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공산당 (Crimson of Dawn)

파일:국회CI.png 대한민국 국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여당

진보민주당
39석 · 278석
신임과 보완

재한중국인 민권을 위한 연맹
0석 · 7석
야당

대한보수당
41석 · 193석

신자유당
3석 · 32석

조선공산당
5석 · 22석

육진독립당
0석 · 13석
무소속 19석 · 5석
재적 107석 · 550석
좌측은 대한민국 상원 의석 수, 우측은 대한민국 입법원 의석 수
조선공산당
朝鮮共産黨 | Communist Party of Korea
약칭
공산당, CPK
창당일
1925년 4월 17일
통합한 정당
무산자 동맹회, 조선노동당
전신
고려공산당
이념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펙트럼
좌익 - 극좌
서기국장
김선동
부서기
이정희
상원 원내대표
박진택
하원 원내대표
서휘창
대한민국 상원
5석 / 113석 (4.4%)
대한민국 입법원
22석 / 550석 (4.0%)
광역자치단체장
0석 / 29석 (0.0%)
당색
빨간색 (#DB0011)
당가
인터내셔널가
국제 조직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당원 수
180,000명 (2020년)
청년 조직
공산당 적색청년단

개요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현재 공산주의 계열 정당중 가장 크고, 한국의 정당중에서도 제일 오래된 역사를 자랑한다.

역사

조선공산당은 1925년 박헌영, 임원근, 김단야 등 소위 말하는 트로이카라고 불리는 인사들이 창당하였다. 1919년 3.1 운동 이후 조선 식민지 내에서 나날이 높아져가는 공산주의의 인기에 수많은 사람들이 공산당의 창당을 소원한 까닭이었다.

조선공산당은 일본제국의 치안유지법으로 수차례 해산, 탄압을 겪었으며, 이로 인해 해산과 재창당을 반복한 시점을 나누어 1차 공산당, 2차 공산당, 3차 공산당, 4차 공산당, 5차 공산당으로 나뉜다. 현재의 공산당은 제5차 공산당에 속한다.

만주 지역에서 항일 유격전을 벌였으며 특히 김일성 장군의 보천보 전투가 매우 유명하다. 1940년 중일 전쟁이 일어나자, 이들은 중국 공산당을 도와 일본을 무찔렀고 태평양 전쟁 당시에는 영국군과 협조하여 한국의 독립을 이끌어내기에 이른다.

해방 이후 대한 사회당과 좌파 계열 정당의 헤게모니를 두고 싸움을 벌였으나 결과는 여운형의 인기에 밀린 조선 공산당의 완패로, 1960년대 이후로는 김일성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공산당의 지지자들이 사회당에 흡수되어 명맥만 유지하는 안쓰러운 상황에 이른다.

그러나 1980년대 김대중 총리의 파격적인 친기업, 반노동 정책으로 노동조합 운동이 힘을 얻게 되자, 조선 공산당은 영남 지역의 공단을 중심으로 부활에 성공했다. 이후로는 신자유당에 밀리긴 하나 조선의 제3지대 정당중에서는 두번째로 큰 규모를 가지고 있는 정당이 되었다.

이념

과거에는 급진적인 공산주의와 스탈린주의를 내세웠으나, 스탈린 사후 스탈린 격하 운동이 일어나자 스탈린주의를 포기하였다. 그러나 박헌영 및 김일성의 개인적인 신념에 따라 권위주의 좌파를 지향하는 노선은 계속 유지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에 들어서는 의회민주주의를 인정하고 자본주의 내에서의 마르크스주의 투쟁을 내세워 노선이 크게 온건화되었다.

민족주의 성향을 보인다는 것도 특징이며, 조선공산당은 강경한 반영, 반불 감정을 대변하는 정당이다. 또한 중국과도 적대하고 있다. 소련과는 비교적 친근한 관계이다.

역대 서기국장

대수 이름 임기 총리 재임 기간 비고
초대 박헌영 (朴憲永) 1947년 5월 1일 - 1956년 5월 3일 작고
제2대 김일성 (金日成) 1956년 5월 4일 - 1984년 4월 30일 작고
제3대 김영남 (金永南) 1984년 4월 31일 - 2002년 5월 1일
제4대 이정희 (李正姬) 2002년 5월 2일 - 2010년 5월 1일 임기 만료
제5대 강병기 (姜炳基) 2010년 5월 2일 - 2018년 5월 1일 임기 만료
제6대 김선동 (金先東) 2018년 5월 2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