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계 국가의 공산주의자가 되었다/라노벨



설정 (등장 국가) 등장인물 라이트 노벨 발매 현황
이세계 국가의 공산주의자가 되었다
異世界国家の共産主義者になった
Becoming the Communist of Isekai Nation
장르 이세계 전생, 판타지, 정치
작가 불명
삽화가 불명
번역가 이○○
출판사 ○○○
○○○
○○○
레이블 ○○○
○○○
○○○
발매 기간 ○○○
○○○
○○○
권수 10권 (完) + 외전 5권
10권 (完) + 외전 5권
10권 (完) + 외전 2권

개요

동명의 라이트 노벨인 《이세계 국가의 공산주의자가 되었다》에 대한 문서.

작가와 삽화가는 불명이며, 약칭은 이공되, 이국공, 이쿄오산(イキョウサン)이다.

18살 고등학생이 이세계에 전생되어 한 국가의 지도자이자 서기장에 제안으로 공산주의자가 되고,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전형적인 양판소 세계관의 문법을 따라가지만, 이세계 전생물, 정치물의 성격이 강하다.

줄거리

서기 172년, 사이카 국왕의 정치적 무능함으로 민중들이 들고 일어날 조짐을 보이자, 17살의 레오니프 히나타는 왕정을 무너뜨리기 위해 혁명을 결심한다.
그녀의 혁명은 완전히 성공했고, 새로운 시대를 꿈꾸는 민중들 앞에서 「사회주의 공화국」을 선포, 전 노동자와 민중들을 위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첫 날부터 지각하는 바람에 서둘러 학교에 가려던 고등학생 3학년 마츠모토 메구미.
그러나 우연찮게도 트럭에 치이는 사고를 겪었고, 이세계로 소환된다. 그러나 이 세계는 신이 존재하지 않았던 탓인지, 공산당 본부에 소환되어 버린 것.
당황한 메구미는 이 곳을 탈출할 방법을 찾으려던 순간, 국가지도자이자 서기장인 히나타와 마주친다. 이 때, 히나타는 그녀에게 한 가지 제안을 받는다.
"나랑 같이 공산당에서 함께하지 않을래?"

오랜 고민 끝에 히나타의 제안을 수락한 메구미. 이제, 그녀의 인생 2막이 시작된다.

작품 특징

등장인물

등장인물
인민위원장
레오니프 히나타
공산당 정치국원
마츠모토 메구미
국방위원장
베로니카 알랴쇼프
공산당 정치국원
아나스타샤 예자로프스키
전직 정치국원
일리야 하라코프
공산당 정치국원
스베틀라나 우츠쿠스키
국가안전보위부 위원장
니콜라이 야로슬로비치
군 총사령관
소피아 예비체코프
공산당 정치국원
안드레이 바르실로프
최고회의 상무회 위원장
이오시프 에리나

설정

  • 이세계의 대륙 이름은 플란타리움이며, 해당 작품의 무대가 되는 곳이다. 사이카, 루시타니아, 브라차프카, 아르헨델이 서로 국경을 맞대어 동서남북을 차지한 상태이므로 네 개밖에 없다.
  • 이세계의 특징답게 마법의 개념이 존재하며, 인간, 엘프 등 다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마법은 마법사가 되기 위해 부여하는 방법과, 인간이 태어날 때 부여되는 방법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5% 내외에 지나지 않고, 마법사 역시 만국 공통의 직업이기는 하지만 마왕 토벌이나 퀘스트 진행 외에는 인기가 별로 없다.
  • 이세계 국가들 중에서는 민족의 특징에 따라 여초와 남초가 극명하게 갈린다. 사이카는 46.9 : 100으로 극악의 인구 비율로 인해 극여초 국가로 분류되며, 반대로 아르헨델처럼 남성 비율이 과도하게 높은 경우도 있다. 반면 루시타니아는 성비와 성별 비율 모두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 이세계도 공화정과 군주정이라는 개념이 존재하나, 현재 군주정은 아르헨델과 루시타니아, 공화정은 사이카와 브라차프카가 채택하고 있다.

등장 국가

  • 사이카
    플란타리움 대륙 북서부에 위치한 공화정 국가.
  • 루시타니아
    플란타리움 대륙 남서부에 위치한 왕정 국가.
  • 브라차프카
    플란타리움 대륙 남동부에 위치한 공화정 국가.
  • 아르헨델
    플란타리움 대륙 북동부에 위치한 왕정 국가.

발매 현황

본편

이세계 국가의 공산주의자가 되었다
1권 2권 3권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4권 5권 6권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7권 8권 9권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10권
○○○○년 ○○월 ○○일
○○○○년 ○○월 ○○일

외전

(외전 제목)
1권 2권 3권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4권 5권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여담

  • 실존 인물들과 소련을 모티브로 하는 작품이지만 동시에 공산주의 성향을 보이는 일본의 신좌파(新左翼) 단체들에게는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전국위원회(중핵파)는 "감히 트로츠키와 마르크스를 '모에화'로 희화화할 수 있느냐"며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으며 혁명적마르크스주의파(혁마르파) 또한 출판사에 협박 문자를 보내는 등 상당히 과격한 의견을 보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