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민당 (Crimson of Dawn)

중국 국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여당

중국 국민당
253석 · 592석
야당

자유노동당
30석 · 116석

중국 공산당
5석 · 23석

민국당
2석 · 3석
무소속 10석 · 16석
재적 300석 · 750석
좌측은 국민대회 의석 수, 우측은 입법원 의석 수
중국 국민당
中國國民黨
약칭
국민당 (國民黨)
창당일
1919년 10월 10일
이념
삼민주의
사회보수주의
중화사상
스펙트럼
우익
주석
쑤인저
중국 국민대회
253석 / 300석 (84.3%)
중국 입법원
592석 / 750석 (78.9%)
성장
22석 / 28석 (78.5%)
당색
남색 (#194370)
당가
삼민주의가
국제 조직
국제민주연합
당원 수
8,000,000명 (2020년)
청년 조직
중국국민당 청년단

개요

중국의 현 집권 여당으로, 약 4년간을 제외하면 여당의 지위에 있었던 무소불위의 최대 정당이다.

상세

1911년 창당된 중국 최고(崔古)의 정당이다. 초창기에는 진보주의, 공화주의 성향이었으며, 이후 좌파 성향의 당원들이 상당수 있었다. 그러나 1940년대 이후 급격히 우파 성향으로 기울어져 유교를 기반에 둔 보수주의를 추구했다. 1951년 계엄령 발효 이후 1988년까지 중국의 유일무이한 정당이었다. 1988년 자유 선언 이후에는 다당제가 실시되었지만, 당세가 기울지 않았고 1996년까지 일당우위 상태로 계속 집권했다.

1994년 IMF 구제금융 사건으로 지지율이 폭락해 1996년 총통 선거에서 자유노동당에 정권을 내줬지만, 국회는 국민당이 다수였기에 자유노동당의 정책이 대부분 무효가 되었고, 2000년 이후로 선거에서 압승해 현재까지 집권하고 있다.

2020년 총통 선거에서는 크게 부진했는데 코로나19에서 국민당이 늑장대응으로 주민들의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쑤인저 주석이 총통 4선 포기 선언을 해야했다.

성향

보수주의 성향이 강하며, 특히 유교와 삼민주의에 기반을 둔 사회보수주의적 이데올로기를 추구한다. 국민당의 이념은 아시아적 가치와도 만나는 지점이 있다.

1980년대 이전까지는 강경 성향이었고 이후로는 조금 누그러져 우익~극우에서 우익 성향으로 변했다. 그러나 실질적인 언론 탄압, 야당 탄압 등의 독재 행각은 계속되었기에 야당들은 중국 국민당을 파시즘 정당이라고 비판한다.

경제적으로는 2000년대 이후로는 신자유주의를 주장하고 있다. 그 이전에는 국가 주도의 강력한 경제 정책을 주장했으나, 2000년대 당 지도부에 대격변이 있었고 이 시기 젊은 우파 경제학자들이 유입되며 자유방임주의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그래서 천민자본주의를 부추긴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역대 선거 결과

총통 선거

연도 선거 후보 득표율 당락
1951 제1회 중국 총통 선거 장제스 59.2% 당선 (1위)
1988 제2회 중국 총통 선거 리쯔원 83.8% 당선 (1위)
1992 제3회 중국 총통 선거 리쯔원 70.1% 당선 (1위)
1996 제4회 중국 총통 선거 황슈롄 47.0% 낙선 (2위)
2000 제5회 중국 총통 선거 장전창 79.3% 당선 (1위)
2004 제6회 중국 총통 선거 장전창 66.5% 당선 (1위)
2008 제7회 중국 총통 선거 장전창 73.3% 당선 (1위)
2012 제8회 중국 총통 선거 쑤인저 81.1% 당선 (1위)
2016 제9회 중국 총통 선거 쑤인저 76.4% 당선 (1위)
2020 제10회 중국 총통 선거 쑤인저 51.7% 당선 (1위)

입법원 선거

연도 선거 의석수 증감
1989 제1회 중국 입법원 선거
526 / 600 (88%)
감소 74
1992 제2회 중국 입법원 선거
593 / 700 (85%)
증가 67
1995 제3회 중국 입법원 선거
414 / 700 (59%)
감소 179
1998 제4회 중국 입법원 선거
602 / 700 (86%)
증가 188
2001 제5회 중국 입법원 선거
633 / 750 (84%)
증가 31
2004 제6회 중국 입법원 선거
611 / 750 (81%)
감소 22
2007 제7회 중국 입법원 선거
546 / 750 (73%)
감소 65
2010 제8회 중국 입법원 선거
598 / 750 (80%)
증가 52
2013 제9회 중국 입법원 선거
623 / 750 (83%)
증가 25
2016 제10회 중국 입법원 선거
600 / 750 (80%)
감소 23
2019 제11회 중국 입법원 선거
592 / 750 (79%)
감소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