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백제국의 태정대신 | ||||||||||||||||||||||||||||||||||||||||||||||||||||||||||||||||||||||||||||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대백제국 제5, 10대 태정대신 신채호 申采浩 | Sin Chaeho | |
출생 | 1880년 11월 7일 |
---|---|
조선 충청도 공주목 산내면 도리산리 | |
사망 | 1953년 8월 1일 (72세) |
대백제국 요녕주 다련부 다련중앙병동 | |
국적 | ![]() |
묘소 | 남조선주 청주시 낭성면 귀래길 249 |
임기 | 제5대 태정대신 |
1930년 7월 11일 - 1934년 1월 18일 | |
제10대 태정대신 | |
1939년 12월 31일 - 1943년 5월 17일 | |
제18대 교육대신 | |
1943년 5월 18일 - 1945년 9월 17일 | |
[ 펼치기 · 접기 ]
|
역사는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다.
조선상고사 中
조선상고사 中
개요
대백제국의 정치인, 사학자, 교육인. 제5대 태정대신과 제10대 태정대신을 역임하였다. 정치인 외에도 <조선상고사>를 저술하는 등 학술적으로 큰 업적을 남겼으며, 소설가이자 좌익 사상가, 학문가로 활동하였다. 아호인 단재로도 잘 알려져있다.
생애
1880년 조선의 충주목 공주현에서 태어났다. 1897년 대한제국이 수립된 해 성균관에 입학했고 1905년 성균관 박사가 되었다. 1906년, 경성 제국대학교의 1회 입학생이 되어 사학 박사 학위를 1912년 받았다. 1911년 한일 전쟁 종전 직전에는 대한 매일신보에서 주필로도 활동했다. 이후 1913년 영국 유학을 떠나, 1918년 38세의 나이로 옥스퍼드 대학교 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한 이후에는 고대사 연구를 주로 했는데, 1918년 고구려 및 발해사 연구를 위해 장춘부(現 장춘특급시)로 이사했다.
사상관
평가
소속 정당
선거 이력
여담
수훈 이력
저서
- ↑ 생전에는 사회주의자로서 계급 평등을 주장하면서 제국경 훈장을 받지 않았지만, 1995년 전승 50주년을 맞아 2차 세계대전 1등급 공로자들에게 제국경 훈장을 추서 및 수훈하면서 사후 제국경 훈장이 붙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