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펼치기 · 접기 ]
|
맥컨드 에이죠스 관련 틀 | |||||||||||||||||||||||||||||||||||||||||||||||||||||||||||||||||||||||||||||||||||||||||||||||||||||||||||||||||||||||||||||||||||||||||||||||||||||||||||||||||||||||||||||||||||||||||||||||||||||||||||||||||||||||
---|---|---|---|---|---|---|---|---|---|---|---|---|---|---|---|---|---|---|---|---|---|---|---|---|---|---|---|---|---|---|---|---|---|---|---|---|---|---|---|---|---|---|---|---|---|---|---|---|---|---|---|---|---|---|---|---|---|---|---|---|---|---|---|---|---|---|---|---|---|---|---|---|---|---|---|---|---|---|---|---|---|---|---|---|---|---|---|---|---|---|---|---|---|---|---|---|---|---|---|---|---|---|---|---|---|---|---|---|---|---|---|---|---|---|---|---|---|---|---|---|---|---|---|---|---|---|---|---|---|---|---|---|---|---|---|---|---|---|---|---|---|---|---|---|---|---|---|---|---|---|---|---|---|---|---|---|---|---|---|---|---|---|---|---|---|---|---|---|---|---|---|---|---|---|---|---|---|---|---|---|---|---|---|---|---|---|---|---|---|---|---|---|---|---|---|---|---|---|---|---|---|---|---|---|---|---|---|---|---|---|---|---|---|---|---|
[ 펼치기 · 접기 ]
|
![]() | ||
---|---|---|
두산 베어스 NO.43 | ||
맥컨드 에이죠스 MacCond A-Jaws | ||
출생 | 1989년 9월 17일 | (35세)|
미네소타 주 로체스터 | ||
국적 | ![]() | |
학력 | 미네소타 고등학교 | |
신체 | 192cm, 93kg | |
포지션 | 투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입단 | 2009년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6번, 오클랜드) | |
소속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09~2016) 두산 베어스 (2017~) | |
계약 | $2,000,000[1] | |
연봉 | $800,000 | |
등장곡 | John Williams - Main Title of Jaws REMIX[2] | |
개요
2021 MVP 수상 이후
두산 베어스 소속 우완 외국인 투수.
다니엘 리오스 - 더스틴 니퍼트 - 에이전드 카론을 잇는 두산 베어스의 외국인 에이스이다. 또한 2024년에도 재계약에 성공하며 두산에서만 8년 동안 뛰게 되었으며 이는 에이전드 카론(9년) 이후 두산 내 역대 2번째 최장수 용병 기록이다.
선수 경력
맥컨드 에이죠스의 선수 경력 | ||||||
---|---|---|---|---|---|---|
통합 선수 경력: 맥컨드 에이죠스/선수 경력 | ||||||
2009 ~ 2016년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수상 경력
피칭 스타일
강력한 포심 패스트볼과 다양한 변화구를 구사할 수 있는, 한마디로 거의 모든 부문에서 뛰어난 팔색조형 투수로서, 무지막지한 이닝 소화력을 바탕으로 한 탈삼진형 투수이기도 하다.
192cm의 큰 키에서 나오는 최고 155km/h의 메이저에서도 통하던 패스트볼은 KBO리그에서는 거의 살인무기급의 구종이다. 2019년, 2021년 포심 구종가치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구속도 구속이지만 구위 하나만큼은 가히 최상급. 국내에서는 이 정도의 높이를 가진 선수가 드물다 보니 더 잘 통하는 것도 있지만, 2023년까지도 154km/h가 찍히는 패스트볼은 확실히 에이죠스의 주무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포심 구사율이 체감보다 더 낮은 편인데, 이유는 후숧할 변화구 때문도 있다.
변화구
실전에서 주로 구사하는 변화구는 체인지업, 커브(너클커브), 슬라이더, 커터 등이 있다.
에이죠스의 대표 변화구 하면 역시 체인지업과 너클커브로 결정구로 주로 사용한다. 체인지업과 커브의 뚝 떨어지는 움직임이 매우 위력적이며 두 구종 모두 매년 구종가치 1~3위를 다툴 만큼 강력하다. 너클커브의 경우는 사실상 살인무기급으로 한국에서 8년 동안 끊임없이 사용해왔음에도 아직도 많은 타자들이 파훼법을 찾지 못할 정도. 지금까지 커브 구종가치 1위를 5번이나 달성했고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3년 연속으로 달성했다. 물론 당연히 기본적인 커브도 사용할 줄 알지만 거의 사용하지 않는 편. 체인지업은 너클커브보다는 위력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거의 포크볼과 비슷한 움직임을 보인다고 평가받을 정도로 위력적이다. 유명한 일화가 있는데 에이죠스가 포크볼을 구사할 수 있음에도 실전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같은 종성 변화구인 체인지업이 이미 포크 자리를 완전히 대체해서라는 것. 사실상 '패스트볼과 같은 투구폼'으로 던진다는 메리트 하나로 현대 야구에서 크게 유행을 타고 있는 구종이 바로 체인지업인데, 체인지업이 포크볼과 비슷하게 떨어진다는 건 사실상 체인지업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 슬라이더도 사용할 수 있고, 2022년부터는 커터를 장착하며 주 구종으로 새롭게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현재까지는 역시나 매우 위력적이라는 평이다.
보통 파이어볼러들의 경우 구위로 승부를 보는 경우가 많고 거기에 슬라이더나 커브 같은 구종을 섞어 던지는데, 에이죠스의 경우에는 비교적 숙련하기 어렵다 여겨지는 체인지업과 커터까지 완벽하게 구사할 수 있는 그야말로 팔색조 스타일의 투수라고 할 수 있다. 관련 기사에 따르면 스플리터나 싱커성 패스트볼도 구사할 수 있다고 하지만 숙련된 것은 아닌지 경기에서 사용하지는 않는 중.
강철몸
에이죠스의 가장 큰 장점이라면 엄청난 강철몸. 용병을 포함하면 2010-2020년대 최고의 이닝 이터로 꼽힌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 단 한번도 이닝 순위에서 3위 아래로 떨어져본 적이 없고 2019-2021년에는 3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다른 선발투수들은 살면서 한번 해볼까말까 한 200이닝을 에이죠스는 밥먹듯이 하며(통산 5회), 특히 커리어하이를 기록했던 2021년의 235⅓이닝은 아직까지도 21세기 단일시즌 최다 이닝으로 남겨져있다. 이런 무지막지한 이닝들을 소화하면서 2022년까지 부상으로 이탈한 경기가 딱 3경기 뿐이다. 장기 부상은 아예 없었다.
2023년 7월 어깨 부상으로 50일 결장 판정을 받아 많은 팬들이 우려를 표했으나, 비교적 빠른 시일에 복귀하자마자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며 50일을 빠지고도 172⅔이닝을 소화했다. 그러나 2024년 전반기 이닝 소화력이 눈에 띄게 줄면서 과거의 여파가 이제서야 찾아온 게 아니냐 하는 의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