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신공):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0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신공}}
{{다른 뜻|일본 (동음이의)}}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BC002D; width: 100%; text-align: center"
{{신공 신배너}}
| style="background: radial-gradient(circle, #BC002D 30%, #fff 30%); color: #ffffff" | '''[[파일:Imperial_Seal_of_Japan.png|23px]] 일본제국 관련 틀'''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AF001F; width: 100%;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AF001F; color: #DCA600" | [[파일:Imperial_Seal_of_Japan.png|23px]] '''일본 관련 둘러보기 틀'''
|-
|
<div class="mw-customtoggle-2452344"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2452344"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10.5pt; background:#fff; color:#000;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style="border:none;" |
{{동아시아의 국가 (신공)}}
----
{{G20}}
----
{{G7}}
----
{{G2}}
----
{{UN 상임이사국}}
----
|-
|}</div></div>
|}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AF001F; max-width:470px; color:#000; float:right;"
|-
! colspan="2" style="width:470px; 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large|대일본제국}}<br>大日本帝國 <nowiki>|</nowiki> Empire of Japan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1723"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언어별 명칭'''</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1723"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style="background:#ddd; color:#000;" | 조센어
| 일본, 대일본제국
|-
! style="background:#ddd; color:#000;" | 다이완어
| 日本, 大日本帝國
|-
! width=30% style="background:#ddd; color:#000;" | 중국어
| 日本, 大日本帝國<br>{{글씨 크기|9.5|ㄉㄚˋ ㄖˋ ㄅㄣˇ ㄉㄧˋ ㄍㄨㄛˊ}}
|-
! style="background:#ddd; color:#000;" | 영어
| Empire of Japan
|-
|}</div></div>
|-
! rowspan="3" width=50% style="background:#efefef; height:150px;" | [[파일:신공 일본 국기.png|150px]]
! style="background:#efefef; height:110px;" | [[파일:Imperial Seal of Japan.png|90px]]
|-
!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황실 문장
|-
! style="background:#efefef; height:110px;" | [[파일:고시치노카리.svg|90px]]
|-
!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국기
!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정부 문장
|-
| align=center colspan="2" style="color:#AF001F;" | '''八紘一宇<br>팔굉일우''' {{글씨 크기|9.5|(1926 - )}}
|-
| align=center colspan="2" style="color:#AF001F;" | '''天皇陛下万歳<br>천황 폐하 만세''' {{글씨 크기|9.5|(1989 - )}}<ref>[[쇼와 천황 (신공)|쇼와 천황]]의 붕어 직후 정해진 표어이다.</ref>
|-
! colspan="2"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상징물
|-
| colspan="2" |
{| class="wikitable" style="color: #000; margin: -5.5px -10px; text-align: left; width: calc(100% + 20px);"
|-
! width=30%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황실 찬가
| [[임금님의 치세]] (君が代)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민간 국가
| [[바다에 가면]] (海行かば)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국조
| [[일본 꿩]]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국화
| [[국화]], [[벚꽃]]
|-
|}
|-
! colspan="2"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역사
|-
| colspan="2" | • '''진무 덴노의 즉위''' [[기원전 660년]] [[2월 11일]]<br>• '''대정봉환''' [[1867년]] [[11월 9일]]<br>• '''대일본제국 헌법 시행''' [[1890년]] [[11월 29일]]
|-
! colspan="2"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지리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1"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1"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width=30%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수도
| rowspan="2" | [[도쿄도 (신공)|도쿄도]] (東京都)<br>{{글씨 크기|9.5|북위 35° 41′ 22″ 동경 139° 41′ 30″}}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최대도시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면적
| 676,983.9km<sup>2</sup> <nowiki>|</nowiki> '''세계 49위'''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접경국
| [[파일:소련 국기.png|28px]] [[소련]]<br>[[파일:만주국_국기.svg|28px]] [[만주 (신공)|만주]]
|-
|}</div></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인문환경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2"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2"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rowspan="5"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인구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총
| 2억 5,843만 6,243명 <nowiki>|</nowiki> '''세계 5위'''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인구 밀도
| {{#expr: 258436243 / 676983 round 2 }}명/km<sup>2</sup>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민족 구성
| 일본인 96.4%<br>중국인 2.2%<br>다이완 원주민 0.3%<br>기타 1.1%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출산율
| 1.63명 <sup>(2021년)</sup>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기대수명
| 84세 <sup>(2021년)</sup>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공용어
| [[일본어]]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지역어
| [[조센어]], [[류큐어]], [[다이완어]], [[객가어]], [[만주어]], [[중국어]], [[포르투갈어]], [[말레이어]]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공용문자
| [[가나]], [[한자]]
|-
! row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종교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국교
| '''없음''' (정교 분리, 사실상 [[국가신토]])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분포
| [[불교]] 34.2%<br>[[기독교]] 1.1%<br>기타 3.2%<br>무종교 61.5%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군대
| [[일본군]]
|-
|}</div></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정치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4"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4"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정치 체제
| [[입헌군주제]], [[양원제]], [[양당제]], [[의원내각제]], [[단일국가]]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민주주의 지수
| 8.85점 <nowiki>|</nowiki> {{글씨 색|#008000|'''완전한 민주주의'''}}<br>(168개국중 13위, 아시아 1위)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국성
| [[일본 황실]]<ref>천황은 신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성을 가지지 않는다.</ref>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천황 (국가 원수)
| [[나루히토]]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내각총리대신<br>(정부 수반)
| [[모테기 도시미쓰]]
|-
! rowspan="3"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정부<br>요인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부총리
| [[고노 다로 (신공)|고노 다로]]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참의원 의장
| [[세키구치 마사카즈]]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중의원 의장
| [[호소다 히로유키]]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입법부
| [[일본 국회]] ([[참의원 (신공)|참의원]]·[[중의원 (신공)|중의원]])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집권 여당
| {{자민당}}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연립 여당
| {{공명당}} {{남방의당}}
|-
|}</div></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경제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5"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5"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 경제]]
|-
! row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GDP<br>(PPP)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총
| $24조 6,597억 2,787만 <nowiki>|</nowiki> '''세계 1위'''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1인당
| $95,419 <nowiki>|</nowiki> '''세계 4위'''
|-
! row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GDP<br>(명목)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총
| $23조 9,322억 2,984만 <nowiki>|</nowiki> '''세계 1위'''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1인당
| $92,604 <nowiki>|</nowiki> '''세계 5위'''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국부
| $156조 5,933억 4,922만 <nowiki>|</nowiki> '''세계 1위'''
|-
! row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수출<br>입액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수출
| $1조 9,943억 5,330만 <nowiki>|</nowiki> '''세계 1위'''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수입
| $2조 3,263억 2,699만 <nowiki>|</nowiki> '''세계 1위'''
|-
!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외환보유액
| $4조 3,672억 1,280만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신용 등급
| '''무디스''' Aaa<br>'''S&P''' AA+<br>'''Fitch''' AAA
|-
! rowspan="5"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통화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화폐
| 일본 엔(¥, 円)
|-
! style="background:#fff; color:#DE2910;" | 홍콩
| 홍콩 달러(HK$) <sub>HKD</sub>
|-
! style="background:#00785D; color:#fff;" | 마카오
| 마카오 파타카(MOP$) <sub>MOP</sub>
|-
! style="background:#e81b2c; color:#fff;" | 싱가포르
| 싱가포르 달러(S$) <sub>SGD</sub>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ISO 4217
| JPY
|-
! rowspan="2"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국가<br>예산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1년 세입
| $3조 5,362억 2,810만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1년 세출
| $4조 2,245억 7,750만
|-
|}</div></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단위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6"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6"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width=30%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도량형
| SI단위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통행 방향
| 우측통행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연호
| [[레이와 시대|레이와]](令和)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시간대
| GMT+08:00~09:00 (JST)
|-
|}</div></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외교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7"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7"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width=30%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유엔 가입
| [[1956년]]
|-
! style="background:#fbfbfb; color:#AF001F;" | 수교국
| 192개국
|-
|}</div></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ccTLD
|-
| align=center colspan="2" | '''.jp'''
|-
! colspan="2"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국가 코드
|-
|-
|
| align=center colspan="2" | '''392, JPN, JP'''
{| class="sor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1px; width: 100%"
|+
| {{G20}}
|-
|-
| {{G7}}
! colspan="2"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국제 전화 코드
|-
|-
| {{G2}}
| align=center colspan="2" | '''+81'''
|-
|-
| {{UN 상임이사국}}
! colspan="2" style="width:470px; 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파일:Imperial Seal of Japan.png|20px]]
|-
|-
|}
|}
{| class="wikitable" style="float:lef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AF001F; color:#000;"
|-
| style="width:450px;" | [[파일:신공 대일본제국 위치2.png|450px]]
|-
!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위치
|-
|}
|}
{{목차}}
== 개요 ==
[[동아시아]]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신국가정보
== 상세 ==
| 외곽선색      = #BC002D
GDP(명목/PPP) 규모 1위, 세계 수출입량 1위, 민주주의 지수 13위 등을 기록하여 전세계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명실상부한 선진국이자 [[미국]]과 함께 G2를 이끌어가고 있는 대표적인 '''초강대국'''이다.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상징적 국가 원수인 천황은 [[나루히토]]이고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정부 수반인 내각총리대신은 [[모테기 도시미쓰]]이다.
| 국가색        = #ffffff
| 국가글색      = #BC002D
| 아이콘        = Imperial_Seal_of_Japan.png
| 다른이름      = 일본<br>日本
| 다른이름색    = #BC002D
| 이름          = {{글씨 색|#BC002D|대일본제국}}
| 현지이름      = 大日本帝國
| 현지이름칸색  = #ffffff
| 현지이름색    = #BC002D
| 국기          = Flag_of_Japan.png
| 국기이름      = 일장기
| 국장          = Imperial_Seal_of_Japan.png
| 국장이름      = 일본제국의 국장
| 국가          = [[기미가요|임금님의 치세 (君が代)]]
| 국화          = [[벚꽃]]
| 국조          = [[일본 꿩]]
| 표어          = 5개조의 서약문 (五箇條の御誓文)
| 지도          = 일영.png
| 지도크기      = 400px
| 지도설명      = 일본제국의 영토
| 수도          = [[도쿄]]
| 수도좌표      = 북위 35° 41′ 22.4″ 동경 139° 41′ 30.2″
| 최대도시      = [[도쿄]]
| 최대도시좌표  = 북위 35° 41′ 22.4″ 동경 139° 41′ 30.2″
| 면적          = 707,545
| 인물A직책1    = 일본제국 천황
| 인물A1        = [[메이지 덴노]] 무쓰히토
| 인물A날짜1    = 1868년 10월 23일 ~ 1912년 7월 29일
| 인물A2        = [[다이쇼 덴노]] 요시히토
| 인물A날짜2    = 1912년 7월 30일 ~ 1926년 12월 24일
| 인물A3        = [[쇼와 덴노]] 히로히토
| 인물A날짜3    = 1926년 12월 25일 ~ 1989년 1월 7일
| 인물A4        = [[헤이세이 덴노]] 아키히토
| 인물A날짜4    = 1989년 1월 8일 ~ 2019년 4월 30일
| 인물A5        = [[레이와 덴노]] 나루히토
| 인물A날짜5    = 2019년 5월 1일 ~
| 사건1        = 보신 전쟁
| 사건날짜1    = 1868년 1월 27일
| 사건2        = 메이지 유신
| 사건날짜2    = 1868년 10월 23일
| 사건3        = 만주 진공작전
| 사건날짜3    = 1943년 9월 18일
| 사건4        = 쇼와 데모크라시
| 사건날짜4    = 1955년 3월 1일
| 사건5        = 레이와 천황 즉위
| 사건날짜5    = 2019년 5월 1일
| 인구          = 213,292,123
| 인구년도      = 2019
| 민족          = 일본인 66.3%<br>조선인 24.4%<br>중국인 6.4%<br>기타 2.9%
| 민족년도      = 2019
| 인구밀도      = 301.4
| 밀도년도      = 2019
| 출산율        = 1.62명
| 출산년도      = 2019
| 기대수명      = 81세
| 기대수명년도  = 2019
| 성비          = 49.5 : 50.5 (여초)
| 인간개발지수  = 0.891 (Very High)
| 공용어        = [[일본어]]
| 국민어        = [[일본어]]
| 지역어        = [[조선어]], [[중국어]]
| 공용문자      = [[가나]], [[한자|칸지]]
| 문해율        = 90.3%
| 문해년도      = 2016
| 종교          = 신토 34.3%<br>불교 33.5%<br>기독교 10.1%<br>무종교 22.1%
| 종교년도      = 2017
| 군대          = 일본제국군
| 행정구역1    = 도도부현
| 행정구역내용1 =
| 행정구역2    = 시정촌
| 행정구역내용2 =
| 행정구역3    = 도,
| 행정구역내용3 = [[도쿄|도쿄도]], [[게이조|케이조부]], [[오사카|오사카부]], [[교토|교토부]]
| 특수구역1    = 자치현
| 특수구역내용1 = [[오키나와]]
| 정치체제      = [[민주제]], [[입헌제]], [[군주제]], [[내각제]], [[성문헌법]]
| 입법부        = [[일본제국 귀족원]] (상원)<br>[[일본제국 중의원]] (하원)
| 민주주의지수  = 7.86
| 국가원수1    = [[레이와 덴노 나루히토]]
| 국가원수명칭1 = 덴노
| 정부요인1    = [[스가 요시히데]]
| 정부요인명칭1 = 내각총리대신
| 정부요인2    = [[모테기 도시미쓰]]
| 정부요인명칭2 = 부총리 / 재무대신
| 정부요인3    = [[고노 다로]]
| 정부요인명칭3 = 총무대신
| 정부요인4    = [[이나다 도모미]]
| 정부요인명칭4 = 외무대신
| 정부요인5    = [[모리 마사코]]
| 정부요인명칭5 = 법무대신
| 정부요인6    = [[기시다 후미오]]
| 정부요인명칭6 = 방위대신
| 정부요인7    = [[기시 노부오]]
| 정부요인명칭7 = 내각관방장관
| 여당          = {{둥근상자|[[자유민주당 (일본)|{{글씨 색|#fff|자유민주당}}]]|#fff|#E50038|#E50038}}
| 연립여당      = {{둥근상자|[[국민민주당 (일본)|{{글씨 색|#fff|국민민주당}}]]|#fff|#09236D|#09236D}}
| 경제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명목전체      = $14,895,681,993,951 (2위)
| 명목일인      = $69,837
| PPP전체      = $16,780,544,484,902 (2위)
| PPP일인      = $78,674
| 수출          = $126,926,800
| 수입          = $73,048,321
| 외환          = $1,123,223,938,210
| 신용          = 무디스 A1<br>S&P A+<br>Fitch A
| 화폐          = 일본 엔(JPY, ¥, 円)
| 세입          = $1,958,115,235,643
| 세출          = $2,233,229,271,321
| 지니계수      = 0.321
| 도메인        = .jp
| 국가코드      = 392, JPN, JP
| 전화코드      = +81
| 연호          = 레이와(令和)
| UTC_시차      = +9 (일본 표준시)
| 도량형        = SI 단위
| 날짜형식      = yyyy-mm-dd
| 통행방향      = 오른쪽 (좌측통행)
| 전압주파수    = 100 50 / 60
}}
'''대일본제국'''({{llang|ja|大日本帝国|다이닛폰데이코쿠}}, {{lang|ja|だいにっぽんていこく|다이닛폰데이코쿠}}), 약칭 '''일본'''(日本, {{llang|ja|日本|니혼}}, {{lang|ja|にっぽん|닛폰}})은 [[메이지유신]]으로 건국되어, 일본열도와 타이완섬,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는 동아시아의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메이지유신 이전에는 고대에 야마토 왕정이 존재했으며, 이후 헤이안 시대와 전국시대를 거쳐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전국이 통일되었고 에도 막부 시대에 근대 자본주의가 발전되었다. 에도막부 이후 미국과 수교로 근대화가 진행되는 와중에 메이지 유신이 발발하여 구막부세력과 천황옹립파의 전쟁인 보신전쟁이 일어났다. 1895년 타이완섬을, 1910년 조선을 차지하며 국제 열강으로 빠르게 진입했고 [[제2차 세계대전]]에서 [[중화민국]]을 상대로 승리해 승전국으로 만주 지역을 손에 넣었다. 이후에는 UN 창립을 주도하였으며 1947년에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맡게 되었다. 1983년에 소련을 추월하고 경제력 2위로 올라섰다.
본래 일본은 일본 열도의 혼슈 섬 일대만을 거느리던 봉건제 국가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1867년 [[대정봉환]]을 통한 덴노로의 권력 복구와, 뒤이은 [[메이지 유신]]을 통하여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개화된 국가로 부상하였다. 이를 통해 비(非)서구권의 최초이자 마지막 제국주의 국가가 될 수 있었다. 이후 1895년 [[일청전쟁]]을 통해 [[다이완 섬]]을 합병하고, 1910년 [[경술일선합병조약]]을 통해 [[조선]]과 조선이 거느리던 [[조센 반도]]를 자국의 영토로 두었다. 현재와 같은 영토가 형성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을 통해 독일 제국의 태평양 식민지들을 자국의 영토로 편입하면서이다.


정치적으로는 양원제 의원내각제인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일본국 헌법 제1조에 따라 일본국의 상징이며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이자 동시에 국가원수의 직무를 맡는 천황과, 국민의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일본제국 귀족원]](상원), [[일본제국 중의원]](하원)으로 구성되는 일본 국회가 병존한다. 정부의 수반은 국회의원 가운데에서 선출되는 내각총리대신이 맡으며, 일본의 총리대신은 국가행정의 책임자로서 내각부를 구성하고 중앙성청을 지휘한다. 현재의 천황은 나루히토, 국회의 집권여당은 [[자유민주당 (일본)|자유민주당]]이며 총리는 [[스가 요시히데]]이다.
1932년부터 1951년까지 약 20년간 군인들이 정치를 장악하는 등의 정치적인 혼란이 있었으나, 1950년대 이후로는 [[51년 체제]]라고 하여 [[일본사회당 (신공)|사회당]]이 주도하는 좌익 세력과 [[자유민주당 (일본)|자민당]]이 주도하는 우익 세력의 안정된 보혁 양당구도가 자리잡고 있다.


경제적으로 선진국이며, GDP로 세계 2위, PPP 세계 2위, 금 보유고 세계 3위, 국제통화기금(IMF) 투표권 세계 2위, 유네스코 예산 분담 비율 세계 1위, 주요 선진국 회담인 G7과 G2, G20의 회원국, 세계 주식시장 2위,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인 TPP 주도국, 대외순자산 세계 1위, 아시아개발은행(ADB) 설립국이자 주도국, UN 분담금 세계 3위, 2020년 GFP 군사력 세계 3위 등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2020년 기준으로 미국과 더불어 두개 뿐인 초강대국으로 분류된다.
민주주의, 기술, 경제, 그리고 국민의 삶의 질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세계적인 우위를 구축하고 있는 강대국이다. 일본의 통화인 [[일본 엔]]만 하더라도 세계 통화 거래량의 3~4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기축통화이다. [[UN]]을 비롯한 여러가지 국제 조약과 기구에 가입되어있으며, 비 서구권 국가중 유일한 G7의 회원국이자,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주도국, 아시아개발은행(ADB) 설립국 등의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 상징물 ==
== 상징 ==
=== 국가 ===
=== 국호 ===
{{본문|기미가요}}
일본의 공식적인 국호는 '''대일본제국'''(大日本帝國)이다. 그러나 대일본제국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1940년대이며, 그 이전에는 대일본국(大日本國), 일본국(日本國), 일본제국(日本帝國), 대일본(大日本) 등의 일관되지 않은 표현들이 서류 상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1940년대 초반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들어 대일본제국(大日本帝國)으로 정하고 국제적인 조약 및 서류에서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현재와 같은 명칭이 굳어지게 되었다.
=== 국기 ===
{{본문|일장기}}
== 역사 ==
{{본문|일본의 역사}}
일본의 역사는 보통 [[일본 열도]]의 역사와 동일시되지만 엄밀히 ‘일본’이라는 국호는 8세기 전반에 성립한 것이기 때문에 일본의 역사와 일본 열도의 역사를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는 논란이 있다.


일본의 역사의 시대 구분은 고고학과 역사학 구분으로 나뉜다. 고고학에서 시대 구분은 구석기 시대(선토기 시대), 조몬 시대, 야요이 시대, 고훈 시대, 그리고 역사 시대로 일반적으로 나누는 한편, 역사학 상에서 시대 구분은 일반적으로 고대(아스카 시대 및 그 이전 ~ [[헤이안 시대]]), 중세([[가마쿠라 시대]], [[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 근세(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에도 시대), 근현대([[메이지 시대]]·[[다이쇼 시대]]·[[쇼와 시대]], [[헤이세이 시대]])이다.
약칭으로는 '''일본'''(日本)과 '''일본제국'''(日本帝國)이 주로 사용된다. 일본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전인 아스카 시대에는 '''왜국'''(倭國)이 공식적인 명칭이었으며, 701년의 다이호 율령 반포 당시 왜국의 명칭이 일본으로 바뀌었다. 그 외에는 '''야마토'''(大和)라는 명칭도 대중적으로 널리 쓰이는 일본의 별칭(別稱)이다.
=== 고대 ===
일본 열도의 인류의 역사는 약 10만 년 전에서 약 3만 년 전 사이에 시작되었다. 당시의 일본 열도는 아시아 대륙과 붙어있었기 때문에 [[시베리아]]나 [[화베이]] 일대의 [[몽골]] 인종과의 문화 교류가 이루어졌다. 유라시아 대륙과 연결되어 인류의 왕래가 이루어진 일본 열도는 최후 간빙기를 거치면서 약 1만 2천 년 전에 대한해협(현해탄)과 쓰가루 해협의 생성과 함께 유라시아 대륙에서 완전히 분리되었지만, 그 후에도 일본 열도와 대륙 간의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져 일본 열도도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 문화권에 점차 편입되는 한편 동북아시아 지역의 최동단에 있다는 지리적 요인에 따라 다소 이질적인 문화가 발달하게 되었다.


기원전 8세기 경 이후 대륙으로부터 벼농사를 중심으로 한 문화 양식이 전해지면서 각지에 '무라', '구니'와 같은 정치 조직이 천천히 형성되어 1세기 ~ 2세기 전후에는 각 구니의 연합체로서 왜국이라는 대규모 정치 조직이 출현했다. 이 연합 정치 조직은 3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야마토 정권으로 발전했다. 그러다 663년 [[백제 부흥 운동]]에서 [[백제]]를 도왔다가 신라와 [[당나라]]에 패배하고 백제의 지배 계층이 대량 유입되어 7세기 후반 한자 문화권에 본격적으로 흡수되어 중국식 법체계, 사회 제도를 급속도로 받아들여 8세기 초 고대 율령 국가 체제가 완성되기에 이르렀다. 이 시기 일본은 수나라, 당나라나 [[신라]], [[발해]] 들과 교류 이후 주변국으로부터 많은 문화를 받아들였고, 이를 바탕으로 10세기에서 11세기 사이에 장원을 중심으로 한 봉건 체제를 바탕으로 귀족 문화를 형성하였으며 귀족들의 세력 투쟁 사이에서 발달한 [[사무라이]] 계층은 13세기 이후 가마쿠라 막부를 세워 정치적 주도권을 잡았다. 한편으로는 무로마치 시대에서 센고쿠 시대까지 명나라에 조공을 행하였으며 쇼군 가문인 아시카가 씨가 [[명나라]] 천자로부터 일본 국왕으로서 책봉을 받기도 하였다.
국제적으로는 일본국(日本國)의 중국식 발음이었던 지펀구를 [[마르코 폴로]]가 라틴 문자로 옮긴 Zipangu가 '''Japan'''이라는 단어로 변형되어 보통 일본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 일본 측의 공식적인 명칭은 '''Empire of Japan'''이며, 드물게 '''Empire of Great Japan''' 혹은 '''Greater Japanese Empire'''라는 표현도 사용된다.
=== 중세 ===
15세기 ~ 16세기에는 15세기 후반에 등장한 센고쿠 [[다이묘]] 세력에 의한 지방 자치 체제의 형성이 급속도로 진전되었다가 16세기 후반에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의 주도 하에 통일 정권을 수립하기에 이루러 근세로 이행하였다. 또 이 시기에 [[홋카이도와]] 지시마(쿠릴), 가라후토([[사할린]])의 에조치를 점령함으로써 국가로서의 일본의 영토 범위 또한 넓어지게 되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정권의 뒤를 이은 근세의 에도 막부는 바쿠한(幕藩) 체제 밑에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신분을 고정하고, 기독교 금지를 구실로 쇄국(鎖國)을 행하고, 후에는 유교적 교화(敎化)도 이용하면서 전국 지배를 강화했다. 평화의 지속은 교통·상공업의 발전과 시정인(市井人)의 대두, 화폐 경제의 성립, 다수의 도시 출현을 촉진시켰고, [[에도]]와 [[오사카]]를 중심으로 [[겐로쿠 문화]](元祿文化), [[화정기]](化政期)의 문화를 번성케 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5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 대에 에도 막부는 겐로쿠 호황이라고 부르는 최대의 전성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겐로쿠]]와 [[쇼토쿠 시대]]의 짧은 호황을 지나면서 견고했던 막부 체제는 점차 모순을 드러냈고 19세기 중엽 서양 제국주의 국가들의 침략과 교류 과정을 거치면서 [[에도 막부]]는 붕괴, 근대로 이행하게 된다.
=== 근대 ===
[[파일:조선총독부.jpg|200px|왼쪽|썸네일|1955년까지 조선 식민지 통치기관이었던 조선총독부 건물 (현 게이조부청사)]]
에도 막부의 붕괴 이후 메이지 유신을 맞이한 일본은 근대 국가의 건설을 빠르게 추진하였다. 이와 함께 인접국들과의 국경 확정을 행하여 가라후토 지역을 러시아 제국에 양도하는 대신 지시마 열도([[쿠릴 열도]]) 전역을 일본령으로 하였고, 난세이 제도와 류큐국은 류큐 처분을 통해 실효적인 지배력을 확보하여 지금의 일본 영토 범위가 거의 확정되었다. 한편으로는 자유 민권 운동이 이루어져 1885년 내각 제도가 성립하고, 1889년에는 일본 제국 헌법을 제정하여 이듬해인 1890년 중의원 총선거를 실시해 제국의회를 설치함으로써 명목 상의 입헌 국가가 되었다. 이와 함께 20세기 초반까지 제국주의적인 국제 정세 속에서,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을 통해 [[조선]](대한제국), 타이완, 미나미카라후토([[사할린 섬]] 남부)를 강제 합병하고 상하이 등 중국의 주요 도시에 조차지를 설치하는 등 주변국 침략에 뛰어들었다.메이지 시대 이후부터 일본에서는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통해 정당 정치와 보통 선거가 실현되기도 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제국을 상대로 선전포고, 태평양의 재해권을 장악하였으며, 1929년 세계 대공황 당시 경제가 침체되기도 하였으나 1941년 [[제2차 세계대전]]에서 중화민국을 상대로 선전포고하고 [[만주진공작전]]으로 만주를 손에 넣음으로서 동아시아 패권국의 위치를 강화하였다. 또한 1935년 쇼와군혁이라 불리는 군내 개혁 운동으로 해군과 육군의 갈등을 비롯한 여러 군대의 병폐를 없애고 조선 총독에 문관 총독을 임명하였으며, 무타구치 렌야, 도조 히데키 등 부적격 판정을 받은 군인을 강제 지위 해제시켜 문민통제를 강화하였다. 1945년 중일 강화회의에 따라 괴뢰국인 [[만주국]]을 설립하고 중국을 사실상 속국화시켰다. 1947년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 이후 [[국제연합]] 창설을 주도하여 [[소련]], [[미국]], [[영국]], [[프랑스]]와 함께 5대 상임이사국으로 진출했다.
=== 국기 ===
{{본문|일장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order:2px solid #AF001F; color:#000;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
! colspan="2" style="background:#AF001F; color:#DCA600;" | [[파일:Imperial Seal of Japan.png|20px]] 대일본제국의 법정 국기<br>{{large|일장기 <nowiki>|</nowiki> 히노마루}}<br>日章旗 <nowiki>|</nowiki> 日の丸
|-
| colspan="2" | [[파일:신공 일본 국기.png|300px]]
|-
| width=50%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F001F; color:#DCA600; font-size: .9em">'''빨간색 (#AF001F)'''</span>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1px solid #000;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color:#000; font-size: .9em">'''하얀색 (#FFFFFF)'''</span>
|-
|}
일본의 공식적인 국기인 '''일장기'''(日章旗)는 일본 민족의 상징으로서 수천년간 사용되어온 깃발이었다. 공식적인 국기로 채택된 것은 메이지 3년(1870년) 2월 27일의 일이다. 하지만 [[가마쿠라 시대]] 때부터 일장기와 디자인이 유사한 [[니시키노미하타]]가 사용되어왔기 때문에 일본을 상징하는 요소로서 일장기가 사용되어온 기간은 가늠할 수 없이 길다. 공식적인 명칭인 일장기보다도 '''히노마루'''(日の丸)라는 별명으로 더 자주 불리는 깃발이다.  


=== 현대 ===
속 일본기에 따르면, 701년 [[몬무 덴노]]가 태양을 나타낸 깃발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이것이 일본 역사상 최초로 태양 상징 깃발을 사용한 사례이지만, 흰색 바탕에 빨간 동그라미는 아니었다. 다만 바탕에 원 하나라는 디자인은 고대나 현대에나 같았고, 이 깃발은 일본의 조정을 상징하는 깃발로서 사용되었다. 늦어도 16세기 이전에는 빨간색 동그라미에 하얀 바탕이 디자인이 되는 현대 모양의 일장기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다가 [[에도 시대]] 때부터 상선에 흰 바탕에 빨간 동그라미를 그려넣은 상징을 사용하게 되면서 일장기는 국제적으로 일본을 상징하는 국기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파일:하토야마 유키오.jpg|오른쪽|200px|썸네일|최장 기간 재임 일본 총리이자 2번째 정권교대를 주도한 [[하토야마 유키오]]]]
전쟁 이후 1955년 조선과 대만의 자치권과 평등 선거권을 주장하는 쇼와 데모크라시 운동이 전개되어, 1962년 중의원과 귀족원의 표결을 통해 조선과 대만 식민지인의 참정권과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한편 1980년대까지 조선과 대만의 일본 일체화 사업인 민족말살통치가 유지되었다. 1950년 중국과 태평양의 영역을 장악한 일본은 1960년대 이후 비약적으로 성장하였다. 1964년 도쿄 올림픽을 유치하였고, 1970년에는 평균 소득이 전체 5위권 안에 들어갈정도로 경제가 급속도로 성장했다. 1983년 일본의 경제력이 소련을 추월해 2위를 기록했다. 1970년대부터 이룬 경제의 고도 성장은 1980년대에 이르러 ‘버블 경제’라고 부를 정도로 일본 경제를 크게 번성시켰다. 그러나 과도한 주가의 증가와 부동산 매입으로 인해 1990년부터 부동산과 주식 가격의 폭락이 진행되어 많은 기업과 은행이 도산하면서 10년 이상 0%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불황 상태에 빠졌다.


한편 1955년 쇼와 데모크라시 이후 자유민주당의 일당 우위 정당제로 한때 55년 체제라고 불릴만큼 자유민주당이 장기집권하였으나 1995년 경제 불황으로 10개월정도 야당에게 주도권을 빼앗기기도 하였다. 이후 다시 자유민주당이 정권을 잡아 2005년까지 집권했으며, 2005년부터 2012년까지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가 장기집권하였다. 하토야마 총리 기간동안 다시 경제가 호전세를 보이기도 하였지만, 2011년 동일본대지진으로 동일본 전역이 초토화되었고 이로 인해 다시 경제가 침체되었으며, [[아베 신조]] 총리가 취임한 이후 2016년 퇴임할때까지 아베노믹스라는 통화 정책을 펼쳤다. 이후 [[다니가키 사다카즈]], [[스가 요시히데]]가 나란히 총리직에 올랐다. 2019년에는 [[레이와 덴노]]가 새 천황으로 즉위하였다.
[[욱일기]] 역시 일장기와 마찬가지로 국가적인 상징으로 사용되지만, 공식적인 국기는 아니며 군기(軍旗)로 사용된다. 하지만 욱일기 역시 일장기에 못지 않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기에 준하는 대접을 받고 있다.


== 지리 ==
=== 국가 ===
일본은 [[일본 열도]]와 [[한반도]], [[대만 열도]], [[쿠릴 열도]] 및 [[사할린 섬]]으로 이뤄져있는 섬/반도 국가이다. 크게 도쿄가 위치한 [[간토]] 지역과 홋카이도/사할린/쿠릴/도호쿠 등을 통칭하는 북방영토, [[게이조]]가 위치한 [[조선 (신공)|조선]], [[오사카]] 중심의 긴키 지역, [[규슈]]/[[시코쿠]]/[[주코쿠]]를 포함하는 중부지역, 그리고 남부지방이 있다.
{{본문|기미가요}}
=== 간토평야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2px solid #AF001F; text-align: center;"
[[파일:도쿄 수도권.jpg|200px|왼쪽|썸네일|세계 최대 도심권인 일본 수도권의 모습]]
|-
간토평야는 세계 최대 도심권인 일본 수도권이 위치한 지역으로, 광역 인구는 4000만명 가량이다. 날씨는 온난하며 농사를 짓기 좋고, 땅이 평평해 많은 인구가 밀집해있다. 일본 열도 대부분이 산지로 되어있기 때문에 간토 평야에 사람이 매우 집중되어있고 인구밀도가 높은 편이다. 그러나 땅이 물렁하고 매립지가 많으며, 인구가 밀집해 있기 때문에 지진에는 취약하다. 1923년에는 [[간토 대지진]]으로 수만명이 희생당하기도 하였다.
! <div style="margin: -5.0px -9.0px">{{Youtube|ZJW3gyENF5A}}</div><div style="margin: -11.0px 0px"></div>
|-
! style="color: #DCA600; background: #AF001F;" | {{후리가나||きみ}}が{{후리가나||よ}} (임금의 치세)<ref>[[1996 나가노 동계올림픽]]의 연주 버전으로, 일본의 전통 악기들을 이용해 연주하였다.</ref>
|-
|}


주요 교통 수단으로 [[도쿄 지하철]]이 있고, [[도쿄 타워]]와 [[도쿄 스카이트리]] 등이 유명한 지방이다. 주요 도시로는 [[도쿄]], [[오키나와]], [[사이타마]], [[지바]] 등이 있다.
일본의 국가는 <기미가요>이다. <기미가요>는 국가치고 분위기가 매우 어두우며, 단 11마디의 단가로만 되어있다는 특징이 있다. 일본 특유의 애니미즘적인 요소가 들어가있는 것도 특징이다.


=== 북방 영토 ===
기미가요는 가사가 먼저 나왔고 곡은 나중에 붙었다. 912년 편찬된 <고금 와카집>에 익명의 단가로 처음 등장하였는데, 이후 여러 문헌에 수록되며 장수를 기원하는 노래로써 신분에 관계없이 천 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사랑받았다. 1868년 [[메이지 유신]]이 이뤄진 이후, 일본에는 자국을 상징할만한 국가가 필요했고 이에 따라 [[프란츠 에케르트]]가 기미가요에 현재의 곡조를 붙여 곡을 완성하였다. 20세기 들어 기미가요는 천황을 기리는 사상과 밀접하게 연관되기 시작했다.
본래 일본에 속하지 않는 지역이었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일본에 귀속되었고, 이후 [[제2차 세계대전]][[러일전쟁]]을 거치며 류쿠제도와 사할린 제도가 일본에 귀속되어 현재의 북방영토에 이른다. 날씨가 굉장히 추우며 사할린섬의 경우 영하 30도 이하로 내려가기도 하기 때문에 상주 인구가 적고,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다. 그러나 [[러시아 (신공)|러시아]]에 인접해 있고, 미국과 가까워 군사/무역 요충지로 꼽히기 때문에 일본 측에서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방이다.


[[홋카이도]], [[쿠릴 제도]], [[도호쿠]], [[사할린 섬]] 등이 속해있으며, 주요 도시는 [[삿포로]], [[센다이]]가 있다.
<기미가요> 이외에도 <[[바다에 가면]]>(海行かば) 역시 국가에 준하는 지위를 가지고 군가(軍歌) 및 준국가로서 사용된다. 이 노래는 비교적 늦은 1937년 작곡되었으며, 국내외적인 정세에 맞춰 준국가로 사용되어졌다.


=== 조선 ===
== 지리 ==
조선은 1910년까지 독자적인 국가였다가 1910년 이후로는 일본령이 되었으며 크게 게이조권과 가마야마권으로 나뉜다. 중심도시인 게이조는 도쿄에 이은 일본 제2의 도시이며, 게이조권의 인구는 3000만명 가량이다. 조선의 인구는 모두 합쳐 8000만명 정도로 일본 본토의 60% 수준이다. 1970년대까지 분리독립 운동이 활발했던 지역중에 하나이며, 현재도 일부 자치론자들이 [[대한민주당]]을 창당해 활동하고 있다. 일본 본토와 다르게 진보 정당이 우세를 점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북부 지역은 온도가 20도까지 떨어지기도 해 대체로 한대기후에 속한다.
=== 자연 ===
[[파일:혼슈.jpg|썸네일|270px|왼쪽|[[혼슈]]섬]]
크게 [[일본 열도]], [[조센 반도]], [[다이완 섬]]으로 이루어져있지만, 부속 도서까지 포함할 시 그야말로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섬들이 일본이라는 나라를 구성하고 있다. 영토중 확실하게 대륙의 일부라고 할만한 것은 반도로 딸려있는 조센 반도의 일부 지역에 불과하며 그 외의 영토는 모두 섬으로 이뤄져있어, 세계적으로 가장 인지도가 높은 섬나라중 하나이다.


중심 도시는 [[게이조]]이며 [[가마야마]], [[헤이조]], [[무레야마]] 등도 주요 도시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일본어 대신 [[조선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영토는 온대기후에 걸쳐있지만, 영토가 넓은만큼 기후도 그만큼 다양하다. 조센반도 북쪽과 북방영토, 사할린 섬 그리고 홋카이도 일대는 한대 기후에 속한다. 조센 반도의 [[게이조부]] 역시 냉대기후에 걸쳐있다. 반면 [[다이완 섬]]은 태풍이 자주 몰아치고 연중 습하고 더운 날씨가 계속되는 열대 기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사계절이 뚜렷한 편이고, 산과 강이 많아 아름다운 자연 경관으로도 많은 관광객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 케이한신 ===
다이완섬과 히가시니혼 지역은 환태평양 화산대를 끼고 있어 지진이 빈발한 반면, 조센반도와 케이한신 지역<ref>물론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지 1995년의 [[한신 대지진]]과 같은 몇차례의 큰 지진은 있었다.</ref>은 지진의 빈도수가 극도로 적어 지진을 두려워하는 여러 일본인들이 조센이나 니시니혼으로 이주하여 살고 있다. 대표적으로 1956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다니자키 준이치로]].
케이한신은 교토/오사카/고베 지역권을 묶어 부르는 말로, 일본 수도권과 게이조권 다음 가는 일본 제3의 도심권이다. 광역 인구는 2000만명 가량이며 일본 수도권, 뉴욕 메트로, 게이조권, 로스앤젤레스, 그레이터 런던, 일드 프랑스에 이어 세계 7위의 도심권을 형성하고 있다. 도쿄와는 신칸센으로 연결되어있고 교토는 대표적인 관광지중 하나이다. 일본 수도권에 비해 지진도 적고 겨울에도 날씨가 온난하며, 국토 중앙에 위치해 접근성이 우수하다.


중심 도시는 [[오사카]]이며, 이 외에도 나라, 교토, 고베 등이 있다. [[긴키]] 지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인구 ===
일본 열도에 총 1억 4천만명이, 조센 반도에 8천만명이, 다이완 섬에 2천만명이 거주하고 있다. 일본 열도는 규슈, 시코쿠, 혼슈, 홋카이도 등 4개의 섬으로 나뉘지만, 인구의 절대다수가 혼슈 섬에서 거주하고 있다. 인구상으로 가장 밀집된 곳은 혼슈 섬의 [[간토 평야]], 긴키 일대의 [[케이한신]] 권역<ref>교토, 오사카, 고베를 가리킨다.</ref>, 조센반도의 [[니조하라]]<ref>니가와, 게이조, 미즈하라를 가리킨다.</ref> 권역, 그리고 다이완섬의 [[다이호쿠부]]이다.


=== 중부권 ===
1가구 주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보니 간토 평야와 같은 곳은 전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스프롤 현상을 보이고 있다. 전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 20개중 19개가 일본에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일본의 대도시들은 그 규모와 인구 수에 있어서 다른 나라들을 압도하고 있다. 그러나 그만큼 중소도시와 지방의 형편이 어려운데다가 대도시의 집값이 비싸 최근에는 오히려 지방 도시로 이주하는 인구수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시코쿠, 주코쿠, 규슈를 통칭해 부르는 말이다. 기후는 열대기후와 온대기후에 속해 농사를 짓기가 좋아서 도심권이라기보다는 농촌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기타큐슈]] 등의 공업도시도 존재하지만 주요 도시가 다른 도시권에 비해 적고, 특히 시코쿠는 깡촌의 대명사로 자주 쓰이기 때문에 일본 내에서는 경제력이 약한 지역이다. 그러나 조선-대만-일본을 잇는 중요한 거점이기 때문에 운송업이 발달했다. 주요 도시로는 [[나가사키]], [[기타큐슈]], [[히로시마]] 등이 있다. 광역 인구는 2300만 정도이다.


=== 남방영토 ===
== 행정구역 ==
[[대만]]과 [[오키나와]]를 포함하는 지역. 광역 인구는 1300만 가량이고 열대기후에 속해 일본 본토나 조선에 비해 많이 덥고 습하다. 중심 도시는 [[다이호쿠현|다이호쿠]]로 일본 수도권과 함께 인구 밀도가 일본 내에서 가장 높은 지역중 하나이다. 1년 내내 온난하거나 더운 날씨이고 여름에는 40도까지 올라가는것이 일상적이다. 중국과 가깝기 때문에 안보 요충지로도 꼽히고, [[다카오현|다카오]]는 일본 3대 항구중 하나일정도로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하다. 대만의 경우 1895년 일본에 귀속되었기 때문에 몇몇 사람들은 아직도 중국어를 쓰기도 하며, 대만 원주민들도 극소수 남아있다.
{{본문|도도부현}}
{{일본의 도도부현}}
[[광역자치단체]] 개념으로 도도부현({{후리가나|都道府県|とどうふけん}})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이중 도(都)는 [[도쿄도 (신공)|도쿄도]], 도(道)는 [[홋카이도]] 밖에 설치되어있지 않아 대부분의 광역지자체들이 부나 현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 행정구역 ==
=== 도(都) ===
=== 도(都) ===
{{본문|도쿄}}
{{본문|도쿄도 (신공)}}
일본 유일의 도(都)인 [[도쿄|도쿄도]]는 일본의 수도이자 최대도시로, 약 1500만명이 거주하며 광역인구는 3900만명이다. 최대 도시이자 수도라는 점에서 도라는 특별 지위를 받았고 다른 도는 현재까지는 없다. 전쟁 중이었던 1943년 7월 1일 도쿄도제가 실시되면서 도쿄부를 도쿄도로 개편하였다. 당시 수장의 명칭은 '도쿄부 장관'이었다. 본래 직할시였으나 1967년 도쿄도지사를 직선으로 선출하면서 광역자치단체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 도쿄도의 특별구는 다른 정령지정도시의 행정구와는 달리 시에 속해있지 않다는 특징이 있고 각각의 특별구는 시정촌과 같은 지위를 가지고 있다.
[[파일:도쿄도.jpg|300px|썸네일|오른쪽|[[도쿄도 (신공)|도쿄도]]]]
 
일본 유일의 도(都)인 도쿄도는 제국의 수도이자 최대도시로, 약 1,500만명이 거주하며 광역인구는 3,900만명이다. 최대 도시이자 수도라는 점에서 도라는 특별 지위를 받았고 다른 도는 현재까지는 없다. 전쟁 중이었던 1943년 7월 1일 도쿄도제가 실시되면서 도쿄부를 도쿄도로 개편하였다. 당시 도쿄도 수장의 명칭은 '도쿄부 장관'이었다. 현재 도의 지자체 수장은 도지사이다. 도쿄도지사는 다른 현지사나 부지사와 마찬가지로, 직접선거로 4년에 한번씩 뽑으며 재선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쿄도의회 선거 역시 4년 주기로 치뤄진다.
도의 지자체 수장은 도지사이며, 현재 도지사는 [[도리고에 슌타로]]이다. 도쿄도지사 선거는 직접선거로 4년에 한번씩 치뤄지며 도쿄도의회 선거 역시 4년 주기로 치뤄진다. 도쿄의 위상 때문에 도쿄도지사는 작은 국가의 대통령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 외에 일본제국 제3의 도시인 오사카부는 도 승격을 노리고 있고 실제 2014년 [[하시모토 도루]] 오사카부지사에 의해 오사카도 승격 투표가 있었지만 46.4%대 53.6%로 부결되었다. 한편 제2도시인 [[게이조부]]의 도 승격 운동이 게이조부지사인 [[호시 에이센]]을 주도로 진행되고 있다.
본래 직할시였으나, 1947년 23구를 설치하고, 1967년 도쿄도지사를 직선으로 선출하면서 광역자치단체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 도쿄도의 특별구는 다른 정령지정도시의 행정구와는 달리 시에 속해있지 않다는 특징이 있고 각각의 특별구는 시정촌과 같은 지위를 가지고 있다. 도쿄는 23구부로 이루어진 정사각형 모양의 도심지역과, 시와 정으로 구성된 배후 도시인 타마가 합쳐진 가로로 길쭉한 모습을 하고 있다. 보통 도쿄라고 하면 23구부만을 이야가하지만, 1,500만 도쿄도민중 1/3 가량인 480만명 가량이 타마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다.


=== 도(道) ===
=== 도(道) ===
{{본문|홋카이도}}
{{본문|홋카이도}}
홋카이도를 지칭하는 행정구역단위이다. 가장 오래된 행정구역의 단위이지만, 메이지 유신 이후 도와 번이 모두 현으로 전환되면서 도가 모두 사라졌다가 1955년 쇼와 데모크라시를 통해 북방 영토의 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사할린 섬과 쿠릴 열도, 홋카이도를 엮어 홋카이도가 출범하였다. 홋카이도의 수장은 홋카이도지사로 현재 도지사는 [[스즈키 나오미치]].
[[파일:홋카이도.jpg|270px|썸네일|왼쪽|[[홋카이도]]]]
홋카이도를 지칭하는 행정구역단위이다. 도는 7세기 율령제 반포 이후 설치되어 1871년 이후 서서히 용도폐기되었다. 홋카이도는 위의 행정구역의 명명 방식에 따라 역사적으로 가장 최근에 이름이 붙은 지역인데, 이제 이 행정단위를 쓰는 곳은 홋카이도가 유일하다. 홋카이도는 본토와는 정반대로 3현(하코다테현, 삿포로현, 네무로현)을 거쳐 1886년 홋카이도청(北海道廳/北海道庁)이 설치되었다. 이후 1956년 북방 영토의 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사할린 섬과 쿠릴 열도, 홋카이도를 엮어 홋카이도가 출범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땅이 넓어서 출장소 개념으로 14개의 진흥국(振興局)과 2개<ref>북방영토, 사할린 섬.</ref>의 지청(支庁)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진흥국 및 지청 중 두 곳에는 시가 없다.
 
홋카이도의 수장은 홋카이도지사로 마찬가지로 직선직이다.


=== 부(府) ===
=== 부(府) ===
{{본문|게이조|오사카|교토}}
[[파일:게이조부.jpg|270px|썸네일|오른쪽|[[게이조부]]]]
일본의 부()는 3개이다. 일본에서의 부는 본래 주요 도시에 설치되는 것이어서 현실 한국의 광역시와 비슷했지만, 1980년대 [[헤이세이 개헌]]을 거치면서 부지사의 직할 권한이 대거 없어져서 현재는 현과 별 차이가 없어졌다. 영어 명칭도 현과 같은 Prefecture를 쓴다. 1943년 전까지 도쿄도는 도쿄부였지만 수도 특이성을 반영해 도쿄부로 승격되었다. 쇼와 데모크라시 이후 조선 식민지의 요구를 받아들여 1965년 게이조현이 게이조부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른다.
부는 현의 가장 큰 도시를 현의 개념으로 승격시킨것과 비슷하지만, 도()와는 달리 산하에 자치구를 둘 수 없다. 현재는 [[오사카부 (신공)|오사카부]], [[교토부 (신공)|교토부]], [[게이조부]], [[다이호쿠부]] 등 총 4개의 도시가 부로 설치되어있다. 메이지 시대 초기에는 [[홋카이도]] [[하코다테]], [[나가사키현]], [[가나가와현]], [[나라현]], [[니가타현|에치고]], [[야마나시현|카이]]에도 부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후 1869년, 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거치면서 교토, 오사카, 도쿄만이 부로 남게 되었으며, 1943년 최종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통하여 도쿄가 도쿄도로 승격되고 게이조와 다이호쿠가 부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현재 부는 [[게이조|게이조부]], [[오사카|오사카부]], [[교토|교토부]]가 있다. 부의 수장은 부지사로, 게이조는 [[호시 에이센]], 오사카는 [[마쓰이 이치로]], 교토는 [[후쿠야마 가즈토]]가 부지사이다. 이중 교토는 인구수가 많지는 않지만 구 일본의 수도이자 일본의 정신적 수도라는 점에서 특별하게 부로 승격되었다.
예전에는 부가 도(都)와 마찬가지로 높은 수준의 자치를 보장받았지만, 점차적으로 부지사의 직할 권한이 없어져서 현재는 현과 별 차이가 없어졌다. 영어 명칭도 현과 같은 Prefecture를 쓴다. 부는 산하에 시정촌은 있을 수 있어도 자치구를 둘 수는 없다. 설치 초기에는 부지사가 해당 부의 중심 도시를 관할했기 때문에 적어도 그 당시에는 광역시와 비슷했지만, 현재 일본에서는 [[51년 체제]]로 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부는 일반 행정구역인 현과 동일한 법령을 적용받는다.


일반 현중에서는 [[다이호쿠현]]이 부 승격을 노리는 중이다. 이 외에도 [[가마야마현]][[다카오현]] 등도 부 승격이 논의되지만 인구수가 그렇게 많지 않고 특별한 사유가 없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일부 부는 도(都)로의 승격을 노리고 있다. [[2011년 게이조도 전환 주민투표]], [[2015년 오사카도 전환 주민투표]] 문서를 참조. 참고로 양측 모두 부결되어, 도로의 전환을 추진했던 부지사가 정치적인 타격을 입었다. 지역주의 활동이 활발한 게이조부, 오사카부와 달리 다이호쿠와 교토는 도로의 승격 움직임이 거의 없다.


=== 현(県) ===
=== 현(県) ===
현은 도도부현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행정구역 단위이다.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쓰이지 않던 행정단위였다가 메이지 유신 당시 폐번치현으로 도입되었으며, 실제 한국의 도에 해당하는 광역단위 행정구역이다. 영어명은 Prefecture를 쓴다. 일본에서는 けん(켄)으로 읽는다.
1868년 [[폐번치현]]을 통해 [[에도 시대]]의 각 번(藩)들을 행정구역화한 것이다. 이 때문에 메이지 시대 초기에는 현의 개수가 302개에 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러개의 현이 합쳐지고, 또 분리되는 과정을 합치면서 현재는 현의 개수가 77개로 줄어든 상태이다.  
 
여담으로 현의 이름은 현청이 소재한 도시의 이름이나, 예전에 현청이 소재했던 도시의 이름을 따온 경우가 매우 많다. [[오키나와현]] 정도만이 이 경우에 속하지 않는다.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최초로 하코다테와 교토가 부가 되었다. 같은 해에 중요 도시인 에도, 오사카, 나가사키, 가나가와, 와타라이, 나라, 니가타, 가이를 부에 추가하였고, 나머지는 현으로 개편하였다. 이듬해인 1869년에 교토, 오사카, 도쿄를 제외한 나머지 부는 현이 되었다. 폐번치현을 할 당시에는 현 개수만 302개에 이르렀는데, 이는 메이지 유신정부가 에도 막부가 정해놓은 번(藩)의 행정구역을 그대로 현으로 바꾸었기 때문이었다. 이후 합병과 폐지를 거듭하다가 1986년 [[쇼슈현]][[토리치인현]]의 합병되면서 최종 현 개편안으로 현재의 1都 / 1道 / 3부 / 78현 체제가 되었다.
=== 식민지 시대의 행정구역 ===
과거에 [[조센]]과 [[다이완]]에는 각각 도(道)와 5주 3청(5州3庁)이라는 이름의 개별 행정구역이 존재하였다. 또한 [[내지]]와의 구별을 하고자 지명을 음독으로만 읽었다. 1943년, [[교키도]]의 [[게이조부|게이조시]]와 [[다이호쿠부|다이호쿠주]]가 부로 승격되었고, 이후 1955년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조센과 다이완에도 도도부현제도가 실시되었다. 다이완은 1968년까지 [[다이완도]](台湾道)라는 독립된 행정구역으로 존재하였으나, 이후 [[1965년 다이완도 해체 주민투표|주민투표]]를 통해 6개의 현으로 쪼개졌다.


[[오키나와현]]은 현이지만 더욱 강한 자치적인 권한을 가지는 현으로 일반 현이 비해 지위가 약간 높다.
현재 일본에 남아있는 식민지인 [[다이렌청]], [[홍콩 (신공)|홍콩]], [[마카오 (신공)|마카오]], [[싱가포르 (신공)|싱가포르]]에는 각기 다른 행정 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이 지역들은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보장받으며 여전히 천황이 임명하는 총독들이 파견된다.


=== 해외 영토 ===
=== 기초자치단체: 시정촌 ===
일본의 해외 영토로는 [[일본령 미크로네시아]]가 있으며, 남중국해 일부 섬들도 일본에 귀속되어있다.
시정촌(市町村)이라고 하여 도도부현 산하의 기초자치제도 역시 실시되고 있다. "시정촌"이란 이름에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도쿄도의 23개 특별구도 시정촌과 같은 단계의 지자체이기 때문에 묶어서 시구정촌이라고도 부른다.
 
메이지 시대 이전에는 상공업자가 모여사는 마을을 정(町), 농민이 사는 마을을 촌(村)이라고 불렀다. 메이지 시대 초중기에 정촌을 폐지하고 대구소구제 등을 시행하다가 폐지하는 시행착오를 겪었다. 현재의 시정촌제는 1888년 도입되었으며 시정촌 대통합 작업 후인 1899년 실시되었다. 1888년 이전에도 정촌은 존재했지만 이때의 정촌은 말그대로 '마을' 단위로 설정되었는데, 이른바 메이지 대합병 과정을 거친 1889년부터는 마을 여러 개를 묶어서 시정촌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후 1951년 [[51년 체제]]에 따라 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른 제도로 현재의 시정촌 제도가 확립되었다.
 
인구가 5만명 이상이면 시로 승격된다. 시는 다시 특례시(特例市), 중핵시(中核市), 정령지정도시(政令指定都市)로 나뉜다. 인구가 25만 명 이상이면 특례시, 50만 명 이상이면 중핵시, 70만명 이상일시 중핵시로 지정된다.
 
== 외지 ==
{{일본의 외지}}


== 정치 ==
== 정치 ==
=== 황실 ===
천황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명목상의 국가원수는 천황이지만, 실질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은 국회에서 선출되는 [[대일본제국 내각총리대신]]이다. 물론 천황이 가끔씩 친정을 하기도 하지만, 마지막 친정의 사례가 1951년이었기 때문에 사실상 내각총리대신이 국가를 이끈다고 보면 된다.
 
세계적으로 가장 민주주의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국가중 하나로 분류된다. 1950년 이전에는 군사의 힘이 정계에 미치는 힘이 강력한 군사독재의 국가에 가까웠으나, 1951년 민주화 시위대와 공권력의 충돌 이후 군부의 힘을 우려한 [[쇼와 천황 (신공)|쇼와 천황]]이 친정을 선포하여 권력을 직접 민간에게 돌려주었다. 이때 이후 일본은 현재까지 천황의 적극적인 비호 아래에 특별한 민주주의의 위기도, 정치적인 사태도 없이 안정된 민주주의를 운영해왔다. 1951년 이후의 안정적인 민주주의 체제를 '''[[51년 체제]]'''라고 하거나 혹은 '''쇼와 데모크라시'''라고 부른다.
 
보수, 국가주의 성향을 표방하는 [[자유민주당 (일본)|자유민주당]]과 진보, 사회주의 성향을 표방하는 [[일본사회당 (신공)|일본사회당]]이 70년에 가까운 세월동안 정권을 주고받아오며 보혁구도의 양당제를 형성하고 있다. 현재의 집권당은 자유민주당이며, 자유민주당의 총재인 [[모테기 도시미쓰]]가 내각총리대신 직을 맡고 있다. [[일본 공산당]], [[시민 리그]]와 같은 군소정당도 존재하지만, 연정 파트너의 존재 이외에는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내각제와는 별개로 막후 권력에 비대하게 발전한 국가이기도 하다. 중앙성청은 관료에게, 정당 정치는 군사에게 크게 휘둘린다는 비판이 있다. 그래서 관료 파벌과 내각이, 군사 파벌과 당 내 정치인 파벌이 갈등하는 경우가 잦고 아예 군부가 지지하지 않으면 총리가 될 수 없거나, 혹은 관료가 지지를 거두면 내각이 붕괴되는 일이 종종 일어나고 있다.
 
=== 천황 ===
{{역대 일본 천황}}
[[파일:나루히토 천황폐하.jpg|썸네일|왼쪽|200px|[[나루히토]] 천황]]
{{인용문9|大日本帝國ハ萬世一系ノ天皇之ヲ統治ス<br>대일본제국은 만세일계의 천황이 이를 통치한다.|[[대일본제국 헌법]] 제1조}}
제국 헌법 제1조에 따라 천황은 '''일본의 국가원수'''이다. 현재의 천황은 제126대 천황인 [[나루히토]]이며, 황위 계승자는 나루히토의 장녀인 [[아이코 내친왕]]이다.
 
[[일본 천황]]은 다른 국가의 국왕과 달리 유일하게 황제(Emperor)이라는 작위로 호칭되고 있다. 가문의 역사에 있어서도 다른 가문들을 월등히 능가하는 적통성과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일본의 황실은 약 2,600년간 한번도 끊김이 없이 이어져왔으며, 이를 [[만세일계]]라고 부른다. 막부가 바뀌고, 막부 체제에서 제국주의 체제로, 제국주의 체제에서 민주주의 체제로 이양되는 과정에서도 천황은 국민통합의 상징으로서 보존되었으며 천황의 자리를 탈취하기보다는 보존하는 세력이 더욱 정통성을 가진다고 인식되었다. 그만큼 일본의 천황은 일본의 구심점이자, '''일본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는 존재이다.
 
국민적으로 공화주의 조직이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을 정도로<ref>심지어 공화주의 운동을 이끌어오던 일본공산당마저 2006년 당 강령에서 '''만세일계의 천황제를 보존하는 것이 인민의 의지'''라는 부칙을 집어넣음에 따라 일본 내에서 공화주의 조직은 거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로 되었다.</ref> 천황은 일본 국민들에게 있어서 절대적인 신임을 받는다. 쇼와 천황 이후 아키히토 천황, 나루히토 천황 그리고 현재의 황위 계승자인 [[아이코 내친왕]]까지 황실 구성원들이 민주주의의 수호자를 자처한데다가, 국가 위기의 상황에서 국민들을 통합하는 역할을 맡았기 때문에 일본의 천황제는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입헌군주제의 사례로 꼽히고 있다.
 
=== 내각총리대신 ===
=== 내각총리대신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230AE; width: 100%; text-align: center"
{{역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 style="background: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C20B2 0%, #4449D3); color: #ffffff" | '''[[파일:나이가쿠소리다이진.png|60px]]<br>{{large|{{글씨 색|#C3C965|일본제국 내각총리대신}}}}<br>{{글씨 색|#C3C965|日本国 内閣総理大臣 | Prime Minister of Japan}}'''
{{일본의 역대 내각}}
일본의 정부수반이자 행정부를 대표하는 행정부 수장이다. 일본제국 헌법에 따르면 행정권이 속하는 내각의 수장으로 정의되어 있다. 내각총리대신은 행정 각부를 임명하며 천황을 대신하는 사실상의 국가원수로서 국정 전반을 통솔한다. 총리는 중의원/참의원에서 선출하며 자격에 중의원이어야한다는 조건은 없지만 관례상 중의원 다수당의 대표나 총재가 총리로 선출된다. 중의원/참의원에서 총리 지명 투표를 거치고 천황의 임명장을 얻어 총리 대신으로 지명된다. 중의원과 참의원에서 다른 사람을 총리로 임명하였을 때에는 보통 중의원이 우선권을 가진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의 정부 수반인만큼 국제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총리가 여럿 있어왔다. 대표적으로 [[에다 사쓰키]], [[아베 신조 (신공)|아베 신조]], [[기시 노부스케]], [[다나카 가쿠에이]] 등. 현 내각총리대신은 [[자유민주당 (일본)|자민당]] 소속의 [[모테기 도시미쓰]]이며 2021년 취임하였다.
 
=== 행정각부 ===
{{일본의 중앙성청}}
{{일본의 국무대신}}
중앙성청이라고 불리며 현재는 총 19개의 성(省)이 설치되어있다. 성의 대신은 주로 의원으로 구성되며 의원이 아닌 사람도 대신에 오를 수 있으나 그 수는 전체 대신의 1/2를 넘지 않게 한다. 보통 의원이 아닌 사람이 대신이 되는 경우에는 십중팔구 전현직 군 장성 출신이라고 보면 되며 관료 출신이 대신에 오르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중앙성청 이외에도 총리의 재량에 따라 특명담당대신들을 기용할 수 있는데, 현재 모테기 내각에서는 12명이 특명담당대신으로 임명되어있다. 이들은 중앙성청에서 다루는 것중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책임진다.
 
행정각부의 수가 많고 특명대신도 있는만큼 대신직 자체는 권한이 크지 않으며 오히려 권력 투쟁을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잦다. 실무는 거의 대부분 관료가 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외무성과 대장성, 상공성의 힘이 강력하다하나, 경제 및 외교 관련 부처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단지 발언권만 강할 뿐 업무 자체는 관료가 전부 다 하고 대신은 도장만 찍는 역할만 한다.
 
간혹 해당 분야의 엄청난 전문가인 의원이 대신 직을 맡으면 관료도 꼼짝 못하는 경우가 있으나, 사실 누구를 대신에 앉히게 하느냐 자체가 당 내에서 큰 파이를 차지하는 군대 출신 파벌들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잦기에 이 경우에는 군사 정치와 또다시 씨름을 벌여야한다.
 
=== 국회와 선거 ===
{{일본 국회의 원내구성}}
본래 귀족원과 중의원으로 나뉘어져있었으나, 1962년 개헌을 통하여 귀족원을 폐지하고 이후 민의에 의해 선출되는 상원인 [[참의원 (신공)|참의원]]이 설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22석의 참의원 의석중 약 10%에 달하는 38석은 화족에게 배정되어있는만큼 여전히 상원 내에서 화족의 영향력은 강력한 편이다. 이들은 일반 사안에 대하여는 표결권이 없으나 예결 및 총리 선출에는 표결권을 가진다.
 
한편 중의원은 한 선거구에서 한명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와 정당 득표에 따라 의석을 정하는 불구속 명부 비례대표제로 이뤄진다. 총 의석은 650석으로 민선 참의원 의석의 약 2배에 달한다. 중의원에도 화족 의석으로 20석이 배정되어있으나 이는 단지 참관 의석일 뿐이며, 민중의 국회라는 정체성을 흐리지 않기 위해 표결권이 존재하지 않는다.
 
중의원에서 2/3의 동의를 받은 법률은 참의원의 동의 없이 통과가 가능하지만, 어떠한 경우에라도 참의원은 60일동안 법안을 계류시킬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또한 예산 결산은 중의원에서 하지만 인사권의 대부분은 참의원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인식에 비하면 참의원이 가지는 권한이 상당히 강력한 편이다. 그러나 법상에서는 중의원 우위권을 인정하기에 중의원과 참의원간 권한 분쟁이 일어났을 때 대체로 중의원이 유리하며 중의원과 참의원이 다른 총리를 지명했을 때에는 중의원에서 선출된 총리가 총리직을 맡는다.
 
본래 일본 열도 내부에서만 선거가 치러졌으나 1951년 조센에 10석, 다이완에 5석의 중의원 의석이 배정되며 처음으로 전국 단위의 선거가 치러졌고, 1962년에는 최종적으로 모든 지역에서 인구 비례에 따른 선거구를 획정하게 함으로서 보통 선거가 이뤄지게 된다.
 
=== 정당 ===
[[일본사회당 (신공)|일본사회당]]을 필두로 하는 진보혁신계 세력과 [[자유민주당 (신공)|자유민주당]]을 위시로 한 보수우파 세력의 안정적인 보혁제 양당 구도가 70년간 이어져오고 있다. 1980년대에 [[리쿠르트 사건]] 등의 대규모 부정부패 사건으로 정당간의 이합집산이 일어나기도 했으나 1990년대 이후로는 별다른 분열이나 특정 정당의 급격한 몰락 없이 안정된 정당 구도가 쭉 이어지는 추세이다.
 
당 내 파벌이 발전되어있고 이합집산도 자주 일어난다. 그러나 당 내 파벌을 합친 것 이상의 권력을 가지는 군대 출신 인사들로 구성된 군사 파벌이 당 내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일단 한번 당수가 되면 산하 참모들만 자주 바뀌고 당수는 임기를 계속 유지하는 경우가 잦았다. 심한 경우에는 아예 당수는 바지사장이고 군사 파벌이 알아서 다 해먹기도 한다. 참고로 이는 총리도 마찬가지라 총리를 얼굴 마담으로 내세우고 내부적으로 국무대신을 교체해가며 권력 투쟁을 해가는 경우가 많다.
 
=== 관료제 ===
[[중일전쟁 (신공)|중일전쟁]] 이후 군부가 외교에 있어서 힘을 점진적으로 상실하고 반대급부로 관료들의 사후 처리 매뉴얼이 돋보이면서 195~60년대 이후 경제와 통상, 외교적인 면에서 관료제가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향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과 더불어 전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일본의 막강한 외교력은 경제 규모 세계 1위에 속하는 막강한 국력 덕택이지만, 동시에 외교와 통상 면에서 철저한 매뉴얼과 대응책을 세워놓는 관료들의 영향 역시 무시할 수 없다.
 
특히 대 아시아 외교 통상 분야에서는 '''자국보다도 더 자국을 더 잘 아는 나라'''로 정평이 나있다. [[만주국 (신공)|만주국]], [[직예]] 같은 일본의 괴뢰국 뿐만 아니라 적대 관계에 있는 [[국민당 정권]], [[공산당 정권]]도 일본 앞에서는 꼼짝 못한다. 빈틈이 없는 철저한 아시아 태평양 외교 정책을 통해 1950년대 이미 동남아시아까지 전 지역을 자국의 영향권 아래 포섭하는데 성공하였고 이러한 일본의 관료제를 바탕으로 한 아시아 패권주의는 [[신냉전]]에서 일본이 미국을 상대로 우위를 잡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대장성 (신공)|대장성]]과 [[상공성]]에서는 경제관료들의 중노동 대응 매뉴얼과 기업들 통제 전략, 국회/국민 설득 방안 등에 대한 매뉴얼도 전부 따로 작성해 놓고 있다. 무역/통상 협상을 하러 가면 일본은 이미 실무진들을 통해 상대국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해 두고, 그 국가의 협상 전략까지 세세하게 파고들어서 대응 전략을 마련해 두고 협상에 들어온다. 이 때문에 협상 상대국이 일본의 페이스에 말려들어서 제대로 된 협상을 하지 못하여 협상 자체가 결렬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한번 협상을 제대로 하면 가장 빠른 속도로 진척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유연함이 없는 관료 정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 내에서는 관에 대한 정치의 우위가 나타나고 있다. 아베 내각, 에다노 내각, 모테기 내각을 거치면서 이전까지 관료가 서류를 제출하면 대신은 그저 도장만 찍는 구도에서 벗어나 정치권이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미일 경제 전쟁]] 역시 관에 대한 정치권의 우위가 확립된 사건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도리어 미일 경제 전쟁 도중 정치인들이 저지른 일부 무리수들이 부각됨으로 인해 역시 외교와 통상, 경제는 관료가 맡아야한다는 여론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 지방 정치 ===
일본의 지방 정치는 중앙 정치와 철저하게 분리되어있다. 중앙 정치인이 직을 버리고 지방 정치에 뛰어드는 것 자체가 매우 이례적인 일로 여겨질 정도이다. 일본에서는 반대로 지방 정치를 하다가 중앙 정치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중앙 정치가 지방 정치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예외가 있다면 게이조 지역주의 정당인 [[시민 리그]]나 시가현지사였던 [[가다 유키코]] 정도.
 
정당의 공천이 지방 정치에서 금지된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지방 선거에서 대부분의 후보자들이 정당 당적을 포기하는 대신 여러 정당들의 지지를 받아 출마하는 경우가 잦다. 주로 자유민주당, 공명당 추천 후보와, 사회당 추천 후보가 맞붙고 공산당 추천 후보가 제3지대로 나서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보니 관료와 군대의 영향력이 지대히 미치고 있는 중앙 정치와 달리 일본의 지방 정치는 총평 등 노동조합과 지역 유지들, 그리고 지역 기업들이 더 큰 영향력을 미친다. 물론 이것도 지역별로는 달라서 대도시의 경우 조직력에 구애받기보다는 중앙 정치에 따라가는 경향이 있다.
 
선거가 매우 다양하다보니 현지사나 현의회를 뽑는 선거가 아니면 보통 투표율이 4~50%대로 낮은 편이다. 중의원, 참의원, 현지사 선거가 보통 투표율 7~80%대, 못해도 60%대를 기록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조직력이 강하게 미치는 지역 정치에 대해 일본인들이 큰 정치적 효능감을 느끼지 못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맹점 때문에 일본공산당과 같은 일부 정당들은 부라쿠민 해방 조직 등 소수자, 시민단체와 결합하여 중앙 정치보다 더 큰 발언권을 가지기도 한다. 실제로 자민당이 극도로 유세한 일부 시골의 경우 제1야당의 포지션을 공산당이 맡는 경우가 잦다.
 
== 군사 ==
{{본문|일본군}}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BC002D; width: 100%; text-align: center"
| colspan="3" style="background:#AF001F; color: #DCA600" | '''{{large|일본군}}<br>{{후리가나|日本軍|にっぽん ぐん}}<br>Japanese Armed Forces'''
|-
|-
| style="font-weight:" |
| [[파일:일본 육군기12.png|200px]]
{| class="sor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1px; width: 100%"
| [[파일:일본 해군기.png|200px]]
|+
| [[파일:일본 공군기.png|170px]]
|-
|-
| colspan="5"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둥근상자|메이지 시대|#0230AE|#C3C965|#C3C965}}  
| width="33%" colspan="1" style="background:#BF0021; color:#000000;" "text-align: center;" | [[일본 육군|{{글씨 색|#fff|일본 육군}}]]
| width="33%" colspan="1" style="background:#B3293A; color:#000000;" "text-align: center;" | [[일본 해군|{{글씨 색|#fff|일본 해군}}]]
| width="33%" colspan="1" style="background:#0069B4; color:#000000;" "text-align: center;" | [[일본 공군|{{글씨 색|#ffd800|일본 공군}}]]
|-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초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2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3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4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5대
|-
| [[이토 히로부미]]
| [[구로다 기요타카]]
| [[야마가타 아리토모]]
| [[마쓰카타 마사요시]]
| [[이토 히로부미]]
|-
| colspan="1"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6대
| colspan="1"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7대
| colspan="1"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8대
| colspan="1"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9대
| colspan="1"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10대
|-
| [[마쓰카타 마사요시]]
| [[이토 히로부미]]
| [[오쿠마 시게노부]]
| [[야마가타 아리토모]]
| [[이토 히로부미]]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11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12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13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14대
| colspan="1" rowspan="2" |
|-
| [[가쓰다 다로]]
| [[사이온지 긴모치]]
| [[가쓰라 다로]]
| [[사이온지 긴모치]]
|-
| colspan="5"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둥근상자|다이쇼 시대|#0230AE|#C3C965|#C3C965}}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14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15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16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17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18대
|-
| [[사이온지 긴모치]]
| [[가쓰라 다로]]
| [[야마모토 곤노효에]]
| [[오쿠마 시게노부]]
| [[데라우치 마사타케]]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19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20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21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22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23대
|-
| [[하라 다카시]]
| [[다카하시 고레키요]]
| [[사이토 마코토]]
| [[가토 도모사부로]]
| [[기요우라 게이고]]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24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25대
| colspan="3" rowspan="2" |
|-
| [[가토 다카아키]]
| [[와카쓰키 레이지로]]
|-
| colspan="5"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둥근상자|쇼와 시대|#0230AE|#C3C965|#C3C965}}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25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26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27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28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29대
|-
| [[와카쓰키 레이지로]]
| [[다나카 기이치]]
| [[하마구치 오사치]]
| [[와카쓰키 레이지로]]
| [[다카하시 고레키요]]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30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31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32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33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34대
|-
| [[오카다 게이스케]]
| [[사이토 마코토]]
| [[히로타 고키]]
| [[하야시 센쥬로]]
| [[하토야마 하루코]]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35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36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37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38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39대
|-
| [[아베 노부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시데하라 기쥬로]]
| [[아시다 히토시]]
| [[요시다 시게루]]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40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41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42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43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44대
|-
| [[아시다 히토시]]
| [[하토야마 이치로]]
| [[이시바시 단잔]]
| [[기시 노부스케]]
| [[기시 노부스케]]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45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46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47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48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49대
|-
| [[사토 에이사쿠]]
| [[다나카 가쿠에이]]
| [[미키 다케오]]
| [[후쿠다 다케오]]
| [[오히라 마사요시]]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50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51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52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53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54대
|-
| [[스즈키 젠코]]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다케시타 노보루]]
|-
| colspan="5"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둥근상자|헤이세이 시대|#0230AE|#C3C965|#C3C965}}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54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55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56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57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58대
|-
| [[다케시타 노보루]]
| [[우노 소스케]]
| [[도요타 다이쥬]]
| [[미야자와 기이치]]
| [[호소카와 모리히로]]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59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60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61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62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63대
|-
| [[가네무라 코유]]
| [[오부치 게이조]]
| [[모리 요시로]]
| [[고이즈미 준이치로]]
| [[고이즈미 준이치로]]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64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65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66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67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68대
|-
| [[하토야마 유키오]]
| [[하토야마 유키오]]
| [[하토야마 유키오]]
| [[하토야마 유키오]]
| [[아베 신조]]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69대
| colspan="4" rowspan="2" |
|-
| [[다니가키 시다카즈]]
|-
| colspan="5"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둥근상자|레이와 시대|#0230AE|#C3C965|#C3C965}}
|-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70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71대
| colspan="1" width="20%" style="background:#0230AE; color:#C3C965;" "text-align: center;" | 제72대
| colspan="2" rowspan="2" |
|-
| [[다니가키 시다카즈]]
| [[나세이 게이히츠]]
| [[스가 요시히데]]
|}
|}
|}
일본군은 1871년 창립된 동아시아 최초의 근대식 군대이자, 국방력으로 동아시아 전체 1위, 세계 전체 2위의 군대이다. 보신전쟁부터 이라크 전쟁까지 수많은 전쟁에 참여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까지는 육군성과 해군성이 따로 있었지만 [[51년 체제]]를 통한 육해공 통합으로 방위성이 성립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국방력은 미국에 이은 2위이지만, [[소련]]과 군사안보적 동맹을 맺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1위에 가깝다.
일본의 정부수반이자 행정부를 대표하는 행정부 수장이다. 일본제국 헌법에 따르면 행정권이 속하는 내각의 수장으로 정의되어 있다. 내각총리대신은 행정 각부를 임명하며 천황을 대신하는 사실상의 국가원수로서 국정 전반을 통솔한다. 총리는 중/참의원에서 선출하며 자격에 중의원이어야한다는 조건은 없지만 관례상 중의원 다수당의 대표나 총재가 총리로 선출된다. 중참의원에서 총리 지명 투표를 거치고 천황의 임명장을 얻어 총리 대신으로 지명된다.  
 
'''일본제국 헌법에 따라 일본군은 천황이 지휘한다.''' 따라서 군은 내각 휘하가 아닌 천황 휘하에 있고 이는 현재까지 일본이 선진국 치고 군이 정치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강력한 하나의 이유가 되고 있다. 그러나 쇼와 덴노가 스스로 군에 대한 지휘권 일부를 내각에 양도한 이후 어디까지나 이는 형식적인 조어에 불과하게 되었다. 물론 내각에서 군을 통제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천황의 묵인 및 승인이 있기 때문이며 천황의 결정에 따라 언제든지 내각으로부터 군의 영향력을 가져올 수도 있다.
 
초기에는 [[사쓰마 번]]이 주도한 해군과 [[조슈 번]]이 주도한 육군으로 나뉘어져있어 육해군 대립이 극심하였으며, 육해군의 갈등은 [[중일전쟁 (신공)|중일전쟁]] 때까지 쉽사리 해결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쇼와 덴노 (신공)|쇼와 덴노]]가 1950년부터 1951년까지 약 1년에 걸쳐 친정을 감행하며 육해군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동시에 1951년 [[가타야마 데쓰 (신공)|가타야마 데쓰]]의 [[일본사회당 (신공)|사회당]] 내각이 출범하며 육해군 자체가 정계에 미치는 영향력도 축소되었다. 이후 1955년, 가타야마 총리 및 쇼와 덴노의 중재 하에 육해군이 서로 양보하여 육군 항공대와 해군 항공대가 통합되어 공군이 출범하여 현재에 이른다. 물론 육해군 대립은 여전해서 육군이 [[자유민주당 (신공)|자유민주당]] 쪽을, 해군이 [[일본사회당 (신공)|일본사회당]] 쪽을 밀어주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193~50년대의 육해군 대립에 비하면 미약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 군사 정치 ===
선진국 치고는 이례적으로 군대가 정계에 미치는 힘이 강력한 국가이다. 그나마 지금은 나아졌지만 민주화 이후에도 1970년대까지 군대의 동의가 없으면 아예 총리에 취임할 수 없을 정도로 군의 파워가 막강했으며 [[다나카 가쿠에이]]의 영향력으로 정당 내 파벌 정치가 더욱 강화된 편이나 2020년대 현대까지도 군 내 파벌은 각 정당의 큰 흐름이 영향을 미친다. 그나마 군의 힘이 미치지 않은 정당은 창가학회의 영향력이 강한 [[공명당]]과 반군국주의를 표방하는 [[일본 공산당 (신공)|일본 공산당]] 정도밖에 없다.
 
각 정당 내에서 군 출신 인물들은 독자적인 파벌들을 구성하고 있으며 아예 육해공군의 현직 장성들이 직접 정치에 관여하는 일도 잦다. 총재 혹은 당대표 경선 도중에는 다수의 당 내 군 파벌이 지지하는 인사가 거의 무조건적으로 당선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육군 강경파의 지지를 받은 [[아베 신조 (신공)|아베 신조]] 총리의 취임 이후 '''내각군제국'''이 설립되어, 탈군국주의를 추구한 [[에다 사쓰키]] 내각 시절에 비해 군이 정치에 관여할 수 있는 권한이 크게 부여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의 정치는 '''정당조직 막후의 군사, 중앙성청 막후의 관료'''로도 묘사된다.
 
과거에는 이런 경향이 더 심해서, 1927년 [[쇼와 공황]]으로 인기를 잃은 정당 정치를 대신해 1930년대부터 1950년까지 거의 20년에 가까운 시기동안 군사 독재를 주도하였다. 그러나 중일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 이후, 일본 내에서 군이 여전히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데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이 확산되었고 비슷한 시기 민권 운동이 일어나면서 군부 정치는 위기에 처했고 결국 쇼와 덴노가 직접 거병하며 [[51년 체제|1950년 군부는 군사독재 체제를 자발적으로 내려놓게 된다.]] 이후 사회주의 성향의 내각이 계속 들어서면서 군대가 미치는 정치적 영향력은 점차적으로 축소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상당히 많은 정치인들이 군 출신일 정도로 군이 정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대하다. 1970년대 사회당의 노선 온건화외 더불어 사회당에도 육해공군 출신들이 많이 유입된 편이다. 군대 자체가 사회에서 받는 존경심도 다른 나라에 비하면 남다른편이고 정부 부처장에서도 [[전쟁대신]]이 대장대신에 이은 내각 서열 3위를 차지한다. 게다가 전쟁대신은 의원이 아닌 군인이 임명되는 일이 대단히 잦으며 민간인 혹은 의원이 전쟁대신이 경우는 극히 드물다.
 
그 외에 육군성, 해군성 등 국가 안보 및 외교에 관련된 부서 대부분을 군부가 꿰차고 있으므로 내각 요인중 상당수가 군 출신이다. 실제로 현 모테기 내각의 대신 32명중 무려 '''25%'''에 달하는 8명이 전현직 군 장성으로 구성되어있다는 점에서 군이 여전히 정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강하다고 할 수 있다.
 
== 경제 ==
1950년대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 이후 비약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며 특히 1980년대에는 폭발적인 경제 성장을 보이며 소련을 추월하고 세계 제2의 경제 강국이 되었다. 1990년대 이후로는 성장 속도가 약간 낮춰졌음에도 불구하고 2008년 금융위기 이전까지 단 한번도 3% 이하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한 적이 없었다. 2008년 금융 위기로 잠깐 위기를 맞이하였으나 바로 다음해 12%의 경제 성장률을 보이며 빠르게 위기를 수습했고 2010년대 이후로도 연평균 5% 이상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현재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경제 대국으로 손꼽히고 있다.
 
2억명을 넘어가는 막대한 인구로 유지되는 강력한 내수시장이 특징이며 특히 2000년대 이후로는 저렴한 인건비 탓에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리는 중국과의 거리적인 이점을 이용해 경제적인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서쪽으로는 중국을, 동쪽으로는 태평양을, 남쪽으로는 오세아니아를 맞댄 천혜의 위치 덕택에 세계 물류량 총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소련]]과 [[공산당 정권]]을 제외하면 주변에 특별한 적대국가도 없으므로, 남쪽으로 남미와 갈등을 겪고 있고 유럽과의 관계도 불안정한 미국에 비하면 더욱 원만한 외교 상태를 통하여 안정적인 지역 경제 블록을 구축하고 있다. 호주, [[국민당 정권]] 등과는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 대륙과는 [[조센]] 반도를 통해 육로로 연결되어있기에 접근성이 용이하다.
 
금, 은을 많이 수출했던 에도 시대 때와는 달리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에는 자원 경제가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조센]] 반도 북부에서 대규모 탄광이 발견되고, 더 나아가 [[만주국 (신공)|만주국]]에서 석유가 체굴됨에 따라 자원 경제의 빈곤에서는 일찍이 벗어난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여전히 조센과 만슈 지역의 자원 체굴에 신중론을 펼치고 있는데 이는 국제적인 자원 위기 상태에 대응하기 위해 보험을 들어놓은 것이다.
 
== 교통 ==
'''전세계에서 가장 대중교통이 발달한 국가로 손꼽힌다.''' 수십년에 걸친 일본 정부의 노력 끝에 현재 일본 전역에서는 왠만한 오지가 아니면 전 지역에 [[JR]]이 운영하는 전철이 상시 운행중이며 도심 지역은 해당 도시 지역 주민들도 햇갈릴정도로 촘촘하게 짜여진 지하철과 도시철도 노선으로 짜여져있다. 철도가 아니더라도 버스와 같은 다른 대중교통 시설과 전철의 연계가 잘 되어있으므로 자가용이 없어도 사는데 별 문제가 없는 수준으로 대중교통 인프라가 훌륭히 갖춰져있다.
 
[[조센 반도]]와 [[일본 열도]]는 1997년 건설된 지하 터널로 연결되어있으며 이동하는데 어떠한 불편함도 없으며 그게 아니더라도 시모노세키, 구마모토, 기탸큐슈 등지에서 [[무라야마현|무라야마]], [[우루산]] 등으로 향하는 항만편이 상시 운항중이다. 한편 [[다이완]]과 일본 본토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배를 타고 가거나 혹은 비행기를 타고 가야 하지만, 도쿄와 다이호쿠는 비행기로 3시간, 게이조는 2시간 30분이면 갈 수 있어 큰 불편은 없는 상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운송은 항만으로밖에 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일본 정부는 [[아베 신조 (신공)|아베 신조]] 내각 시절부터 [[오키나와현]]을 거치는 초거대규모의 지하 터널을 계획중에 있다. 사실 이 계획은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 시절부터 기획되어왔으나 현실성 문제로 실패했고 현재 기술로도 건설에 최소 60년은 걸릴거라는 예상이 나오기 때문에 실제로 계획이 이루어질지는 알 수 없다.
 
== 사회 ==
=== 언어 ===
일본어가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인중 일본어를 구사할 수 없는 인구는 거의 없다. 일본어는 [[류큐어]]와 함께 [[일본어족]]에 속하지만 류큐어는 사실상 소멸된 언어이므로 일본어를 [[고립어]]로 분류하는 학자들도 적지 않다.
 
지역어로는 [[다이완어]], [[조센어]], [[아이누어]], [[류류어]] 등이 있지만 전부 사어이다. 그나마 중앙 정부의 영향력이 잘 닿지 않는 조센반도 북부 산간 지역에서 조센어의 화자 비중이 10~15% 정도로 높은 편이나 그뿐이며 다이완어나 아이누어는 사용 화자 수가 1,000명을 넘지 않아 사실상 소멸된 언어로 분류된다.
 
물론 [[다이렌청]], 홍콩 같은 외지에서는 중국어, 민남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고 중앙 정부에서도 이를 외지의 자율적 행정권을 보장하기 위해 굳이 건드리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도 의무적 일본어 교육은 강제되기에 일본어를 사용하지 못하는 외지 거주자는 찾기 어렵다.
 
=== 문자 ===
가타카나와 히라가나로 이루어진 일본의 고유 문자인 가나, 그리고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한자의 경우 1960년대까지 구체자를 썼으나 너무 쓰기 어렵다는 이유로 1970년대까지 점진적으로 획 수를 줄이는 신체자로의 개혁을 실시해 현재에 이른다. 그러나 일본제국의 국명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구체자로 쓰고 있으며 황실은 여전히 공식적으로 구체자를 사용하는 등 구체자가 완전히 자취를 감춘 것은 아니다.
 
과거에는 [[만요가나]]라고 하여 중국의 한자를 일본어의 발음으로 반영하여 사용하였으나 불편함이 있었기 때문에 중국의 한자를 변형하여 가나를 만들었다. 히라가나는 일본어의 독음을 표기할 때, 가타카나는 외래어를 사용할 때 표기한다.
 
[[조센어]]에는 고유한 문자인 겐분(諺文)이 쓰였다고 하나 애시당초 조센어가 사어에 가까운 언어이기도 하며 겐분의 표기 자체도 가나 혹은 한자와는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에 현대 일본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대만어를 표기하기 위해 [[다이완 가나]]라는 특수한 문자를 쓰기도 한다. 그러나 이 역시 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문화 ==
== 외교 ==
냉전 시기에는 미국과 소련에 이은 세계 3위의 강대국으로 꼽혔다. 199~2000년대 이후 소련과 미국이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이후로 거의 모든 지표에서 미국, 소련을 넘어서고 있는 '''세계 최대의 강대국'''이다.
 
주위에 있는 국가들이 [[소련]]을 제외한다면 우방국이나 준우방국 밖에 없어 외교적인 안정성이 높은 편이다. 1990년대 이후로는 소련과도 경제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므로, 당장은 일본에게 외교적으로 위협이 가는 국가는 없는 상황이다. 물론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간혹 일본의 동남아 경제 진출을 반대하는 반일 성향의 좌파 정부가 들어서곤 하지만 그뿐이며 안보적으로 큰 위해를 가하고 있지는 않다.


내각총리대신은 세계에서 2번째로 국력이 강한 일본의 실질 지도자로서 미국의 대통령과 같은 많은 권한과 영향력을 가지지만, 짧은 임기 때문에 7년간 집권해 역대 최장수 기록을 세운 [[하토야마 유키오]]와 5년간 집권한 [[고이즈미 준이치로]] 정도를 제외하면 세계적으로 큰 인지도가 있는 정치인이 없었던 편이다. 그러나 일본제국의 총리대신은 세계 3위의 국방력인 일본제국군의 실질적인 통솔자이며, 경제 규모 2위 국가의 행정 수반이기 때문에 세계의 주요 지도자를 꼽을때는 미국 대통령, 영국 총리 등과 함께 꼭 꼽히는 자리이다.
국제적으로 제1세계도, 2세계도 아닌 원만한 외교 관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일본의 무리한 정치적 개입 및 대기업들의 경제 침탈 행보로 인해 일본에 반감을 가진 국민들이 상당하다. 그럼에도 이들 국가는 경제적으로 일본에게 종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큰 변수가 없다면 일본의 위상에 흠집을 낼만한 강력한 반일 국가가 생겨날 확률은 매우 낮다.


선진국 중에서는 유래가 없을 정도로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나라이다보니 진보 혁신계열 총리 대신이 역사상 단 한명도 없었으며, 리버럴인 [[도요타 다이쥬]], [[호소카와 모로히로]], [[하토야마 유키오]] 3명을 제외하면 자유민주당이 출범한 1950년 이후 총리대신은 모두 자민당 소속이었다. 전체적으로 1995년에서 1996년 사이의 10개월과,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총 8년 남짓한 기간을 제외하면 자유민주당이 정권을 잡았다. 호소카와 모로히로는 총리대신 재직 당시 [[신진당]] 소속이었지만 의회 다수당이었던 자민당과의 연대를 통해 총리대신으로 임명되었기 때문에 실질 권한은 자민당이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 일미관계 ===
=== 일중관계 ===
=== 일소관계 ===


또 인구의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외지인(조선인, 대만인) 출신 총리는 [[도요타 다이쥬]], [[가네무라 코유]], [[나세이 게이히츠]] 3명 뿐이었고 이중에서 대만인 출신은 단 한명도 없었기 때문에 내지인(일본인) 우대 논란이 조선, 대만 지역에서 꽤 있는 편이다.
== 대중매체에서 ==
[[분류:신공]]

2022년 7월 23일 (토) 14:58 기준 최신판

Communist 1968, 2020 - 2022 | CC-0

일본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동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 펼치기 · 접기 ]
일본 만주 몽강 직예
몽골[1] 투바[1] 티베트 동투르키스탄
국민 정권 공산 정권 마카오 홍콩
  1. 1.0 1.1 중앙아시아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함.

[ 펼치기 · 접기 ]
일본 미국 소련 국민 정권
독일 영국 인도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필리핀 호주
브라질 멕시코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아르헨티나 태국 유럽연합

[ 펼치기 · 접기 ]

G2
[ 펼치기 · 접기 ]
일본 미국


UN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 펼치기 · 접기 ]
상임이사국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대일본제국
大日本帝國 | Empire of Japan
언어별 명칭
조센어 일본, 대일본제국
다이완어 日本, 大日本帝國
중국어 日本, 大日本帝國
ㄉㄚˋ ㄖˋ ㄅㄣˇ ㄉㄧˋ ㄍㄨㄛˊ
영어 Empire of Japan
황실 문장
국기 정부 문장
八紘一宇
팔굉일우
(1926 - )
天皇陛下万歳
천황 폐하 만세
(1989 - )[1]
상징물
황실 찬가 임금님의 치세 (君が代)
민간 국가 바다에 가면 (海行かば)
국조 일본 꿩
국화 국화, 벚꽃
역사
진무 덴노의 즉위 기원전 660년 2월 11일
대정봉환 1867년 11월 9일
대일본제국 헌법 시행 1890년 11월 29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도쿄도 (東京都)
북위 35° 41′ 22″ 동경 139° 41′ 30″
최대도시
면적 676,983.9km2 | 세계 49위
접경국 소련
만주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2억 5,843만 6,243명 | 세계 5위
인구 밀도 381.75명/km2
민족 구성 일본인 96.4%
중국인 2.2%
다이완 원주민 0.3%
기타 1.1%
출산율 1.63명 (2021년)
기대수명 84세 (2021년)
공용어 일본어
지역어 조센어, 류큐어, 다이완어, 객가어, 만주어, 중국어, 포르투갈어, 말레이어
공용문자 가나, 한자
종교 국교 없음 (정교 분리, 사실상 국가신토)
분포 불교 34.2%
기독교 1.1%
기타 3.2%
무종교 61.5%
군대 일본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양원제, 양당제, 의원내각제, 단일국가
민주주의 지수 8.85점 | 완전한 민주주의
(168개국중 13위, 아시아 1위)
국성 일본 황실[2]
천황 (국가 원수) 나루히토
내각총리대신
(정부 수반)
모테기 도시미쓰
정부
요인
부총리 고노 다로
참의원 의장 세키구치 마사카즈
중의원 의장 호소다 히로유키
입법부 일본 국회 (참의원·중의원)
집권 여당
연립 여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시장 경제
GDP
(PPP)
$24조 6,597억 2,787만 | 세계 1위
1인당 $95,419 | 세계 4위
GDP
(명목)
$23조 9,322억 2,984만 | 세계 1위
1인당 $92,604 | 세계 5위
국부 $156조 5,933억 4,922만 | 세계 1위
수출
입액
수출 $1조 9,943억 5,330만 | 세계 1위
수입 $2조 3,263억 2,699만 | 세계 1위
외환보유액 $4조 3,672억 1,280만
신용 등급 무디스 Aaa
S&P AA+
Fitch AAA
통화 화폐 일본 엔(¥, 円)
홍콩 홍콩 달러(HK$) HKD
마카오 마카오 파타카(MOP$) MOP
싱가포르 싱가포르 달러(S$) SGD
ISO 4217 JPY
국가
예산
1년 세입 $3조 5,362억 2,810만
1년 세출 $4조 2,245억 7,750만
단위
[ 펼치기 · 접기 ]
도량형 SI단위
통행 방향 우측통행
연호 레이와(令和)
시간대 GMT+08:00~09:00 (JST)
외교
[ 펼치기 · 접기 ]
유엔 가입 1956년
수교국 192개국
ccTLD
.jp
국가 코드
392, JPN, JP
국제 전화 코드
+81
위치

개요

동아시아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상세

GDP(명목/PPP) 규모 1위, 세계 수출입량 1위, 민주주의 지수 13위 등을 기록하여 전세계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명실상부한 선진국이자 미국과 함께 G2를 이끌어가고 있는 대표적인 초강대국이다.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상징적 국가 원수인 천황은 나루히토이고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정부 수반인 내각총리대신은 모테기 도시미쓰이다.

본래 일본은 일본 열도의 혼슈 섬 일대만을 거느리던 봉건제 국가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1867년 대정봉환을 통한 덴노로의 권력 복구와, 뒤이은 메이지 유신을 통하여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개화된 국가로 부상하였다. 이를 통해 비(非)서구권의 최초이자 마지막 제국주의 국가가 될 수 있었다. 이후 1895년 일청전쟁을 통해 다이완 섬을 합병하고, 1910년 경술일선합병조약을 통해 조선과 조선이 거느리던 조센 반도를 자국의 영토로 두었다. 현재와 같은 영토가 형성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을 통해 독일 제국의 태평양 식민지들을 자국의 영토로 편입하면서이다.

1932년부터 1951년까지 약 20년간 군인들이 정치를 장악하는 등의 정치적인 혼란이 있었으나, 1950년대 이후로는 51년 체제라고 하여 사회당이 주도하는 좌익 세력과 자민당이 주도하는 우익 세력의 안정된 보혁 양당구도가 자리잡고 있다.

민주주의, 기술, 경제, 그리고 국민의 삶의 질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세계적인 우위를 구축하고 있는 강대국이다. 일본의 통화인 일본 엔만 하더라도 세계 통화 거래량의 3~4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기축통화이다. UN을 비롯한 여러가지 국제 조약과 기구에 가입되어있으며, 비 서구권 국가중 유일한 G7의 회원국이자,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주도국, 아시아개발은행(ADB) 설립국 등의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상징

국호

일본의 공식적인 국호는 대일본제국(大日本帝國)이다. 그러나 대일본제국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1940년대이며, 그 이전에는 대일본국(大日本國), 일본국(日本國), 일본제국(日本帝國), 대일본(大日本) 등의 일관되지 않은 표현들이 서류 상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1940년대 초반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들어 대일본제국(大日本帝國)으로 정하고 국제적인 조약 및 서류에서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현재와 같은 명칭이 굳어지게 되었다.

약칭으로는 일본(日本)과 일본제국(日本帝國)이 주로 사용된다. 일본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전인 아스카 시대에는 왜국(倭國)이 공식적인 명칭이었으며, 701년의 다이호 율령 반포 당시 왜국의 명칭이 일본으로 바뀌었다. 그 외에는 야마토(大和)라는 명칭도 대중적으로 널리 쓰이는 일본의 별칭(別稱)이다.

국제적으로는 일본국(日本國)의 중국식 발음이었던 지펀구를 마르코 폴로가 라틴 문자로 옮긴 Zipangu가 Japan이라는 단어로 변형되어 보통 일본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 일본 측의 공식적인 명칭은 Empire of Japan이며, 드물게 Empire of Great Japan 혹은 Greater Japanese Empire라는 표현도 사용된다.

국기

대일본제국의 법정 국기
일장기 | 히노마루
日章旗 | 日の丸
빨간색 (#AF001F) 하얀색 (#FFFFFF)

일본의 공식적인 국기인 일장기(日章旗)는 일본 민족의 상징으로서 수천년간 사용되어온 깃발이었다. 공식적인 국기로 채택된 것은 메이지 3년(1870년) 2월 27일의 일이다. 하지만 가마쿠라 시대 때부터 일장기와 디자인이 유사한 니시키노미하타가 사용되어왔기 때문에 일본을 상징하는 요소로서 일장기가 사용되어온 기간은 가늠할 수 없이 길다. 공식적인 명칭인 일장기보다도 히노마루(日の丸)라는 별명으로 더 자주 불리는 깃발이다.

속 일본기에 따르면, 701년 몬무 덴노가 태양을 나타낸 깃발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이것이 일본 역사상 최초로 태양 상징 깃발을 사용한 사례이지만, 흰색 바탕에 빨간 동그라미는 아니었다. 다만 바탕에 원 하나라는 디자인은 고대나 현대에나 같았고, 이 깃발은 일본의 조정을 상징하는 깃발로서 사용되었다. 늦어도 16세기 이전에는 빨간색 동그라미에 하얀 바탕이 디자인이 되는 현대 모양의 일장기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다가 에도 시대 때부터 상선에 흰 바탕에 빨간 동그라미를 그려넣은 상징을 사용하게 되면서 일장기는 국제적으로 일본을 상징하는 국기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욱일기 역시 일장기와 마찬가지로 국가적인 상징으로 사용되지만, 공식적인 국기는 아니며 군기(軍旗)로 사용된다. 하지만 욱일기 역시 일장기에 못지 않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기에 준하는 대접을 받고 있다.

국가


(きみ) () (임금의 치세)[3]

일본의 국가는 <기미가요>이다. <기미가요>는 국가치고 분위기가 매우 어두우며, 단 11마디의 단가로만 되어있다는 특징이 있다. 일본 특유의 애니미즘적인 요소가 들어가있는 것도 특징이다.

기미가요는 가사가 먼저 나왔고 곡은 나중에 붙었다. 912년 편찬된 <고금 와카집>에 익명의 단가로 처음 등장하였는데, 이후 여러 문헌에 수록되며 장수를 기원하는 노래로써 신분에 관계없이 천 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사랑받았다. 1868년 메이지 유신이 이뤄진 이후, 일본에는 자국을 상징할만한 국가가 필요했고 이에 따라 프란츠 에케르트가 기미가요에 현재의 곡조를 붙여 곡을 완성하였다. 20세기 들어 기미가요는 천황을 기리는 사상과 밀접하게 연관되기 시작했다.

<기미가요> 이외에도 <바다에 가면>(海行かば) 역시 국가에 준하는 지위를 가지고 군가(軍歌) 및 준국가로서 사용된다. 이 노래는 비교적 늦은 1937년 작곡되었으며, 국내외적인 정세에 맞춰 준국가로 사용되어졌다.

지리

자연

혼슈

크게 일본 열도, 조센 반도, 다이완 섬으로 이루어져있지만, 부속 도서까지 포함할 시 그야말로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섬들이 일본이라는 나라를 구성하고 있다. 영토중 확실하게 대륙의 일부라고 할만한 것은 반도로 딸려있는 조센 반도의 일부 지역에 불과하며 그 외의 영토는 모두 섬으로 이뤄져있어, 세계적으로 가장 인지도가 높은 섬나라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영토는 온대기후에 걸쳐있지만, 영토가 넓은만큼 기후도 그만큼 다양하다. 조센반도 북쪽과 북방영토, 사할린 섬 그리고 홋카이도 일대는 한대 기후에 속한다. 조센 반도의 게이조부 역시 냉대기후에 걸쳐있다. 반면 다이완 섬은 태풍이 자주 몰아치고 연중 습하고 더운 날씨가 계속되는 열대 기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사계절이 뚜렷한 편이고, 산과 강이 많아 아름다운 자연 경관으로도 많은 관광객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다이완섬과 히가시니혼 지역은 환태평양 화산대를 끼고 있어 지진이 빈발한 반면, 조센반도와 케이한신 지역[4]은 지진의 빈도수가 극도로 적어 지진을 두려워하는 여러 일본인들이 조센이나 니시니혼으로 이주하여 살고 있다. 대표적으로 1956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다니자키 준이치로.

인구

일본 열도에 총 1억 4천만명이, 조센 반도에 8천만명이, 다이완 섬에 2천만명이 거주하고 있다. 일본 열도는 규슈, 시코쿠, 혼슈, 홋카이도 등 4개의 섬으로 나뉘지만, 인구의 절대다수가 혼슈 섬에서 거주하고 있다. 인구상으로 가장 밀집된 곳은 혼슈 섬의 간토 평야, 긴키 일대의 케이한신 권역[5], 조센반도의 니조하라[6] 권역, 그리고 다이완섬의 다이호쿠부이다.

1가구 주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보니 간토 평야와 같은 곳은 전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스프롤 현상을 보이고 있다. 전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 20개중 19개가 일본에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일본의 대도시들은 그 규모와 인구 수에 있어서 다른 나라들을 압도하고 있다. 그러나 그만큼 중소도시와 지방의 형편이 어려운데다가 대도시의 집값이 비싸 최근에는 오히려 지방 도시로 이주하는 인구수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행정구역

대일본제국
도도부현
[ 펼치기 · 접기 ]

광역자치단체 개념으로 도도부현(都道府県 (とどうふけん))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이중 도(都)는 도쿄도, 도(道)는 홋카이도 밖에 설치되어있지 않아 대부분의 광역지자체들이 부나 현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도(都)

도쿄도

일본 유일의 도(都)인 도쿄도는 제국의 수도이자 최대도시로, 약 1,500만명이 거주하며 광역인구는 3,900만명이다. 최대 도시이자 수도라는 점에서 도라는 특별 지위를 받았고 다른 도는 현재까지는 없다. 전쟁 중이었던 1943년 7월 1일 도쿄도제가 실시되면서 도쿄부를 도쿄도로 개편하였다. 당시 도쿄도 수장의 명칭은 '도쿄부 장관'이었다. 현재 도의 지자체 수장은 도지사이다. 도쿄도지사는 다른 현지사나 부지사와 마찬가지로, 직접선거로 4년에 한번씩 뽑으며 재선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쿄도의회 선거 역시 4년 주기로 치뤄진다.

본래 직할시였으나, 1947년 23구를 설치하고, 1967년 도쿄도지사를 직선으로 선출하면서 광역자치단체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 도쿄도의 특별구는 다른 정령지정도시의 행정구와는 달리 시에 속해있지 않다는 특징이 있고 각각의 특별구는 시정촌과 같은 지위를 가지고 있다. 도쿄는 23구부로 이루어진 정사각형 모양의 도심지역과, 시와 정으로 구성된 배후 도시인 타마가 합쳐진 가로로 길쭉한 모습을 하고 있다. 보통 도쿄라고 하면 23구부만을 이야가하지만, 1,500만 도쿄도민중 1/3 가량인 480만명 가량이 타마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다.

도(道)

홋카이도

홋카이도를 지칭하는 행정구역단위이다. 도는 7세기 율령제 반포 이후 설치되어 1871년 이후 서서히 용도폐기되었다. 홋카이도는 위의 행정구역의 명명 방식에 따라 역사적으로 가장 최근에 이름이 붙은 지역인데, 이제 이 행정단위를 쓰는 곳은 홋카이도가 유일하다. 홋카이도는 본토와는 정반대로 3현(하코다테현, 삿포로현, 네무로현)을 거쳐 1886년 홋카이도청(北海道廳/北海道庁)이 설치되었다. 이후 1956년 북방 영토의 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사할린 섬과 쿠릴 열도, 홋카이도를 엮어 홋카이도가 출범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땅이 넓어서 출장소 개념으로 14개의 진흥국(振興局)과 2개[7]의 지청(支庁)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진흥국 및 지청 중 두 곳에는 시가 없다.

홋카이도의 수장은 홋카이도지사로 마찬가지로 직선직이다.

부(府)

게이조부

부는 현의 가장 큰 도시를 현의 개념으로 승격시킨것과 비슷하지만, 도(都)와는 달리 산하에 자치구를 둘 수 없다. 현재는 오사카부, 교토부, 게이조부, 다이호쿠부 등 총 4개의 도시가 부로 설치되어있다. 메이지 시대 초기에는 홋카이도 하코다테, 나가사키현, 가나가와현, 나라현, 에치고, 카이에도 부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후 1869년, 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거치면서 교토, 오사카, 도쿄만이 부로 남게 되었으며, 1943년 최종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통하여 도쿄가 도쿄도로 승격되고 게이조와 다이호쿠가 부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예전에는 부가 도(都)와 마찬가지로 높은 수준의 자치를 보장받았지만, 점차적으로 부지사의 직할 권한이 없어져서 현재는 현과 별 차이가 없어졌다. 영어 명칭도 현과 같은 Prefecture를 쓴다. 부는 산하에 시정촌은 있을 수 있어도 자치구를 둘 수는 없다. 설치 초기에는 부지사가 해당 부의 중심 도시를 관할했기 때문에 적어도 그 당시에는 광역시와 비슷했지만, 현재 일본에서는 51년 체제로 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부는 일반 행정구역인 현과 동일한 법령을 적용받는다.

따라서 일부 부는 도(都)로의 승격을 노리고 있다. 2011년 게이조도 전환 주민투표, 2015년 오사카도 전환 주민투표 문서를 참조. 참고로 양측 모두 부결되어, 도로의 전환을 추진했던 부지사가 정치적인 타격을 입었다. 지역주의 활동이 활발한 게이조부, 오사카부와 달리 다이호쿠와 교토는 도로의 승격 움직임이 거의 없다.

현(県)

1868년 폐번치현을 통해 에도 시대의 각 번(藩)들을 행정구역화한 것이다. 이 때문에 메이지 시대 초기에는 현의 개수가 302개에 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러개의 현이 합쳐지고, 또 분리되는 과정을 합치면서 현재는 현의 개수가 77개로 줄어든 상태이다.

여담으로 현의 이름은 현청이 소재한 도시의 이름이나, 예전에 현청이 소재했던 도시의 이름을 따온 경우가 매우 많다. 오키나와현 정도만이 이 경우에 속하지 않는다.

식민지 시대의 행정구역

과거에 조센다이완에는 각각 도(道)와 5주 3청(5州3庁)이라는 이름의 개별 행정구역이 존재하였다. 또한 내지와의 구별을 하고자 지명을 음독으로만 읽었다. 1943년, 교키도게이조시다이호쿠주가 부로 승격되었고, 이후 1955년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조센과 다이완에도 도도부현제도가 실시되었다. 다이완은 1968년까지 다이완도(台湾道)라는 독립된 행정구역으로 존재하였으나, 이후 주민투표를 통해 6개의 현으로 쪼개졌다.

현재 일본에 남아있는 식민지인 다이렌청,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에는 각기 다른 행정 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이 지역들은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보장받으며 여전히 천황이 임명하는 총독들이 파견된다.

기초자치단체: 시정촌

시정촌(市町村)이라고 하여 도도부현 산하의 기초자치제도 역시 실시되고 있다. "시정촌"이란 이름에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도쿄도의 23개 특별구도 시정촌과 같은 단계의 지자체이기 때문에 묶어서 시구정촌이라고도 부른다.

메이지 시대 이전에는 상공업자가 모여사는 마을을 정(町), 농민이 사는 마을을 촌(村)이라고 불렀다. 메이지 시대 초중기에 정촌을 폐지하고 대구소구제 등을 시행하다가 폐지하는 시행착오를 겪었다. 현재의 시정촌제는 1888년 도입되었으며 시정촌 대통합 작업 후인 1899년 실시되었다. 1888년 이전에도 정촌은 존재했지만 이때의 정촌은 말그대로 '마을' 단위로 설정되었는데, 이른바 메이지 대합병 과정을 거친 1889년부터는 마을 여러 개를 묶어서 시정촌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후 1951년 51년 체제에 따라 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른 제도로 현재의 시정촌 제도가 확립되었다.

인구가 5만명 이상이면 시로 승격된다. 시는 다시 특례시(特例市), 중핵시(中核市), 정령지정도시(政令指定都市)로 나뉜다. 인구가 25만 명 이상이면 특례시, 50만 명 이상이면 중핵시, 70만명 이상일시 중핵시로 지정된다.

외지

대일본제국
외지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천황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명목상의 국가원수는 천황이지만, 실질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은 국회에서 선출되는 대일본제국 내각총리대신이다. 물론 천황이 가끔씩 친정을 하기도 하지만, 마지막 친정의 사례가 1951년이었기 때문에 사실상 내각총리대신이 국가를 이끈다고 보면 된다.

세계적으로 가장 민주주의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국가중 하나로 분류된다. 1950년 이전에는 군사의 힘이 정계에 미치는 힘이 강력한 군사독재의 국가에 가까웠으나, 1951년 민주화 시위대와 공권력의 충돌 이후 군부의 힘을 우려한 쇼와 천황이 친정을 선포하여 권력을 직접 민간에게 돌려주었다. 이때 이후 일본은 현재까지 천황의 적극적인 비호 아래에 특별한 민주주의의 위기도, 정치적인 사태도 없이 안정된 민주주의를 운영해왔다. 1951년 이후의 안정적인 민주주의 체제를 51년 체제라고 하거나 혹은 쇼와 데모크라시라고 부른다.

보수, 국가주의 성향을 표방하는 자유민주당과 진보, 사회주의 성향을 표방하는 일본사회당이 70년에 가까운 세월동안 정권을 주고받아오며 보혁구도의 양당제를 형성하고 있다. 현재의 집권당은 자유민주당이며, 자유민주당의 총재인 모테기 도시미쓰가 내각총리대신 직을 맡고 있다. 일본 공산당, 시민 리그와 같은 군소정당도 존재하지만, 연정 파트너의 존재 이외에는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내각제와는 별개로 막후 권력에 비대하게 발전한 국가이기도 하다. 중앙성청은 관료에게, 정당 정치는 군사에게 크게 휘둘린다는 비판이 있다. 그래서 관료 파벌과 내각이, 군사 파벌과 당 내 정치인 파벌이 갈등하는 경우가 잦고 아예 군부가 지지하지 않으면 총리가 될 수 없거나, 혹은 관료가 지지를 거두면 내각이 붕괴되는 일이 종종 일어나고 있다.

천황


대일본제국 천황
[ 펼치기 · 접기 ]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제126대
메이지 다이쇼 쇼와 아키히토 나루히토
신대 통치 · 야마타이 국왕 · 북조 천황 · 추존 및 비정통 천황
나루히토 천황
大日本帝國ハ萬世一系ノ天皇之ヲ統治ス
대일본제국은 만세일계의 천황이 이를 통치한다.
대일본제국 헌법 제1조

제국 헌법 제1조에 따라 천황은 일본의 국가원수이다. 현재의 천황은 제126대 천황인 나루히토이며, 황위 계승자는 나루히토의 장녀인 아이코 내친왕이다.

일본 천황은 다른 국가의 국왕과 달리 유일하게 황제(Emperor)이라는 작위로 호칭되고 있다. 가문의 역사에 있어서도 다른 가문들을 월등히 능가하는 적통성과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일본의 황실은 약 2,600년간 한번도 끊김이 없이 이어져왔으며, 이를 만세일계라고 부른다. 막부가 바뀌고, 막부 체제에서 제국주의 체제로, 제국주의 체제에서 민주주의 체제로 이양되는 과정에서도 천황은 국민통합의 상징으로서 보존되었으며 천황의 자리를 탈취하기보다는 보존하는 세력이 더욱 정통성을 가진다고 인식되었다. 그만큼 일본의 천황은 일본의 구심점이자, 일본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는 존재이다.

국민적으로 공화주의 조직이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을 정도로[8] 천황은 일본 국민들에게 있어서 절대적인 신임을 받는다. 쇼와 천황 이후 아키히토 천황, 나루히토 천황 그리고 현재의 황위 계승자인 아이코 내친왕까지 황실 구성원들이 민주주의의 수호자를 자처한데다가, 국가 위기의 상황에서 국민들을 통합하는 역할을 맡았기 때문에 일본의 천황제는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입헌군주제의 사례로 꼽히고 있다.

내각총리대신

파일:플로라 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대일본제국 내각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메이지 시대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이토 히로부미 구로다 기요타카 야마가타 아리토모 마쓰카타 마사요시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이토 히로부미 마쓰카타 마사요시 이토 히로부미 오쿠마 시게노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이토 히로부미 가쓰다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제13대 제14대
가쓰다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다이쇼 시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사이온지 긴모치 가쓰라 다로 야마모토 곤노효에 오쿠마 시게노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하라 다카시 다카하시 고레키요 다나카 기이치
쇼와 시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다나카 기이치 와카쓰키 레이지로 이누카이 쓰요시 사이토 마코토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오카다 게이스케 우가키 가즈시게 고노에 후미마로 고이소 구니아키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미나미 지로 아베 노부유키 요시다 시게루 가타야마 데츠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아사누마 이네지로 기시 노부스케 사토 에이사쿠 에다 사부로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다나카 가쿠에이 나카소네 야스히로 도이 다카코 다케시타 노보루
헤이세이 시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다케시타 노보루 호소카와 모리히로 무라야마 도미이치 에다 사쓰키
제44대 제45대 제46대 제47대
간 나오토 하토야마 유키오 아베 신조 에다노 유키오
레이와 시대
제47대 제48대
에다노 유키오 모테기 도시미쓰
인세이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아즈치모모야마 · 에도 · 내무경

원로 · 부총리

대일본제국 내각
[ 펼치기 · 접기 ]

일본의 정부수반이자 행정부를 대표하는 행정부 수장이다. 일본제국 헌법에 따르면 행정권이 속하는 내각의 수장으로 정의되어 있다. 내각총리대신은 행정 각부를 임명하며 천황을 대신하는 사실상의 국가원수로서 국정 전반을 통솔한다. 총리는 중의원/참의원에서 선출하며 자격에 중의원이어야한다는 조건은 없지만 관례상 중의원 다수당의 대표나 총재가 총리로 선출된다. 중의원/참의원에서 총리 지명 투표를 거치고 천황의 임명장을 얻어 총리 대신으로 지명된다. 중의원과 참의원에서 다른 사람을 총리로 임명하였을 때에는 보통 중의원이 우선권을 가진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의 정부 수반인만큼 국제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총리가 여럿 있어왔다. 대표적으로 에다 사쓰키, 아베 신조, 기시 노부스케, 다나카 가쿠에이 등. 현 내각총리대신은 자민당 소속의 모테기 도시미쓰이며 2021년 취임하였다.

행정각부

일본국 국가행정조직
日本国国家行政組織
1부 19성 33외국 [ 펼치기 · 접기 ]
공정거래위원회
국가공안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카지노관리위원회
국세청
금융청
소비자청
대본영
국가보훈청
방위장비청
공해등조정위원회
검찰청 문화청
스포츠청
중앙노동청
자원에너지청
특허청
중소기업청
해상보안청
해경청
우주개발청
시종청 국외자원청
임야청
수산청
운수안전위원회
관광청
기상청
출입국재류관리청
공안심사위원회
공안조사청
원자력규제위원회
중앙성청 파일:플로라 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내각총리대신 직속 기관 독립 중앙 행정 기구

대일본제국 내각 관료
[ 펼치기 · 접기 ]

중앙성청이라고 불리며 현재는 총 19개의 성(省)이 설치되어있다. 성의 대신은 주로 의원으로 구성되며 의원이 아닌 사람도 대신에 오를 수 있으나 그 수는 전체 대신의 1/2를 넘지 않게 한다. 보통 의원이 아닌 사람이 대신이 되는 경우에는 십중팔구 전현직 군 장성 출신이라고 보면 되며 관료 출신이 대신에 오르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중앙성청 이외에도 총리의 재량에 따라 특명담당대신들을 기용할 수 있는데, 현재 모테기 내각에서는 12명이 특명담당대신으로 임명되어있다. 이들은 중앙성청에서 다루는 것중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책임진다.

행정각부의 수가 많고 특명대신도 있는만큼 대신직 자체는 권한이 크지 않으며 오히려 권력 투쟁을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잦다. 실무는 거의 대부분 관료가 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외무성과 대장성, 상공성의 힘이 강력하다하나, 경제 및 외교 관련 부처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단지 발언권만 강할 뿐 업무 자체는 관료가 전부 다 하고 대신은 도장만 찍는 역할만 한다.

간혹 해당 분야의 엄청난 전문가인 의원이 대신 직을 맡으면 관료도 꼼짝 못하는 경우가 있으나, 사실 누구를 대신에 앉히게 하느냐 자체가 당 내에서 큰 파이를 차지하는 군대 출신 파벌들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잦기에 이 경우에는 군사 정치와 또다시 씨름을 벌여야한다.

국회와 선거

대일본제국 국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모테기 내각 (2021.10.21 - )
여당

자유민주당
 169석 307석 

공명당
 21석 23석 

남방의당
 3석 4석 
야당

일본사회당
 142석 244석 

시민 리그
 13석 30석 

일본공산당
 11석 13석 

신사회당
 3석 6석 

레이와 신센구미
 5석 3석 

차세대당
 3석 4석 

그린스 재팬
 0석 3석 
무소속  14석 11석 
공석  0석 2석 
재적 384+38석 · 650+20석
좌측은 참의원 의석 수, 우측은 중의원 의석 수

본래 귀족원과 중의원으로 나뉘어져있었으나, 1962년 개헌을 통하여 귀족원을 폐지하고 이후 민의에 의해 선출되는 상원인 참의원이 설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22석의 참의원 의석중 약 10%에 달하는 38석은 화족에게 배정되어있는만큼 여전히 상원 내에서 화족의 영향력은 강력한 편이다. 이들은 일반 사안에 대하여는 표결권이 없으나 예결 및 총리 선출에는 표결권을 가진다.

한편 중의원은 한 선거구에서 한명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와 정당 득표에 따라 의석을 정하는 불구속 명부 비례대표제로 이뤄진다. 총 의석은 650석으로 민선 참의원 의석의 약 2배에 달한다. 중의원에도 화족 의석으로 20석이 배정되어있으나 이는 단지 참관 의석일 뿐이며, 민중의 국회라는 정체성을 흐리지 않기 위해 표결권이 존재하지 않는다.

중의원에서 2/3의 동의를 받은 법률은 참의원의 동의 없이 통과가 가능하지만, 어떠한 경우에라도 참의원은 60일동안 법안을 계류시킬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또한 예산 결산은 중의원에서 하지만 인사권의 대부분은 참의원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인식에 비하면 참의원이 가지는 권한이 상당히 강력한 편이다. 그러나 법상에서는 중의원 우위권을 인정하기에 중의원과 참의원간 권한 분쟁이 일어났을 때 대체로 중의원이 유리하며 중의원과 참의원이 다른 총리를 지명했을 때에는 중의원에서 선출된 총리가 총리직을 맡는다.

본래 일본 열도 내부에서만 선거가 치러졌으나 1951년 조센에 10석, 다이완에 5석의 중의원 의석이 배정되며 처음으로 전국 단위의 선거가 치러졌고, 1962년에는 최종적으로 모든 지역에서 인구 비례에 따른 선거구를 획정하게 함으로서 보통 선거가 이뤄지게 된다.

정당

일본사회당을 필두로 하는 진보혁신계 세력과 자유민주당을 위시로 한 보수우파 세력의 안정적인 보혁제 양당 구도가 70년간 이어져오고 있다. 1980년대에 리쿠르트 사건 등의 대규모 부정부패 사건으로 정당간의 이합집산이 일어나기도 했으나 1990년대 이후로는 별다른 분열이나 특정 정당의 급격한 몰락 없이 안정된 정당 구도가 쭉 이어지는 추세이다.

당 내 파벌이 발전되어있고 이합집산도 자주 일어난다. 그러나 당 내 파벌을 합친 것 이상의 권력을 가지는 군대 출신 인사들로 구성된 군사 파벌이 당 내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일단 한번 당수가 되면 산하 참모들만 자주 바뀌고 당수는 임기를 계속 유지하는 경우가 잦았다. 심한 경우에는 아예 당수는 바지사장이고 군사 파벌이 알아서 다 해먹기도 한다. 참고로 이는 총리도 마찬가지라 총리를 얼굴 마담으로 내세우고 내부적으로 국무대신을 교체해가며 권력 투쟁을 해가는 경우가 많다.

관료제

중일전쟁 이후 군부가 외교에 있어서 힘을 점진적으로 상실하고 반대급부로 관료들의 사후 처리 매뉴얼이 돋보이면서 195~60년대 이후 경제와 통상, 외교적인 면에서 관료제가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향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과 더불어 전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일본의 막강한 외교력은 경제 규모 세계 1위에 속하는 막강한 국력 덕택이지만, 동시에 외교와 통상 면에서 철저한 매뉴얼과 대응책을 세워놓는 관료들의 영향 역시 무시할 수 없다.

특히 대 아시아 외교 통상 분야에서는 자국보다도 더 자국을 더 잘 아는 나라로 정평이 나있다. 만주국, 직예 같은 일본의 괴뢰국 뿐만 아니라 적대 관계에 있는 국민당 정권, 공산당 정권도 일본 앞에서는 꼼짝 못한다. 빈틈이 없는 철저한 아시아 태평양 외교 정책을 통해 1950년대 이미 동남아시아까지 전 지역을 자국의 영향권 아래 포섭하는데 성공하였고 이러한 일본의 관료제를 바탕으로 한 아시아 패권주의는 신냉전에서 일본이 미국을 상대로 우위를 잡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대장성상공성에서는 경제관료들의 중노동 대응 매뉴얼과 기업들 통제 전략, 국회/국민 설득 방안 등에 대한 매뉴얼도 전부 따로 작성해 놓고 있다. 무역/통상 협상을 하러 가면 일본은 이미 실무진들을 통해 상대국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해 두고, 그 국가의 협상 전략까지 세세하게 파고들어서 대응 전략을 마련해 두고 협상에 들어온다. 이 때문에 협상 상대국이 일본의 페이스에 말려들어서 제대로 된 협상을 하지 못하여 협상 자체가 결렬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한번 협상을 제대로 하면 가장 빠른 속도로 진척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유연함이 없는 관료 정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 내에서는 관에 대한 정치의 우위가 나타나고 있다. 아베 내각, 에다노 내각, 모테기 내각을 거치면서 이전까지 관료가 서류를 제출하면 대신은 그저 도장만 찍는 구도에서 벗어나 정치권이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미일 경제 전쟁 역시 관에 대한 정치권의 우위가 확립된 사건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도리어 미일 경제 전쟁 도중 정치인들이 저지른 일부 무리수들이 부각됨으로 인해 역시 외교와 통상, 경제는 관료가 맡아야한다는 여론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지방 정치

일본의 지방 정치는 중앙 정치와 철저하게 분리되어있다. 중앙 정치인이 직을 버리고 지방 정치에 뛰어드는 것 자체가 매우 이례적인 일로 여겨질 정도이다. 일본에서는 반대로 지방 정치를 하다가 중앙 정치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중앙 정치가 지방 정치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예외가 있다면 게이조 지역주의 정당인 시민 리그나 시가현지사였던 가다 유키코 정도.

정당의 공천이 지방 정치에서 금지된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지방 선거에서 대부분의 후보자들이 정당 당적을 포기하는 대신 여러 정당들의 지지를 받아 출마하는 경우가 잦다. 주로 자유민주당, 공명당 추천 후보와, 사회당 추천 후보가 맞붙고 공산당 추천 후보가 제3지대로 나서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보니 관료와 군대의 영향력이 지대히 미치고 있는 중앙 정치와 달리 일본의 지방 정치는 총평 등 노동조합과 지역 유지들, 그리고 지역 기업들이 더 큰 영향력을 미친다. 물론 이것도 지역별로는 달라서 대도시의 경우 조직력에 구애받기보다는 중앙 정치에 따라가는 경향이 있다.

선거가 매우 다양하다보니 현지사나 현의회를 뽑는 선거가 아니면 보통 투표율이 4~50%대로 낮은 편이다. 중의원, 참의원, 현지사 선거가 보통 투표율 7~80%대, 못해도 60%대를 기록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조직력이 강하게 미치는 지역 정치에 대해 일본인들이 큰 정치적 효능감을 느끼지 못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맹점 때문에 일본공산당과 같은 일부 정당들은 부라쿠민 해방 조직 등 소수자, 시민단체와 결합하여 중앙 정치보다 더 큰 발언권을 가지기도 한다. 실제로 자민당이 극도로 유세한 일부 시골의 경우 제1야당의 포지션을 공산당이 맡는 경우가 잦다.

군사

일본군
日本軍 (にっぽん ぐん)
Japanese Armed Forces
일본 육군 일본 해군 일본 공군

일본군은 1871년 창립된 동아시아 최초의 근대식 군대이자, 국방력으로 동아시아 전체 1위, 세계 전체 2위의 군대이다. 보신전쟁부터 이라크 전쟁까지 수많은 전쟁에 참여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까지는 육군성과 해군성이 따로 있었지만 51년 체제를 통한 육해공 통합으로 방위성이 성립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국방력은 미국에 이은 2위이지만, 소련과 군사안보적 동맹을 맺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1위에 가깝다.

일본제국 헌법에 따라 일본군은 천황이 지휘한다. 따라서 군은 내각 휘하가 아닌 천황 휘하에 있고 이는 현재까지 일본이 선진국 치고 군이 정치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강력한 하나의 이유가 되고 있다. 그러나 쇼와 덴노가 스스로 군에 대한 지휘권 일부를 내각에 양도한 이후 어디까지나 이는 형식적인 조어에 불과하게 되었다. 물론 내각에서 군을 통제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천황의 묵인 및 승인이 있기 때문이며 천황의 결정에 따라 언제든지 내각으로부터 군의 영향력을 가져올 수도 있다.

초기에는 사쓰마 번이 주도한 해군과 조슈 번이 주도한 육군으로 나뉘어져있어 육해군 대립이 극심하였으며, 육해군의 갈등은 중일전쟁 때까지 쉽사리 해결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쇼와 덴노가 1950년부터 1951년까지 약 1년에 걸쳐 친정을 감행하며 육해군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동시에 1951년 가타야마 데쓰사회당 내각이 출범하며 육해군 자체가 정계에 미치는 영향력도 축소되었다. 이후 1955년, 가타야마 총리 및 쇼와 덴노의 중재 하에 육해군이 서로 양보하여 육군 항공대와 해군 항공대가 통합되어 공군이 출범하여 현재에 이른다. 물론 육해군 대립은 여전해서 육군이 자유민주당 쪽을, 해군이 일본사회당 쪽을 밀어주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193~50년대의 육해군 대립에 비하면 미약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군사 정치

선진국 치고는 이례적으로 군대가 정계에 미치는 힘이 강력한 국가이다. 그나마 지금은 나아졌지만 민주화 이후에도 1970년대까지 군대의 동의가 없으면 아예 총리에 취임할 수 없을 정도로 군의 파워가 막강했으며 다나카 가쿠에이의 영향력으로 정당 내 파벌 정치가 더욱 강화된 편이나 2020년대 현대까지도 군 내 파벌은 각 정당의 큰 흐름이 영향을 미친다. 그나마 군의 힘이 미치지 않은 정당은 창가학회의 영향력이 강한 공명당과 반군국주의를 표방하는 일본 공산당 정도밖에 없다.

각 정당 내에서 군 출신 인물들은 독자적인 파벌들을 구성하고 있으며 아예 육해공군의 현직 장성들이 직접 정치에 관여하는 일도 잦다. 총재 혹은 당대표 경선 도중에는 다수의 당 내 군 파벌이 지지하는 인사가 거의 무조건적으로 당선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육군 강경파의 지지를 받은 아베 신조 총리의 취임 이후 내각군제국이 설립되어, 탈군국주의를 추구한 에다 사쓰키 내각 시절에 비해 군이 정치에 관여할 수 있는 권한이 크게 부여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의 정치는 정당조직 막후의 군사, 중앙성청 막후의 관료로도 묘사된다.

과거에는 이런 경향이 더 심해서, 1927년 쇼와 공황으로 인기를 잃은 정당 정치를 대신해 1930년대부터 1950년까지 거의 20년에 가까운 시기동안 군사 독재를 주도하였다. 그러나 중일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 이후, 일본 내에서 군이 여전히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데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이 확산되었고 비슷한 시기 민권 운동이 일어나면서 군부 정치는 위기에 처했고 결국 쇼와 덴노가 직접 거병하며 1950년 군부는 군사독재 체제를 자발적으로 내려놓게 된다. 이후 사회주의 성향의 내각이 계속 들어서면서 군대가 미치는 정치적 영향력은 점차적으로 축소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상당히 많은 정치인들이 군 출신일 정도로 군이 정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대하다. 1970년대 사회당의 노선 온건화외 더불어 사회당에도 육해공군 출신들이 많이 유입된 편이다. 군대 자체가 사회에서 받는 존경심도 다른 나라에 비하면 남다른편이고 정부 부처장에서도 전쟁대신이 대장대신에 이은 내각 서열 3위를 차지한다. 게다가 전쟁대신은 의원이 아닌 군인이 임명되는 일이 대단히 잦으며 민간인 혹은 의원이 전쟁대신이 경우는 극히 드물다.

그 외에 육군성, 해군성 등 국가 안보 및 외교에 관련된 부서 대부분을 군부가 꿰차고 있으므로 내각 요인중 상당수가 군 출신이다. 실제로 현 모테기 내각의 대신 32명중 무려 25%에 달하는 8명이 전현직 군 장성으로 구성되어있다는 점에서 군이 여전히 정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경제

1950년대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 이후 비약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며 특히 1980년대에는 폭발적인 경제 성장을 보이며 소련을 추월하고 세계 제2의 경제 강국이 되었다. 1990년대 이후로는 성장 속도가 약간 낮춰졌음에도 불구하고 2008년 금융위기 이전까지 단 한번도 3% 이하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한 적이 없었다. 2008년 금융 위기로 잠깐 위기를 맞이하였으나 바로 다음해 12%의 경제 성장률을 보이며 빠르게 위기를 수습했고 2010년대 이후로도 연평균 5% 이상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현재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경제 대국으로 손꼽히고 있다.

2억명을 넘어가는 막대한 인구로 유지되는 강력한 내수시장이 특징이며 특히 2000년대 이후로는 저렴한 인건비 탓에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리는 중국과의 거리적인 이점을 이용해 경제적인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서쪽으로는 중국을, 동쪽으로는 태평양을, 남쪽으로는 오세아니아를 맞댄 천혜의 위치 덕택에 세계 물류량 총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소련공산당 정권을 제외하면 주변에 특별한 적대국가도 없으므로, 남쪽으로 남미와 갈등을 겪고 있고 유럽과의 관계도 불안정한 미국에 비하면 더욱 원만한 외교 상태를 통하여 안정적인 지역 경제 블록을 구축하고 있다. 호주, 국민당 정권 등과는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 대륙과는 조센 반도를 통해 육로로 연결되어있기에 접근성이 용이하다.

금, 은을 많이 수출했던 에도 시대 때와는 달리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에는 자원 경제가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조센 반도 북부에서 대규모 탄광이 발견되고, 더 나아가 만주국에서 석유가 체굴됨에 따라 자원 경제의 빈곤에서는 일찍이 벗어난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여전히 조센과 만슈 지역의 자원 체굴에 신중론을 펼치고 있는데 이는 국제적인 자원 위기 상태에 대응하기 위해 보험을 들어놓은 것이다.

교통

전세계에서 가장 대중교통이 발달한 국가로 손꼽힌다. 수십년에 걸친 일본 정부의 노력 끝에 현재 일본 전역에서는 왠만한 오지가 아니면 전 지역에 JR이 운영하는 전철이 상시 운행중이며 도심 지역은 해당 도시 지역 주민들도 햇갈릴정도로 촘촘하게 짜여진 지하철과 도시철도 노선으로 짜여져있다. 철도가 아니더라도 버스와 같은 다른 대중교통 시설과 전철의 연계가 잘 되어있으므로 자가용이 없어도 사는데 별 문제가 없는 수준으로 대중교통 인프라가 훌륭히 갖춰져있다.

조센 반도일본 열도는 1997년 건설된 지하 터널로 연결되어있으며 이동하는데 어떠한 불편함도 없으며 그게 아니더라도 시모노세키, 구마모토, 기탸큐슈 등지에서 무라야마, 우루산 등으로 향하는 항만편이 상시 운항중이다. 한편 다이완과 일본 본토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배를 타고 가거나 혹은 비행기를 타고 가야 하지만, 도쿄와 다이호쿠는 비행기로 3시간, 게이조는 2시간 30분이면 갈 수 있어 큰 불편은 없는 상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운송은 항만으로밖에 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일본 정부는 아베 신조 내각 시절부터 오키나와현을 거치는 초거대규모의 지하 터널을 계획중에 있다. 사실 이 계획은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 시절부터 기획되어왔으나 현실성 문제로 실패했고 현재 기술로도 건설에 최소 60년은 걸릴거라는 예상이 나오기 때문에 실제로 계획이 이루어질지는 알 수 없다.

사회

언어

일본어가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인중 일본어를 구사할 수 없는 인구는 거의 없다. 일본어는 류큐어와 함께 일본어족에 속하지만 류큐어는 사실상 소멸된 언어이므로 일본어를 고립어로 분류하는 학자들도 적지 않다.

지역어로는 다이완어, 조센어, 아이누어, 류류어 등이 있지만 전부 사어이다. 그나마 중앙 정부의 영향력이 잘 닿지 않는 조센반도 북부 산간 지역에서 조센어의 화자 비중이 10~15% 정도로 높은 편이나 그뿐이며 다이완어나 아이누어는 사용 화자 수가 1,000명을 넘지 않아 사실상 소멸된 언어로 분류된다.

물론 다이렌청, 홍콩 같은 외지에서는 중국어, 민남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고 중앙 정부에서도 이를 외지의 자율적 행정권을 보장하기 위해 굳이 건드리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도 의무적 일본어 교육은 강제되기에 일본어를 사용하지 못하는 외지 거주자는 찾기 어렵다.

문자

가타카나와 히라가나로 이루어진 일본의 고유 문자인 가나, 그리고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한자의 경우 1960년대까지 구체자를 썼으나 너무 쓰기 어렵다는 이유로 1970년대까지 점진적으로 획 수를 줄이는 신체자로의 개혁을 실시해 현재에 이른다. 그러나 일본제국의 국명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구체자로 쓰고 있으며 황실은 여전히 공식적으로 구체자를 사용하는 등 구체자가 완전히 자취를 감춘 것은 아니다.

과거에는 만요가나라고 하여 중국의 한자를 일본어의 발음으로 반영하여 사용하였으나 불편함이 있었기 때문에 중국의 한자를 변형하여 가나를 만들었다. 히라가나는 일본어의 독음을 표기할 때, 가타카나는 외래어를 사용할 때 표기한다.

조센어에는 고유한 문자인 겐분(諺文)이 쓰였다고 하나 애시당초 조센어가 사어에 가까운 언어이기도 하며 겐분의 표기 자체도 가나 혹은 한자와는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에 현대 일본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대만어를 표기하기 위해 다이완 가나라는 특수한 문자를 쓰기도 한다. 그러나 이 역시 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문화

외교

냉전 시기에는 미국과 소련에 이은 세계 3위의 강대국으로 꼽혔다. 199~2000년대 이후 소련과 미국이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이후로 거의 모든 지표에서 미국, 소련을 넘어서고 있는 세계 최대의 강대국이다.

주위에 있는 국가들이 소련을 제외한다면 우방국이나 준우방국 밖에 없어 외교적인 안정성이 높은 편이다. 1990년대 이후로는 소련과도 경제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므로, 당장은 일본에게 외교적으로 위협이 가는 국가는 없는 상황이다. 물론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간혹 일본의 동남아 경제 진출을 반대하는 반일 성향의 좌파 정부가 들어서곤 하지만 그뿐이며 안보적으로 큰 위해를 가하고 있지는 않다.

국제적으로 제1세계도, 2세계도 아닌 원만한 외교 관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일본의 무리한 정치적 개입 및 대기업들의 경제 침탈 행보로 인해 일본에 반감을 가진 국민들이 상당하다. 그럼에도 이들 국가는 경제적으로 일본에게 종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큰 변수가 없다면 일본의 위상에 흠집을 낼만한 강력한 반일 국가가 생겨날 확률은 매우 낮다.

일미관계

일중관계

일소관계

대중매체에서

  1. 쇼와 천황의 붕어 직후 정해진 표어이다.
  2. 천황은 신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성을 가지지 않는다.
  3. 1996 나가노 동계올림픽의 연주 버전으로, 일본의 전통 악기들을 이용해 연주하였다.
  4. 물론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지 1995년의 한신 대지진과 같은 몇차례의 큰 지진은 있었다.
  5. 교토, 오사카, 고베를 가리킨다.
  6. 니가와, 게이조, 미즈하라를 가리킨다.
  7. 북방영토, 사할린 섬.
  8. 심지어 공화주의 운동을 이끌어오던 일본공산당마저 2006년 당 강령에서 만세일계의 천황제를 보존하는 것이 인민의 의지라는 부칙을 집어넣음에 따라 일본 내에서 공화주의 조직은 거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로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