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산광역시

인별국의 광역시 목록
[ 펼치기 · 접기 ]
만산광역시
滿汕 | Mansan
시청 소재지 중앙구 당로 55 (송전동)
하위행정구역 13구
면적 909.3km²
인구 5'059'317명[1]
인구밀도 5'563.9명/km²
시장 발전당 서태영
지역번호 093
IATA 도시 코드 MAN

개요

 Let's go 만산!

인별국의 동부권을 대표하는 화양주의 한 광역시.

인양특별시 다음으로 단일도시중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역사

1901년부로, 인양부가 '인양자유특별부'로 승격을 하게된 것을 계기로, 만산부에서도 일반시가 아닌, 특별자치권을 얻으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그 결과, 1920년, 중앙정부에서는 새로운 행정구역 단위인 '주할시'[2] 라는 것을 만들었고, 이내, 만산부에서 만산주할시로 승격되었다.

이내 얼마안가, 1933년, 주할시라는 명칭이 직할시로 바뀌면서, 만산시도 만산직할시가 되었다.

지형

총면적 909.3km²으로, 거의 1'000km²에 가까운 넓은 면적을 보유하고 있다. 이름과 달리, 만'산'에는 '산'이 거의 없는 평야지대[3]에 위치해 있어, 만산스카이타워에 올라가 전경을 보면 인양처럼 평지전경을 바라볼수 있다.

관광

인별국의 여러 광역시들중에 송화시와 섬송시를 제외한 모든 광역시들이 바다를 끼고 있는 모양새긴 하나, 다른 지역에 비해, 굉장히 바다가 잘보이는 편이라, 해수욕장을 찾는 관광객들이 많다.

경제

인별국에서 가장 큰 항구가 여기 만산시에 위치해있다.

인별국의 대기업 중 하나인 니스타 그룹의 본사가 만산시에 위치해있다. [4]

교통

지하철

만산광역시 지하철 노선 목록
[ 펼치기 · 접기 ]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인별국 제 2의수도인만큼, 인양 다음으로 많은 지하철 수를 보유하고 있다. 지하철은 무려 9호선까지 깔려있으며, 모든 노선이 만산시영지하철도에서 운영 및 관할을 맡고 있다.

하위 행정구역

총 14개의 구가 설치되어있다.

각주

  1. 2024년 6월 기준
  2. '주에서 직접관할하는 시'라는 의미로, 유일하게 만산시만 이 명칭을 사용했었다.
  3. 만산의 한자이름을 보면, 山(뫼 산)자가 아닌, 汕(오구 산)자로, 물고기를 잡는 곳이라는 의미가 담긴 한자로 되어있는 걸 볼 수 있다.
  4. 물론 니스타 기업이 본사가 만산시에 위치해 있긴하지만, 주력으로 펼쳐나가는 곳은 옆동네인 송화광역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