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티칸 시국

[ 펼치기 · 접기 ]
  프로젝트 디스코드 •  • 유튜브 • 트위터
툴팁
 Tooltip text

바티칸 시국
1929년 2월 11일 ~ 1980년 3월 9일
국기 국장
이름
공식 명칭 이탈리아어. Stato della Città del Vaticano
라틴어. Status Civitatis Vaticanæ
영어. Vatican City State
중국어. 梵蒂冈城国(Fàndìgāng chéng guó)
한국어. 바티칸 시국
역사
성립일 1929년 2월 11일
해체일 1980년 3월 9일
전신 정체성상 전신
바티칸 유수
후신 정체성상 후신
레오 시
주목할 만한 사건
[ 펼치기 · 접기 ]
라테라노 조약 1929년 2월 11일
2차 바티칸 유수 1980년 3월 9일
인문 환경
수도 치타델바티카노
국교 가톨릭
공용어 라틴어
데모님 없음
총인구 약 900명 1970년 집계
경제
화폐 바티칸 리라
경제권 스페라 에코노미카 1949년 2월 6일 ~ 1980년 3월 9일
정치
독립성 주권국
지도자 국가 수반 제1대 - 비오 11세 교황 1929년 2월 11일 ~ 1939년 2월 10일
제2대 - 비오 12세 교황 1939년 3월 2일 ~ 1958년 10월 9일
제3대 - 요한 23세 교황 1958년 10월 28일 ~ 1963년 6월 3일
제4대 - 바오로 6세 교황 1963년 6월 21일 ~ 1978년 8월 6일
제5대 - 요한 24세 교황 1978년 9월 3일 ~ 1980년 3월 9일
정부 수반 제1대 - 피에트로 가스파리 국무원장 추기경 1929년 2월 11일 ~ 1930년 2월 7일
제2대 - 에우제니오 파첼리 국무원장 추기경 1930년 2월 9일 ~ 1939년 2월 10일
제3대 - 루이지 말리오네 국무원장 추기경 1939년 3월 10일 ~ 1944년 8월 22일
제4대 - 도메니코 타르디니 국무원장 추기경 1958년 12월 15일 ~ 1961년 7월 30일
제5대 - 암레토 조반니 치코냐니 국무원장 추기경 1961년 8월 12일 ~ 1969년 4월 30일
제6대 - 장 마리 빌로 국무원장 추기경 1969년 5월 2일 ~ 1979년 3월 9일
제7대 - 아고스티노 카사롤리 국무원장 추기경 1979년 7월 1일 ~ 1980년 3월 9일
군대 바티칸 헌병대

개요

바티칸 시국(이탈리아어:Stato della Città del Vaticano, 라틴어:Status Civitatis Vaticanæ), 약칭 바티칸이탈리아 제국의 로마 중심부에 위치했던 도시국가이다. 1929년 라테라노 조약으로 이탈리아에서 독립했으며, 교황청의 본거지이자 전 세계 가톨릭의 중심지인 바티칸 시국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바티칸 시국은 로마 제국 시절 기독교가 공인된 때부터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후 유럽 전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특히 중세 시대에 교황은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진 인물로, 기독교 국가들의 정책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교황권'은 각기 다른 도덕성과 성향을 가진 교황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행사되었다.

이후 세속 권력과 사회 변화로 인해 바티칸, 즉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은 유럽에서 점차 약화되었다. 특히 제3제국의 반종교적 태도와, 전 세계적으로 종교에 대한 회의감이 커지면서 교회의 영향력은 역사상 가장 약한 수준에 이르렀다.

신질서의 붕괴와 핵전쟁, 그리고 이탈리아 내전 이후 혼란 속에서 이탈리아에는 공산 정권이 수립되었다. 이 시기 교황청이 사실상 해체되었고, 이탈리아 내 극심한 가톨릭 탄압이 이어졌다. 정권이 붕괴하고 이탈리아 통합 연방이 수립되면서 교황청은 레오 시라는 이름으로 다시 로마에 자리 잡게 되었다.

역사

정치

참고

비고(Obsidian)

외부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