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국 기사단의 기사 계급 |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아이펠루스의 기사 계급에 관해 서술한다. 공식적으로는 제국 기사단의 기사 계급이지만 아이펠루스에서 기사라곤 사실상 제국 기사단뿐이며, 그나마 있는 사병 기사단도 제국 기사단의 기사 계급을 공유하므로 함께 묶어 서술한다.
상세
기사의 계급은 경력, 실적, 경험을 토대로 정해지고 진급되므로 전투력이나 강함과는 관계가 없다. 물론 경력과 경험이 다분하여 높은 계급에 오른 기사는 그만큼 하위 계급에 비해 실력이 좋은 경우가 많긴 하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경우이지, 높은 계급이 압도적인 전투력을 가진 것은 아니다.
에퀴테스를 제외하고, 크게 나누면 상급 기사, 중급 기사, 하급 기사로 나눌 수 있다. 현실의 군대로 비유하면 상급 기사는 장교, 중급 기사는 부사관, 하급 기사는 병 정도로 비유할 수 있다. 그 안에서도 적게는 한 개부터 많게는 세 개 등급이 다시 나뉘며, 또 그 안에서 소, 중, 대의 3~4개 급이 나뉜다.
대한민국 국군의 계급 체계를 그대로 인용하였다. 새로 독창적인 계급 체계를 창작하자니 아이디어가 안 따라줄 뿐더러 계급장을 만들어낼 수가 없고, 다른 외국의 군계급 체계는 창작자가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에퀴테스
계급
상급 기사
엘더를 제외하고 각 등급별로 3개 계급만 존재한다. 그러나 등급은 시니어부터 엑스퍼트, 엘더까지 총 3개로 가장 많으며 진급도 가장 어렵다. 대부분의 기사의 진급 상한선이 여기에 있다. 대한민국 국군의 장교와 비슷하다.
이 계급의 기사부터 본격적으로 깨우친 자 수준의 강자들이 많아진다.
엘더급 기사(Elder)
현대 국군에서 장성급 장교와 맞먹는다. 군의 최상부 계급으로, 모든 기사가 비록 현실적으로 노리지는 못하더라도 한번쯤은 꿈꿔보는 계급이기도 하다.
다른 계급과 달리 황제가 직접 진급 심사에 관여하며 진급식도 황실에서 진행한다.
프로비 엘더를 제외한 모든 엘더에게는 전속부관이 배치된다.
하이 엘더
[ 펼치기 · 접기 ]
|
명예직에 해당하는 에퀴테스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제국 기사단의 최고 계급. 단 6명[1] 만이 현직하며, 주로 사령관을 역임한다.
미들 엘더
[ 펼치기 · 접기 ]
|
보통은 8명이 현직하지만, 에퀴테스급 기사가 있을 경우 그 전속 부관 2명이 미들 엘더로 추가 보직되어 10명이 현직한다. 현재도 세이넬 아르젠베르크가 에퀴테스 계급이므로 미들 엘더는 10명이다. 주로 군단장을 역임한다.
로우 엘더
[ 펼치기 · 접기 ]
|
주로 사단장을 역임한다.
프로비 엘더
엑스퍼트급 기사(Expert)
현대 국군에서 영관급 장교와 맞먹는다.
하이 엑스퍼트
주로 연대장을 역임한다.
미들 엑스퍼트
주로 대대장을 역임한다.
로우 엑스퍼트
시니어급 기사(Senior)
현대 국군에서 위관급 장교와 맞먹는다.
하이 시니어
시니어급 기사의 최상으로, 주로 중대장을 역임한다.
미들 시니어
로우 시니어
상급 기사로서 임관하면 가장 처음 받게 되는 계급. 주로 소대장을 역임한다.
중급 기사
중급 기사부터 제복에서 망토를 수여받는다. 즉 망토를 착용하고 있는 기사는 모두 중급 기사 이상이며, 그렇지 않은 기사는 모두 하급 기사인 것. 대한민국 국군의 부사관과 비슷하다.
메디어트급 기사(Mediate)
현대 국군에서 부사관과 맞먹는다.
하이 메디어트
미들 메디어트
로우 메디어트
프로비 메디어트
하급 기사
최하위 분류로, 모든 기사는 정식 기사가 되면 하급 기사의 프로비 주니어부터 시작한다. 대한민국 국군의 병과 비슷하다.
주니어급 기사(Junior)
현대 국군에서 병(兵)과 맞먹는다.
하이 주니어
미들 주니어
로우 주니어
프로비 주니어
그외
아래는 정식 기사가 되기 이전의 기사가 되는 과정이다. 제국 기사단과 성기사단이 동일하다. 기사생도 → 기사훈련생 → 기사후보생 → 견습 기사 → 정식 기사의 과정을 거친다.
견습 기사
후보생이 훌륭한 성적을 거두고 정식 기사가 되기 전 마지막으로 밟는 단계이다. 현실의 전문의로 따지면 인턴 내지 레지던트, 성우로 따지면 전속 생활로 비유할 수 있다. 사수로 배정된 정식 기사[2]와 함께 다니며 일정 기간을 채우면 그제야 정식 기사로 승격할 수 있게 된다.
이 모든 과정을 거친 후 제국 기사가 되고자 하려면 제국 기사단에서, 성기사가 되고자 하려면 성기사단에서 추가로 교육을 수료한 뒤 기사로서 일할 수 있게 된다.
기사 후보생
훈련을 훌륭하게 수료하여 기사가 될 준비를 마치고 후보자로 선발된 이들을 기사후보생이라고 한다. 동기들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마지막까지 올라온 후보생들은 마지막으로 정식 기사들에 의해 임시 임무를 부여받고, 이 임무에 대한 수행률에 따라 비로소 기사로 승격할 평가를 받는다.
이 과정에서 상·중·하급반을 선택하게 되며 상급반은 장교, 중급반은 부사관, 하급반은 병사에 해당한다.
기사 훈련생
기사생도가 제국 기사단 본부에서 기사 훈련을 받으면 이 시점에서 기사생도가 아닌 기사훈련생으로 불린다. 제국 기사단에서 훈련하나 여기서 훈련을 수료해도 성기사가 될 수 있다. 이 훈련은 "기사"가 되기 위한 과정이지, "제국 기사"만 되기 위한 과정은 아니기 때문. 기사가 되는 과정에서 이 훈련생 과정이 가장 길고 고되다.
기사생도
제국 기사가 되고자 하는 이는 기사육성학교에 입학해 기초를 배우고, 성기사가 되고자 하는 이는 수도원에 들어 기초를 배운다. 그곳에서 배우는 것은 아주 기초일 뿐이고, 기초를 모두 마친 이들은 기사생도라 하여 정식 기사 훈련을 수료할 준비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