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 ] [ 지리 ] [ 군사 ] [ 정치 ] [ 경제 ] [ 사회 ] [ 외교 ] [ 문화 ]
|
|
[ 지리 ] [ 군사 ] [ 정치 ] [ 경제 ] [ 사회 ] [ 외교 ] [ 문화 ]
일반
|
조선의 지명 · 수도
|
지리적 구분
|
한반도 · 경기 · 호서 · 호남 · 영남 · 관동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자연지리
|
산/고개 · 섬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
도시권·생활권
|
수도권 · 동래·울산·경주권 · 평양·삼화·봉산권 · 대구권 · 함흥·덕원권 · 광주권 · 회덕권 · 전주권 · 구성·의주권 · 경흥·부령권
|
행정구역
|
|
교통
|
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
생물
|
생물자원 · 포유류 · 조류 · 파충류 · 담수어류 · 양서류 · 견종
|
과학기지
|
세종 과학기지 · 성조 과학기지 · 정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
영토분쟁
|
녹둔도
|
|
[ 군사 ] [ 정치 ] [ 경제 ] [ 사회 ] [ 외교 ] [ 문화 ]
|
[ 정치 ] [ 경제 ] [ 사회 ] [ 외교 ] [ 문화 ]
|
[ 경제 ] [ 사회 ] [ 외교 ] [ 문화 ]
|
[ 사회 ] [ 외교 ] [ 문화 ]
일반
|
|
교육
|
|
민족
|
|
종교
|
|
사건·사고
|
|
사회 문제·갈등
|
사회/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현황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과 이슬람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정경삼파전 · 육진 지역 차별 · 성소수자 · 자국혐오 · 세대 갈등 · 권위주의/병폐/대한조선국
|
|
|
[ 문화 ]
일반
|
|
언어·문자
|
|
건축
|
|
의복·무기
|
|
음식
|
|
스포츠
|
|
문예·출판
|
|
미술·만화
|
|
게임
|
|
음악
|
|
영화·연극
|
|
방송
|
|
기타
|
|
|
대한조선국 관련 틀
|
|
대한조선국 大韓朝鮮國 | Kingdom of Korea
|
|
|
국기
|
국장
|
광명천지 홍익인간 光明天地 弘益人間
|
상징
|
국가
|
애국가
|
국화
|
오얏꽃
|
역사
|
• 대한조선국 건국 1923년 4월 11일
• 대한조선국 헌법 제정 1923년 7월 17일
• 을축개혁 1926년 3월 12일
• 만주사변 1937년 9월 18일
• 임오왜란(한일전쟁) 1942년 5월 13일
• 조선민주당 집권 1948년 6월 7일
• 기유적란 1969년 5월 21일
• 5.22 군사반란(경신정난) 1981년 5월 22일
• 1988 하계 올림픽 개최 1988년 9월 17일
• IMF 구제금융 요청 1995년 12월 3일
• FIFA 월드컵 개최 2002년 5월 31일
• 코로나19 첫 환자 발생 2020년 2월 20일
|
|
지리
|
|
하위 행정 구역
|
광역자치단체
|
1특별시 14광역시 2특별자치시 1특별자치도 16도
|
기초자치단체
|
153시 212구 87자치구
|
|
인문환경
|
인구
|
총인구
|
97,824,586명(2022년 3월) | 세계 15위
|
민족 구성
|
한민족 96.2%, 만주인 1.2%, 한족 0.8%, 베트남인 0.4%, 기타 2.2%
|
인구밀도
|
516.47명/㎢(2021년 5월)
|
출생아 수
|
437,194명(2021년)
|
합계출산율
|
0.92명(2021년)
|
기대 수명
|
87.5세(2020년)
|
공용어
|
한국어
|
국민어
|
한국어(헌법상), 영어, 일본어, 중국어(사무 및 교육용)
|
지역어
|
제주어, 육진어
|
공용문자
|
한글, 한자
|
종교
|
국교
|
없음(정교분리)
|
분포
|
기독교 27.6% (개신교 15.6%, 가톨릭 12%), 불교 15.5%, 잔존 성리학, 이슬람 등 기타 0.8%, 무종교 56.1% (2021년)
|
군대
|
대한조선국 왕립국군 | 세계 5위
|
주둔군
|
주한미군
|
인간개발지수
|
0.917(2020년) | very high | 세계 23위
|
|
정치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민주공화제[1], 자유민주주의, 단일국가, 총리중심제, 단원제, 다당제
|
민주주의 지수
|
8.17점, 완전한 민주주의 (2020년) (166개국 중 18위, 아시아 2위)
|
국왕 (상징적 국가원수)
|
성상 이영혜
|
국가 요인
|
내각총리대신 (정부수반)
|
문재성
|
중추원 의장
|
박민석
|
대법원장
|
김명준
|
헌법재판소장
|
유남열
|
여당
|
조선민주당
|
입법부
|
대한조선국 중추원
|
|
경제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명목 GDP
|
전체
|
$3조 4,295억(2021년 4월) | 세계 5위
|
1인당
|
$51,431(2021년 4월) | 세계 16위
|
GDP (PPP)
|
전체
|
$4조 2,746억(2021) | 세계 6위
|
1인당
|
$64,820(2021년) | 세계 7위
|
국부
|
$10조 3,020억(2020년) | 세계 9위
|
수출입액
|
수출
|
$7,055억(2020년) | 세계 4위
|
수입
|
$6,350억(2020년) | 세계 4위
|
외환보유액
|
$6.088.2억(2021년 6월) | 세계 4위
|
신용등급
|
무디스 Aa2 S&P A+ Fitch A+
|
화폐
|
공식 화폐
|
대한조선국 원(₩, won)
|
ISO 4217
|
KRW
|
국가 예산
|
1년 세입
|
747.2조 원(2020년)
|
1년 세출
|
728.8조 원(2020년)
|
지니계수
|
0.345(2019년)
|
|
단위
|
법정연호
|
소흥(蘇興)
|
시간대
|
UTC+9(대한조선국 표준시)
|
도량형
|
SI 단위
|
날짜형식
|
yyyy년 m월 d일 yyyy. m. d. (CE)
|
운전석 (통행방향)
|
왼쪽(우측통행)
|
|
외교
|
유엔 가입
|
1945년 (창립 회원국)
|
유엔회원국 승인여부
|
192개국 승인
|
수교국
|
190개국 3개국(시리아, 코소보, 쿠바) 미수교 상호동맹관계: 미국, 일본
|
|
ccTLD
|
.kr , .조선
|
국가 코드
|
410, KOR, KR
|
국제 전화 코드
|
+82
|
차량 통행 방향
|
오른쪽
|
홈페이지
|
|
[2]
|
|
1 개요
대한조선국(大韓朝鮮國)은 동아시아 한반도에 있는 공화제 입헌군주국이다.
2 상징
2.1 국호
대한조선국 헌법 표제 및 제1조에 따라 공식 국호는 대한조선국(大韓朝鮮國)이며, 역본 및 정부령에 따라 정식 영문으로는 Kingdom of Korea라 한다.[3]
태화 4년(1930년) 국무원고시 제7호 「국호및일부지방명과지도색에관한건」[4]에 따라 약칭은 대한(大韓) 및 한국(韓國)[5], 조선(朝鮮)으로 정해져 있으며, 영문 약칭 및 통칭으로는 Korea를 쓰며, 국가코드로는 KR, KOR가 사용된다. 대외적으로는 'Kingdom of Korea'와 'Kingdom of Joseon'를 병용한다. 국가별 리스트를 일람할 때는 편의상 Korea의 K를 앞으로 따 와서 'Korean Kingdom'[6]으로 적기도 한다.[7]
그러다 건양 38년(2002년) 한일 월드컵 이후로 줄임말인 '한국', '조선'보다 공식 국호인 '대한조선국'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오늘날에는 생소하게 느끼겠지만 건양 38년 이전만 하더라도 '한국'보다 '대한조선국'이라고 칭하는 게 도리어 어색했다. 법전이나 교과서 등의 공적 문서에서나 이따금 보이는 표현이었다. 그런데 월드컵 8강전 대한조선국 대 스페인 경기부터 방송에서 '대한조선국'이란 국호를 표기하기 시작했고, 점차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졌다. 건양 38년 부산 아시안 게임까지는 '한국'과 '대한조선국' 두 개의 단어가 병용되다가, 건양 40년(2004년) 아테네 올림픽부터는 '대한조선국'이라는 국호가 자리잡았다.
2.2 국기
태극기 (太極旗)
|
|
지위
|
공식 국기
|
제정시기
|
조선(1828년 3월 6일) 대한제국(1874년 3월 1일) 대한조선국(1923년 4월 13일)
|
근거 법령
|
<대한조선국국기에관한규정> (1942년~2007년) <대한조선국국기법> (2007년~현재)
|
제작자
|
이응준(李應浚, 1832 - 1893) 박영효(朴泳孝, 1861 - 1939) 고종 태황제(李㷩, 1852 - 1919)
|
|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성을 나타내며, 태극 문양은 음(파랑)과 양(빨강)의 조화를 나타낸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조화로 인해 생명을 얻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표현해낸 것이다.
2.3 국가
자세한 내용은 애국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애국가 愛國歌
|
|
공식 악보
|
지위
|
대한조선국의 관습상 국가(國歌)
|
제정 시기
|
1894년(광무 30년) 3월 4일
|
작사
|
안익현, 1892년(광무 28년)
|
작곡
|
프란츠 레만, 1890년(광무 26년)
|
|
2.4 국화
2.5 국장
2.6 국새
2.7 슬로건
3 역사
한국의 역사 韓國史
|
상고 시대
|
고조선 (단군조선)
|
진국
|
주호국
|
부여
|
고조선 (위만조선)
|
원삼국 시대
|
한사군*
|
마한
|
변한
|
진한
|
고구려
|
옥저
|
동예
|
삼국 시대
|
고구려
|
백제
|
가야
|
신라
|
탐라
|
남북국 시대
|
발해
|
신라
|
태봉
|
후백제
|
신라
|
고려 시대
|
고려
|
조선 시대
|
조선
|
광무 시대
|
대한제국
|
융희 시대
|
대한조선국
|
태화 시대
|
건양 시대
|
소흥 시대
|
주요 민족: 예맥, 삼한, 한민족, 만주인
|
*: 한국사에 포함되는지 아닌지에 대해 학술적인 논쟁이 있음.
|
|
조선의 대외 전쟁 · 정벌
|
|
시대
|
전쟁·정벌
|
교전 세력
|
조선
|
대마도 정벌 (제2차, 제3차) 1396, 1419
|
왜구
|
4군 6진 개척 1433 ~ 1437
|
여진족
|
모련위 정벌 1461
|
여진족
|
정건주위(세조) 1467
|
여진족
|
정건주위(성종) 1479
|
여진족
|
정니마군 1491
|
여진족
|
정서북로구 1492
|
여진족
|
삼포왜란 1510
|
왜구
|
사량진 왜변 1544
|
왜구
|
을묘왜변 1555
|
왜구
|
니탕개의 난 1583
|
여진족
|
녹둔도 전투 1587 ~ 1588
|
여진족
|
임진왜란 1592 ~ 1597
|
일본 (도요토미 정권)
|
정유재란 1597 ~ 1598
|
일본 (도요토미 정권)
|
사르후 전투 1619
|
후금
|
정묘호란 1627
|
후금
|
병자호란 1637
|
청나라
|
나선정벌 1652 ~ 1658
|
루스 차르국
|
경자양요 1720
|
프랑스 왕국
|
기유양요 1729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광무 대한제국
|
한청전쟁 1891 ~ 1892
|
청나라
|
의화단의 난 1900 ~ 1901
|
의화단 청나라
|
독도 위기 1904
|
일본 제국
|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7
|
러시아 제국 일본 제국
|
융희 대한제국 ~ 대한조선국
|
봉오동 전투 1920
|
러시아 적군
|
청산리 전투 1921
|
러시아 적군
|
태화 대한조선국
|
만주사변 1937
|
중화민국
|
천북 전투 1938
|
만주군벌연합
|
하얼빈 전투 1940
|
만주군벌연합
|
제2차 세계 대전 1942 ~ 1945
|
일본 제국 남중화국
|
한중 국경 분쟁 1954
|
중화인민공화국
|
건양 대한조선국
|
베트남 전쟁 1964 ~ 1973
|
북베트남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
걸프 전쟁 1990 ~ 1991
|
후세인 정권 이라크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2
|
탈레반
|
이라크 전쟁 2003 ~ 2017
|
후세인 정권 이라크 알 카에다
|
소흥 대한조선국
|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
소말리아 해적
|
대 IS 군사 개입 2014 ~ 2017
|
ISIL
|
7.8 신의주 사태 2023
|
중화인민공화국
|
제3차 세계 대전 2026 ~ 2029
|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연방
|
|
자세한 내용은 대한조선국 근현대사 (푸른 오얏꽃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한국사 관련 정보 (푸른 오얏꽃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조선국의 성립 과정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1919년 3·1 혁명을 통해 시작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3.10 중추원 회의를 통해 조선개혁안이 발의되었고, 이후 조선개혁안을 기반으로 대한조선국 헌법이 작성되었다. 최종적으로 1923년 7월 17일 헌법을 공포하며 대한조선국이 건국되었다.
이후 대한조선국 초대 총리 김구의 주도로 민주화가 진행되었지만, 김구 암살 이후 군국주의 파시즘 노선을 걷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는 같은 군국주의 노선의 일본과 불가침조약을 맺지만, 일본의 파기로 연합국의 지위를 얻을 수 있었다. 승전국이 된 조선은 전후 피해가 막대했지만, 냉전체제의 최전방이라는 지정학적 특성 덕에 미국을 비롯한 자본주의 진영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고, 1960년대 이후 수출과 제조업 집중 육성을 통한 가파른 고도성장을 거듭하여 발전을 이루었다.
대한조선국은 OECD 출범 이후 원조를 받던 수혜국에서 원조를 주는 공여국으로 바뀐 나라 중 하나이며 G8 회원국이다.
경제적으로 GDP 5위, GDP(PPP) 6위, 수출규모 4위, 수입규모 7위의 선진국이며, 군사적으로 GFP 5위, 국방비는 7위에 달하는 강대국이다.
4 자연환경
- ↑ 일부 요소 차용
- ↑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소개와 사건들을 서술하는 사이트이다. 그래서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는다.
- ↑ 주한미군들은 줄여서 콕(KOK)이라고도 부른다. 같이 뒤섞여 일하는 특성상 미육군을 US Army, 대한조선국 왕립육군을 KOK Army의 식으로 구분한다.
- ↑ 국무원은 폐지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해당 고시는 소흥 16년(2021년) 현재도 유효하다.
- ↑ 이 두 국호는 제국 시절 생겨난 국호이다.
- ↑ 참고로 제국 시절의 공식 영문 국명은 'Korean Empire'이다.
- ↑ 조선의 J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이웃나라 일본의 'Japan'의 J와 헷갈리지 않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