빌헬름 3세(1941~1942)
정부수반
호국경 → 퓌러[4]
행정부
내각
입법부
제국의회
역대 내각
히틀러 내각
경제
[ 펼치기 · 접기 ]
통화
라이히스마르크

개요

"그 때, 마르크스주의에 대항한 투쟁이 이 싸움의 주 목표가 되었습니다. 저는 평범한 한 사람으로서 이 전쟁에 참가하며, 이 역병이 독일인들의 일상에서 완전히 쫓겨날 때까지 절대 쉬지 않기로 맹세했습니다. 오직 하나의 승리자만이 있을 뿐입니다. 마르크스주의, 아니면 독일 국민! 승리자는 독일 국민이 될 것입니다!"

-아돌프 히틀러 '슈포르트팔라스트(Sportpalast) 연설' 中

대독일국(Großdeutsches Reich) 통칭 나치독일(NS-Deutschland)은 1936년부터 1942년까지 유럽에 존재했던 나치당 치하의 독일을 이르는 말이다.

명목상 바이마르 헌법에 따른 통치를 하였으므로 프로이센 왕 체제의 연장선에 있었지만, 실제로는 프로이센 왕국의 민주주의를 없앤 일당독재 국가였다. 당대 스스로를 칭한 국명은 제정이나 스파르타쿠스단과 동일한 독일국(Deutsches Reich)이다.

서론

상징

국호

국기 및 국장

국가

정치

지도자 원리(Führerprinzip)

이중권력

일당독재

경제

군대

역사

행정구역

대외관계

각주

  1. 이는 정식 표어가 아니다. 처음 이 표어가 만들어진 것은 국가의 표어가 아닌 중유럽 동란 당시 선전용으로 만들어진 표어였다. 1935년작 의지의 승리에서도 35분경 Ein Volk, ein Führer, ein Reich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2. 강역
  3. 프로이센의 국왕이 대독일국의 황제직을 겸직
  4. 오스터 계획 이전까지는 빌헬름 2세와 정치적 갈등을 빚다가, 빌헬름 2세가 승하로 인해 정치적 공백이 발생하자마자 황실을 축출해버리며 퓌러로 등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