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per117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Ripper117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 | |- | ||
! colspan="2"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종교 | ! colspan="2"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종교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불명 | ||
|- | |- | ||
| colspan="3" | | | colspan="3" | | ||
56번째 줄: | 56번째 줄: | ||
! width=16% rowspan="4"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order-bottom:2px solid #280D0D; border-left:2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군 이력 | ! width=16% rowspan="4"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order-bottom:2px solid #280D0D; border-left:2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군 이력 | ||
! width=16%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복무 | ! width=16%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복무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파일:아일랜드군 상징 1 (CLBI).svg|16px|link=]] [[아일랜드군 (CLBI)|아일랜드군]]/[[파일:아일랜드 지상전군 기 1 (CLBI).svg|16px|link=|테두리]] 지상군 <font color="#7F7F7F"><sup>2047년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파일:아일랜드군 상징 1 (CLBI).svg|16px|link=]] [[아일랜드군 (CLBI)|아일랜드군]]/[[파일:아일랜드 지상전군 기 1 (CLBI).svg|16px|link=|테두리]] 지상군 <font color="#7F7F7F"><sup>2047년 ~ 2049년</sup></font> | ||
|- | |-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부대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부대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파일:아일랜드 지상전군 기 1 (CLBI).svg|16px|link=|테두리]] 제3 야전군 '먼스터'/제6 군단/제17 보병사단<br><font color="#7F7F7F"><sup>2047년 ~ 2048년</sup></font><br>[[파일:에이레 켈틱 연방 기 1 (CLBI).svg|16px|link=|테두리]] 제131 정보감시정찰중대<br><font color="#7F7F7F"><sup>2050년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파일:아일랜드 지상전군 기 1 (CLBI).svg|16px|link=|테두리]] 제3 야전군 '먼스터'/제6 군단/제17 보병사단<br><font color="#7F7F7F"><sup>2047년 ~ 2048년</sup></font><br>[[파일:에이레 켈틱 연방 기 1 (CLBI).svg|16px|link=|테두리]] 제131 정보감시정찰중대<br><font color="#7F7F7F"><sup>2048년 ~ 2049년</sup></font><br>[[파일:아일랜드군 제3 공수작전사령부 상징 1 (CLBI).svg|16px|link=]] [[아일랜드군 제3 공수작전사령부 (CLBI)|제3 공수작전사령부]]/제1 공정연대 <font color="#7F7F7F"><sup>2050년 11월 ~</sup></font> | ||
|- | |-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최종 계급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최종 계급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파일:아일랜드 지상전군 기 1 (CLBI).svg|16px|link=|테두리]] 아일랜드 지상군 준부사관 - 야전하사<br>[[파일:에이레 켈틱 연방 기 1 (CLBI).svg|16px|link=|테두리]] 에이레 연방 육상군종 중사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파일:아일랜드 지상전군 기 1 (CLBI).svg|16px|link=|테두리]] 아일랜드 지상군 준부사관 - 야전하사<br>[[파일:에이레 켈틱 연방 기 1 (CLBI).svg|16px|link=|테두리]] 에이레 연방 육상군종 중사<br>[[파일:아일랜드군 제3 공수작전사령부 상징 1 (CLBI).svg|16px|link=]] 특수공군종 중사 | ||
|- | |-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참전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참전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2036년 6월 13일, 대IS 군사개입 (CLBI)|2036년 6월 13일, 대IS 군사개입]] | ||
|- | |- | ||
! rowspan="2"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사 이력 | ! rowspan="2"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사 이력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근무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근무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 ||
|- | |-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소속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0A0909" | 소속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 | style="border:1px solid #280D0D;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 ||
|- | |- | ||
|} | |} | ||
84번째 줄: | 84번째 줄: | ||
== 애넥도트 이전 == | == 애넥도트 이전 == | ||
2020년, | 2020년, 잉글랜드계 아일랜드인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션 오 슐라반은 아일랜드국의 수도인 킬 체이니에서 부족함 없는 유년 시절을 보냈다. 2041년에는 준수한 성적과 추천서로 마이클 콜린스 전문화 대학교에 입학했으며 2045년 국제전략조정학부를 졸업했다. 본래 추가적으로 대학원을 진학하고 민간에서 군관련 직업을 가지기를 원했으나 폭력 전과가 걸림돌이 되며 2047년에는 특별사면복무제도로 아일랜드 지상군에 입대했다. | ||
2045년 | |||
2048년, 전역 | 그린란드 주둔 임무와 사하라, 아프리카 적도 지역 파병을 거쳐 2048년, 사단본부 추천에 야전하사로 임관했고 제17 기갑수색대대 야전소대지휘관으로 재배치된다. 같은 해에 마약성 군용 의약품을 횡령한 사실이 적발되어 과사실 전역 처리가 이뤄졌다. | ||
2049년 | 2048년, 전역 3주 차에 키어런 막 로흘란 중령의 추천으로 사면과 함께 연방군 제131 정보감시정찰중대에 하사 계급으로의 재복무가 비준된다. 북해 정찰 임무에 단기 참가했다가 곧 2049년 중순에 지상군종 중사 계급으로 퇴역한다. | ||
2050년초 | 2050년초 공군 중사 계급으로의 재복무를 신청했으며, 서류가 비준되며 [[아일랜드군 제3 공수작전사령부 (CLBI)|제3 공수작전사령부]] 훈련단에 입교한다. 2050년 11월, 제1 공정연대에 합류한다. | ||
== 인간관계 == | == 인간관계 == | ||
117번째 줄: | 109번째 줄: | ||
=== 사회적 인간관계 === | === 사회적 인간관계 === | ||
*[[파일:바이너 인포 박스 1 (CLBI).png|200px|link=|테두리]]<br>애인 | 바이너(Byner)<br><!-- | *[[파일:바이너 인포 박스 1 (CLBI).png|200px|link=|테두리]]<br>애인 | 바이너(Byner)<br><!-- | ||
--> | -->드리즈와 같은 성분의 잉글랜드계 아일랜드인이다. | ||
== 참고== | == 참고== |
2025년 4월 18일 (금) 01:01 기준 최신판
![]() |
[ 펼치기 · 접기 ]
|

|
|
개요
별명 드리즈로 더 알려진 쇼 번은 애넥도트 크림슨 레더의 등장인물이자 주역이다.
애넥도트 이전
2020년, 잉글랜드계 아일랜드인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션 오 슐라반은 아일랜드국의 수도인 킬 체이니에서 부족함 없는 유년 시절을 보냈다. 2041년에는 준수한 성적과 추천서로 마이클 콜린스 전문화 대학교에 입학했으며 2045년 국제전략조정학부를 졸업했다. 본래 추가적으로 대학원을 진학하고 민간에서 군관련 직업을 가지기를 원했으나 폭력 전과가 걸림돌이 되며 2047년에는 특별사면복무제도로 아일랜드 지상군에 입대했다.
그린란드 주둔 임무와 사하라, 아프리카 적도 지역 파병을 거쳐 2048년, 사단본부 추천에 야전하사로 임관했고 제17 기갑수색대대 야전소대지휘관으로 재배치된다. 같은 해에 마약성 군용 의약품을 횡령한 사실이 적발되어 과사실 전역 처리가 이뤄졌다.
2048년, 전역 3주 차에 키어런 막 로흘란 중령의 추천으로 사면과 함께 연방군 제131 정보감시정찰중대에 하사 계급으로의 재복무가 비준된다. 북해 정찰 임무에 단기 참가했다가 곧 2049년 중순에 지상군종 중사 계급으로 퇴역한다.
2050년초 공군 중사 계급으로의 재복무를 신청했으며, 서류가 비준되며 제3 공수작전사령부 훈련단에 입교한다. 2050년 11월, 제1 공정연대에 합류한다.
인간관계
가족(오 슐라반 가)
- 형 | 미상
션이 태어나기도 전에 사망한 형제, 가족이 해주는 옛날 이야기에서만 간간히 접한 인물로, 사적으로 아는 사이가 아니기에 감상이 없다.
- 부친 | 타이그 오 슐라반(Tadhg Ó Súilleabháin)
아일랜드의 수도인 킬 체이니에서 좌익 정치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타이그와는 청소년기 이후로 절연하여 목소리도 기억나지 않으며, 왕래나 연락도 전혀 없었기에 별다른 감상은 없으나, 과거 폭행 사건 재판에서 자신을 도와준 것에 큰 감사함을 가지고 있다.
- 모친 | 쉴라 니 슐라반(Síle Ní Shúilleabháin)
드리즈 이전에 아들을 잃은 경험으로 션을 각별히 사랑했고, 복잡한 가정사로 인해 절연한 상황에서도 가족들 몰래 개명한 쇼에게 안부를 묻는 편지를 보내거나 멀리서 많은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기에, 드리즈 또한 그녀의 헌신에 진심 어린 감사를 느끼며 병원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 당시 자신이 이룬 모든 것을 제쳐두고 입대를 선택했다.
- 조부 | 리엄 오 슐라반(Liam Ó Súilleabháin)
이전 HMMLR에 소속되어 잉글랜드 무장 독립 운동에 참여했던 리엄은 봉기가 완전히 실패하자 이름을 바꾸고 잠적했으며, 이후 가정을 이루고 아일랜드에 완전히 정착했다. 아일랜드에 대한 엄청난 증오와 반감을 가지고 있었으나, 어린 시절 션에게 과거 이야기를 해주며 불평하는 정도에서 그쳤으나, 션은 그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여 반사회적인 가치관을 가지게 되었기에 그를 원망하는 부분이 있다.
사회적 인간관계
애인 | 바이너(Byner)
드리즈와 같은 성분의 잉글랜드계 아일랜드인이다.
참고
비고(Obsidian)
드리즈가 아일랜드군에서 근 3년간 복무하면서 총 3번의 국외 파병과 6차례의 교전을 겪었다.
제131 정보감시정찰중대는 맨 섬에 주둔해 사사나 지역 무장단체의 동태를 보고하는 자치령 대상 정찰부대 중 하나다.(내무군 성질에 가까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