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리오 / 긴배 / 도프 / 벨지엄 / DK / Dentrix
[ 세계관 설명 ] [ 문서 목록 ] [ 국가 목록 ]
이 세계관의 모든 인물, 사건, 단체, 국가는 가상이며 현실의 어떠한 인물이나 단체도 찬양하거나 비하할 의도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아름다운 나라 세계관의 국가
[ 펼치기 · 접기 ]
티베트
བོད / Tibet
국기 국장
བོད་གཞུང་དགའ་ལྡན་ཕོ་བྲང་ཕྱོགས་ལས་རྣམ་རྒྱལ
티베트 정부, 가덴의 궁전, 여러 방향의 목표 달성
상징
국가 승리의 노래
역사
[ 펼치기 · 접기 ]
  • 티베트 왕국 수립 1912년
  • 몽장 조약 체결 1913년
  • 중국-티베트 전쟁 1945년
  • 중공의 티베트 침공 1950년
  • 멸망 (17조 합의) 1951년
  • 망명정부 수립 1959년
  • 독립 1971년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라싸
최대 도시
라싸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9,480,000명 (2021년 기준)
인종
티베트인 89%, 인도인 2%, 기타 9%
출산율
2.6명 (2021년 기준)
기대 수명
77세 (2021년 기준)
공용어
티베트어
공용 문자
티베트 문자
종교
국교
티베트 불교
분포
티베트 불교 87.5%, 무종교 9.4%, 힌두교 1.1%, 기타 2%
군대
티베트 국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광역행정구
10개 주, 1개 직할시
기초행정구
7개 시[1], 89개 현[1], 6개 구[2]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단원제, 문민통제
민주주의 지수
8.58점(완전한 민주주의)
국가 원수 (달라이 라마)
달라이 라마 14세
정부
요인
총리
칼상 테통
국회의장
삼둡 갸첸
최고재판소장
턈딘 링파
여당
자유당
원내 야당
국민민주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GDP
(명목)
전체 GDP
$409억 (2021년 기준)
1인당 GDP
$4,370 (2021년 기준)
무역
수입
$121억 (2021년 기준)
수출
$129억 (2021년 기준)
예산
세입
$172억 (2021년 기준)
세출
$184억 (2021년 기준)
외환 보유고
감소$37억 (2021년 기준)
화폐
공식 화폐
티베트 라마
ISO 4217
TBR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GMT + 18:00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1971년
UN 가입
1972년
무비자 입국
한국인→티베트: 90일
티베트인→한국: 불가
ccTLD
.tb
국가 코드
160, TBT, TB
전화 코드
+867
티베트의 위치

개요

역사

독립과 중국-티베트 전쟁

청 말기, 중국은 지방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해갔다.  그러자 티베트는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독립을 선포하였으나 새로 성립된 중화민국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티베트 국왕 달라이 라마 13세는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국경이 확정되지 않았던 동티베트, 즉 캄 지역을 공격한다.  이를 중국-티베트 전쟁 혹은 캄 전쟁이라고 하는데 중국 중앙정부는 만주사변으로 인해, 사천성 지방군은 군벌 류원후이와 류상의 분란으로 인해 티베트군의 침공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  결국 티베트가 캄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면서 전쟁은 티베트의 승리로 끝났다.

중공의 티베트 침공

우리는 티베트 국민들을 해방시킬 군대를 보내달라는 정중한 탄원을 받았다.
마오쩌둥이 주장하는 티베트 침략의 명분

중국을 사실상 통일한 중국공산당의 마오쩌둥은 옛 영토(?)를 되찾기 위해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티베트를 침공한다. 양국간의 전투에서 수백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결국 중국 인민해방을 가장한 침략군이 라싸에 입성하였다. 1951년, 중국과 티베트 간에 티베트의 자치를 보장하는 17개조의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티베트 왕국은 멸망한다.

망명정부와 재독립

17개 조의 합의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시간이 갈수록 티베트의 자치권을 침해하고 압박을 강화하였다. 이에 티베트인들은 1959년, 옛 티베트 왕국군을 중심으로 봉기하였으나 실패하고 무참히 진압당했다. 이 여파로 달라이 라마 14세를 비롯한 많은 티베트인들이 인도로 망명해 망명정부를 수립하였다. 문화대혁명 와중에는 티베트의 불교 사원이 공격받는 등 지대한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1971년, 동아시아 전쟁을 종결짓는 뉴어크 평화조약에서 티베트를 독립시키기로 합의하면서 티베트는 정확히 20년만에 독립하여 주권을 완전히 되찾게 되었다.

현대

뉴어크 조약에 따라 티베트에는 삼천여 명의 중화민국, 소련, 인도군이 진주하였고 수가 점차 줄어 지금은 한국의 군사고문단 300여 명만이 남아있다.

달라이 라마 14세는 의회민주주의와 내각책임제를 도입힌였고 스스로의 권력을 조금씩 내려놓으며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또한 티베트는 히말라야 산맥을 이용한 관광업을 통해 빠른 경제성장을 이루었으나 코로나 사태로 관광업에 의존하던 경제가 큰 타격을 입었다.

정치

달라이 라마

제14대 달라이라마 텐진 갸초. 2015년 포탈라궁에서

달라이 라마 (ཏཱ་ལའི་བླ་མ་)는 티베트 불교의 수장이자 티베트국의 국가원수이다. 달라이라마는 티베트국의 국왕을 겸임하며 티베트 국군의 명목상 통수권을 가지지만 티베트가 입헌군주국이자 내각책임제 민주국가이기 때문에 실제 정치 권력은 제한적이다. 현재 달라이 라마 14세가 정치 관련 발언을 삼가는 것도 달라이 라마의 비정치화에 기여하고있다. 거처는 수도 라싸의 포탈라 궁전이다.

현재 달라이 라마는 달라이 라마 14세 텐진 갸초(བསྟན་འཛིན་རྒྱ་མཚོ)이며 1940년에 즉위했다.

의회

 
티베트국 국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여당

자유당
66석
야당

국민민주당
34석
무소속  8석
재적 108석

티베트의 입법부로, 우리나라의 국회에 해당되는 기관이다. 108인의 의원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의원의 임기는 4년이되 의회 해산으로 그보다 일찍 임기가 끝나는 경우가 많다. 의원들의 공개투표를 통해 티베트의 총리대신을 선출하며 총리가 요청하면 국왕이 의회를 해산할 수 있다. 현재 티베트 국회의 여당은 티베트 자유당이며 야당은 티베트 국민민주당이다.

경제

  • 1차 산업: 티베트는 전통적으로 농축산업에 크게 의존해왔다. 여전히 많은 티베트인들이 농축산업에 종사하고있으며 농업과 축산업 양쪽에서 야크가 중요하게 이용된다. 축산업계는 양, 소, 야크, 염소 사육이 주류이며 주요 재배 작물로는 보리, 밀, 감자 등이 있다.
  • 2차 산업: 1, 3차 산업에 비해 빈약하다. 주로 구리 등을 채굴하는 광업이 발달해있으며 수공예품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다. 강들에는 전력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댐들이 지어져 전기를 공급한다.[3] 코로나 사태로 관광업이 위축되자 티베트 정부가 궁여지책으로 경공업을 육성하려 노력하고있다.
  • 3차 산업: 1980년대, 농축산업만으로는 경제 건설이 힘들다고 판단한 티베트 정부는 포탈러궁, 히말라야 산맥 등의 관광자원을 활용해 관광업을 부흥시켰다. 코로나 사태 이전까지 관광업은 티베트의 최대 외화수입원이었으나 코로나 사태로 인한 관광객 감소로 큰 어려움을 겪고있다.
  • 현황: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관광업이 치명타를 맞았으며 농축산물 수출도 인접국들의 방역정책으로 인해 원활하지 못한 상태였다. 경제가 크게 침체된 상태이며 외환보유고 역시 감소하였다. 그나마 2022년 들어서서 각국이 방역수칙을 완화하면서 관광업이 어느 정도 되살아나 숨통이 트이는 추세. 다만 우러전발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경제 상태는 여전히 침체되어있다.

사회

민족

전체 인구의 90% 이상을 티베트족이며 기타 한족, 몽골족, 힌두족이 살고있다. 오르도스 공화국 서남부에도 상당수의 티베트인들이 살고있으며 티베트 인민당이라는 지역정당이 꾸준히 대의회 의원을 배출하고있다.

문화

음식

종교

국민의 절대다수가 티베트 불교를 믿는다. 국가원수가 곧 티베트 불교의 수장일 정도로 티베트는 불교와 연관이 깊다. 다만 불교가 국교이기는 하지만 불교 신자라고 해서 특혜가 있는 것도 아니고 불교 신자가 아니라고 해서 불이익이 주어지지도 않는다. 이외에도 주로 중국계가 믿는 도교, 인도계가 믿는 힌두교 위구르계가 믿는 이슬람교가 소수종교로 존재한다.

교통

라싸-시가체 고속국도

교통시설이 매우 열악하다. 주요 도시들만이 고속도로로 연결되어있으며 소도시들은 좁은 포장도로로만 연결되어있다. 유일한 철도 노선은 네팔 카트만두에서 출발해 티베트 시가체를 거쳐 라싸에서 끝나는 카트만두-라싸 철도다. 현재는 한국, 오르도스, 몽골과 합작하여 라싸에서 몽골 울란바타르까지 연결되는 철도를 2026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하고있다.

공항은 라싸에 한 곳, 동부에 한 곳, 서부에 한 곳, 동북부에 한 곳, 총 네 군데가 있다. 네 공항 모두 한국의 지원으로 건설되었으며 라싸를 제외한 두 공항은 거의 군사적 목적으로 지어진 공항이다. 수도 라싸에서 약 37km 떨어진 라싸 국제공항은 티베트에서 유일하게 국제선 민항기가 취항하는 공항이다.

외교

티베트-아태 관계

티베트-한국 관계

티베트-서중국 관계

티베트-인도 구국군사평의회 관계

동아시아 전쟁이 끝난 직후, 인도는 중공에 대한 방파제였던 티베트를 다방면으로 지원했다. 인도는 티베트에 각종 경제 원조와 군사 원조를 제공했으며 1978년에는 델리와 라싸를 잇는 철도가 개통했다. 하지만 동아시아 전쟁의 승리 이후 국수주의 정책으로 폭주하던 인도가 1979년 제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에서 미국과 소련의 지원을 받은 파키스탄에게 패하고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내전이 나자 티베트에 대한 인도의 지원은 끊겼다.  1981년, 인도 구국군사평의회와 브라마푸트라-데칸 사이에 휴전협정이 맺어졌으나 티베트가 인도 군사정부의 인권탄압을 비판하여 양국관계는 아직까지도 껄끄럽다.

티베트-미국 관계

전 미국 대통령 부시와 달라이라마 14세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있다. 티베트가 지리적으로 서중국인도에 모두 접해있어 미국으로서는 그 두 나라를 견제하기 좋은 위치에 있다. 그런 이유로 미국은 티베트에 막대한 규모의 경제,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고있다. 현재 미국은 티베트 공군이 F-16 전투기 운용과 경제개발프로그램을 지원하고있다.

군사

티베트군 보병대[4]

만 명 남짓의 상비군과 만 명의 예비군을 보유하고있다. 명목상 통수권자는 달라이라마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내각총리의 지휘와 국방부장관의 감독을 받는다. 병종으로는 육군, 공군, 국경군, 근위대가 있다. 산악지형으로 인해 육군의 주력은 산악보병이지만 기계화보병부대도 소수 존재한다.

무기는 러시아제, 미제, 한국제를 혼용해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서방 장비들을 도입하여 동구권 무기들을 대체하고있다.  경전차 60여 대, 장갑차 300여 대, 곡사포 120여 문, 박격포 400여 문, 고정익기 33기, 회전익기 37기를 보유중이다.

지상군

지상군이 가진 경전차는 미국제 M551 셰리든으로, 워낙 옛날 전차라 2025년까지 전량 퇴역시키고 M1128 MGS 스트라이커 MGS로 대체할 계획이다.

국경군은 평상시 전체 병력의 80~90% 수준인 반면, 육군은 평시 전투 병력이 전시에 비해 40% 수준인데, 이는 육군은 동원병 위주로 운용되기 때문이다.

공군

티베트 공군 소속 팬텀기
  • 티베트 공군 보유 항공기 현황
기종 용도 제조국 운용 추가도입 비고
F-16V 다목적 전투기 미국 0기 9기[5]
F-16 C/D 다목적 전투기 미국 9기 9기[6]
F-4 다목적 전투기 미국 9기
FA-50 경전투기, 경공격기 한국 6기 6기[7]
Mig-21 훈련기, 경공격기 소련 7기 [8]
C-130 수송기 미국 2기 1기
Mi-8 수송헬기 소련 19기
Bell-207 수송헬기 미국 15기
AH-1S 코브라 공격헬기 미국 3기 2기

공군의 경우 전술기로 Mig-21과 F-4 팬텀, F-16C를 운용중이다. F-16V 도입을 고려하던 중 경제난으로 무산되었으나 미국의 도움으로 사업을 다시 시작했다. 이외에도 경공격기와 훈련기를 겸하는 FA-50과 소련제 Mi-8 수송헬기도 운용한다. 한국 공군이 공군기들의 운용 및 정비를 지원하고있다.

편제

편제는 다음과 같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육군
    • 1연대
    • 3연대
    • 5연대
    • 7연대
    • 동원사령부
  • 공군
    • 항공작전전대
    • 작전지원전대
    • 방공전대
    • 기지전대
  • 국경군
    • 2연대
    • 4연대
    • 6연대
    • 8연대
  • 근위대
  • 기타
    • 정보사령부

각주

  1. 1.0 1.1 주 하위 행정구역
  2. 직할시 하위 행정구역
  3. 이 수력발전이 티베트의 거의 유일한 전력공급원이다.
  4. 2연대 105대대
  5. 2027년까지
  6. 2027년까지
  7. 2026년까지
  8. 2027년까지 전량 퇴역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