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분류:푸른 오얏꽃2]] | [[분류:푸른 오얏꽃2]] | ||
<center>[[파일:푸른 오얏꽃.png|700px|link=푸른 오얏꽃2]]</center><br> | |||
{{틀:KBS 선정 위대한 조선인 (푸른 오얏꽃2)}} | {{틀:KBS 선정 위대한 조선인 (푸른 오얏꽃2)}} | ||
</table> | </table> | ||
12번째 줄: | 13번째 줄: | ||
|- | |- | ||
!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사망 | !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사망 | ||
| colspan="2" | 태화 18년(1944년) 9월 16일 (77세)<br>[[파일: | | colspan="2" | 태화 18년(1944년) 9월 16일 (77세)<br>[[파일:태극기 (1984–1997).png|25px]] [[대한조선국 (푸른 오얏꽃2)|대한조선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동 인계리<ref>現 [[경기도 (푸른 오얏꽃2)|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ref> | ||
|- | |- | ||
!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직업 | !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직업 |
2021년 11월 18일 (목) 20:48 기준 최신판

[ 펼치기 · 접기 ] |
안익현 安益鉉 | ||
---|---|---|
![]() | ||
출생 | 고종 3년(1867년) 12월 5일 ![]() | |
사망 | 태화 18년(1944년) 9월 16일 (77세)![]() | |
직업 | 작곡가 지휘자 | |
언어 | 한국어 | |
국적 | ![]() ![]() ![]() | |
민족 | 한민족 | |
학력 | 숭실대학교 음악과(現 숭실대학교 음악대학) | |
모교 | 평양고등학교 | |
본관 | 순흥 안씨 | |
종교 | 유교 (성리학) → 개신교 (장로회) | |
활동기간 | 1889년 ~ 1938년 | |
장르 | 서양 고전음악, 후기 낭만주의, 20세기 현대음악 | |
배우자 | 하민희(1883 ~ 1944) | |
자녀 | 장녀: 안채은 장남: 안명근 | |
형제 | 형: 안익권 |
개요
안익현은 대한제국 ~ 대한조선국의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조선의 몇 안 되는 클래식 작곡가로 해외에서도 이름이 널리 알려졌으며, 조선 내에선 독일인 프란츠 레만이 작곡한 애국가에 가사를 넣은 음악가로 매우 잘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