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카르다쇼프 척도(영어: Kardashev scale)는 1964년에 소련의 천문학자 니콜라이 세묘노비치 카르다쇼프(러시아어: Никола́й Семёнович Кардашёв)가 제시한 문명의 기술 발전 정도를 사용하는 에너지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이다. 지구-외계 전쟁 이후 우주 개발이 가속화 되면서 공식적으로 문명의 기술력 척도를 구분하는 가설로 인정되었다.
Ⅰ단계 이전의 문명
지구-외계 전쟁과 제4차 산업혁명 이전 지구 문명의 단계이다.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를 100% 활용할 수 없으며, 우주 조약(영어: Space Treaty)에 따르면 Ⅰ단계 이전의 문명은 외우주로 진출할 수 없기 때문에 미개한 문명으로 분류된다. 또한, 핵종말(영어: Nuclear Apocalypse, 트리게다슬링: First Praimfaya) 이후[1] 인류가 퇴보하면서 다시 접어든 단계이기도 하다.
Ⅰ~Ⅲ 단계
제Ⅰ유형
행성급으로 에너지를 이용하는 문명. 센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영어: Proxima Centauri)와 같은 관측가능한 우주의 범위 내에서 통상적으로 활동하는 지적 생명체의 평균적인 유형으로, 이들은 수 백년 내에 항성급으로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제Ⅱ유형의 문명으로 근접하고 있다.[2]
제Ⅱ유형
항성급으로 에너지를 이용하는 문명. 제Ⅰ유형에서 제Ⅱ유형으로 전환하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 산업혁명 전후의 인류와 같은 수준으로, 이 유형에 도달한 문명은 아직 존재하지 않지만, 도달한다면 자신들의 모성계 바깥으로 진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워프나 초공간도약과 같은 기술[3], 다이슨 스피어[4]를 통해 항성에서 방출되는 모든 에너지를 무제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문명의 단계이다.
제Ⅲ유형
은하급으로 에너지를 이용하는 문명. 자신이 속한 은하의 블랙홀이나 나선팔의 회전, 퀘이사나 감마선 폭발 등을 자유자재로 조작할 수 있는 문명이다. 이 때부터는 멸종이 불가능한 문명이 되고, 이 유형의 문명과 인류는 개미 군집과 인간의 차이가 된다. 아직까지 지구가 속한 우리 은하에 해당 단계로 진입한 문명은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