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더래이션급 스타 드레드노트


무적 함대 계획
The Invincible Armada Act
페더래이션급 스타 드레드노트 리버티급 스타 크루저 컨커러급 스타 디스트로이어

개요

페더래이션급 스타 드레드노트(Federation-class Star Dreadnought)는 자유 인류 연방이 운용하는 드레드노트스타쉽으로 비스마카 전쟁 시점 인류 연합 해군의 주력 전함이다.

제원

페더래이션급 스타 드레드노트[1]
개발 자유 인류 연방
운용국 자유 인류 연방
프-슐라 협약
설계 및 건조 퍼시픽 중공업
제원
최초 도입 2929년
전장 4.5 km
전폭 2.1 km
전고 611 m
함선 유형 준광속함
엔진 1급 이온 엔진 4기
점프 드라이브 엔진 2기
최대속력 0.6 LS(약 6억km/h)
항속 거리 최고 속력 기준 2 LY
승무원 108명
쉴드 등급 1등급
주무장 중(重) 파티클 랜스 1기 혹은 중(重) 아크 방출기
부무장 3연장 중(重) 터보레이저 5기, 3연장 중(中) 거점 방어 중(中) 터보레이저 10문
함제기 SC-70 수송기 2기

개발

인류 통일 전쟁에서 주력함에 작은 화력의 포탑을 다수 배치하던 기존의 국제 연합군을 포함한 인류 문명들의 함선 설계 사상이 잘못된다는 것이 들어나면서 신생 인류 연합군은 과거 수상 전함들의 설계 사상이였던 거포, (방어막이 모두 소진된 상태에서)자탄 방호 개념을 부활을 원하였다. 특히 인류 연합 해군펄사급 드레드노트의 장착된 '아크 방출기'에 흥미를 가져 '아크 방출기를 장착하고 이를 장갑만으로 방어가 가능한 전함'을 새로운 전함의 설계 이념으로 삼았다.

하지만 이 사상대로 함선을 제작해보니 아크 방출기가 필요로 하는 엄청난 양의 전력 때문에 선체의 크기가 무지막지하게 커져 여기에 전부 자탄 방호가 가능한 장갑을 장착하면 함선 한 척의 가격이 거의 스타라이트급 스타 드레드노트 함대와 맞먹는 수준이 되어버려 "만약 우리가 이 함선을 운용한다면 유지비로 인해 매달 우리가 이 함선을 보유한 수 만큼의 함선에게 공격받는 수준의 군비 지출이 필요하다."라는 평가까지 나오게 된다.

결국 퍼시픽 중공업은 유지비를 줄이기 위해 '선체 전체 아크 방출기 방호'를 '반응로와 함교 등 집중 방호 구역만 자탄 방호'로 변경하고 반물질 반응로의 반응을 최적화하는 등 여러 노력을 통해 함선의 가격을 기존의 반 값 정도까지 줄이는 쾌거를 달성...하게 되어 이렇게 페더래이션급은 국제 연합의 주력함으로 채택되어 운용되게 된다.

동형함

연방(Federation)이라는 이름 답게 과거 국제 연합을 구성하던 국가들의 영웅이나 상징 등이 함명에 붙은게 특징이다,

  • 1번함 UNS 페더래이션
  • 2번함 UNS 조지 워싱턴
  • 3번함 UNS 퀸 엘리자베스
  • 4번함 UNS 마리아 테레사[2]
  • 5번함 UNS 샤를 드 골
  • 6번함 UNS 야마토
  • 7번함 UNS 쑨원
  • 8번함 UNS 피터 1세[3]
  • 9번함 UNS 비스마르크
  • 10번함 UNS 카밀로 벤소[4]
  • 11번함 UNS 세종대왕
  • 12번함 UNS 존 3세 소비에스키[5]
  • 13번함 UNS 새인트 스테판[6]
  • 14번함 UNS 메흐메드 2세[7]
  • 15번함 UNS 시몬 볼리발[8]
  • 16번함 UNS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
  • 17번함 UNS 콘스탄틴 11세[9]
  • 18번함 UNS 넬슨 만델라
  • 19번함 UNS 징기스 칸[10]
  • 20번함 UNS 칼 12세
  1. UNS 페더래이션 기준
  2. 오스트리아의 군주 마리아 테레지아
  3. 러시아의 군주 표트르 1세
  4. 이탈리아의 재상 카밀로 카보우르
  5. 폴란드의 군주 얀 3세 소비에스키
  6. 헝가리의 군주 이슈트반 1세
  7. 터키의 군주 메흐메트 2세
  8. 남아메리카의 독립 영웅 시몬 볼리바르
  9. 그리스의 군주 콘스탄티노스 11세
  10. 몽골의 군주 칭기즈 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