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73번째 줄: | 73번째 줄: | ||
{{목차}} | {{목차}} | ||
==개요== | ==개요== | ||
'''북조선 공화국'''(北朝鮮 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 '''북조선 공화국'''(北朝鮮 共和國), 약칭 '''북조선'''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이북에 위치한 민주공화국이다. | ||
동해, 서해와 접하며, 한반도 이남에 위치한 [[대한민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원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있던 지역이지만, [[북조선 공화국 임시정부]]가 [[9.13 혁명]]을 일으키면서 김씨 일가를 몰아내 그 자리에 공화국을 세우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
"북한"이라는 과거 탓에 정부수립 초반에는 대외관계가 뒤틀리면서 약소국으로 전락했으나, 대한민국의 원조를 통한 빠른 변화로 2022년 7월 19일 UN 가입에까지 성공하면서 국제 사회로부터의 인정을 받았다. | |||
==상징== | ==상징== | ||
===국호=== | ===국호=== | ||
북조선 공화국의 정식 국호는 '''북조선 공화국'''이다. 임시정부가 출범하기 전에 새로이 건국되는 공화국의 국호에 대한 논쟁이 많이 있었는데, 그 중에는 '''북한 공화국''', '''조선 공화국''' 등 정말 여러 가지가 있었다. 최종적으로는 북조선 공화국이 채택되었다. | 북조선 공화국의 정식 국호는 '''북조선 공화국'''이다. 임시정부가 출범하기 전에 새로이 건국되는 공화국의 국호에 대한 논쟁이 많이 있었는데, 그 중에는 '''북한 공화국''', '''조선 공화국''' 등 정말 여러 가지가 있었다. 최종적으로는 북조선 공화국이 채택되었다. | ||
공식 약칭은 '''북조선'''이며, 이전의 명칭인 | 공식 약칭은 '''북조선'''이며, 이전의 명칭인 조선도 자주 사용된다. 다만 북한이라는 명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약칭이다 보니 잘 사용되지 않는다. 공식 영문은 '''Republic of North Korea'''이며 보통 '''North Korea'''로 줄여 부른다. | ||
국호에 대해 재밌는 일화가 있다. 2003년 5월 13일 임시정부가 수립된 후 국무원들은 매우 중요하고 큰 문제에 직면하는데, 바로 "국호를 무엇으로 정하느냐"였다. 대부분의 국무원들은 북한민국 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전 흑역사]]의 흔적을 지우고 새로운 국호로 칭하자고 했으나, 일부 국무원들이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를 정할 때의 사례를 들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조선]]으로 망했으니 {{외부링크제거|https://jwiki.kr/wiki/index.php/%EB%B6%81%EC%A1%B0%EC%84%A0_%EA%B3%B5%ED%99%94%EA%B5%AD|북조선}}으로 흥하자"'''라는 의견을 내놓는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국호를 정할 때도 여운형 등이 대한제국은 이른 시일에 망했으니 대한 대신 조선으로 하자고 주장했으나, 임시정부 초대 교통총장 신석우가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흥하자"'''라는 의견이 지지를 받으면서 대한민국이 되었었다. 그렇게 국호가 북조선 공화국으로 결정된 것이다. | |||
===국기=== | ===국기=== | ||
===국화=== | ===국화=== | ||
94번째 줄: | 90번째 줄: | ||
{{북조선 공화국의 역사}} | {{북조선 공화국의 역사}} | ||
===임시정부의 수립=== | ===임시정부의 수립=== | ||
2003년 5월 13일, 중국 톈진에서 탈북민 약 2천 명과 국가혁명당<ref>우리가 아는 그 국가혁명당과는 다르다. 북한 최초의 반정부 정당이며 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 2003년 5월 13일, 중국 톈진에서 탈북민 약 2천 명과 국가혁명당<ref>우리가 아는 그 국가혁명당과는 다르다. 북한 최초의 반정부 정당이며 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톈진으로 이동했다.</ref> 당원 231명이 모여 임시헌장을 채택하고 국무원을 구성한 뒤 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했다. 그 다음 날인 2003년 5월 14일 임시정부는 국호를 '''북조선 공화국'''으로 결정했다. |
2022년 10월 5일 (수) 21:18 판
주니 연습장 | |||||
---|---|---|---|---|---|
연습장 1 | 연습장 2 | 연습장 3 | 연습장 4 | 연습장 5 | 연습장 6 |
메모 | 낙서 | 공부 | |||
리인포스 백업 |
北朝鮮 共和國 Republic of North Korea | |||||||||||||||||||||||||||||||||||||
![]() |
![]() | ||||||||||||||||||||||||||||||||||||
---|---|---|---|---|---|---|---|---|---|---|---|---|---|---|---|---|---|---|---|---|---|---|---|---|---|---|---|---|---|---|---|---|---|---|---|---|---|
국기 | 국장 | ||||||||||||||||||||||||||||||||||||
강성국가 强盛國家 | |||||||||||||||||||||||||||||||||||||
상징 | |||||||||||||||||||||||||||||||||||||
국가 | 애국가 | ||||||||||||||||||||||||||||||||||||
목란꽃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kp | |||||||||||||||||||||||||||||||||||||
국가 코드 | |||||||||||||||||||||||||||||||||||||
408, PRK, KP | |||||||||||||||||||||||||||||||||||||
전화 코드 | |||||||||||||||||||||||||||||||||||||
+850 |
개요
북조선 공화국(北朝鮮 共和國), 약칭 북조선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이북에 위치한 민주공화국이다.
동해, 서해와 접하며, 한반도 이남에 위치한 대한민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원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있던 지역이지만, 북조선 공화국 임시정부가 9.13 혁명을 일으키면서 김씨 일가를 몰아내 그 자리에 공화국을 세우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북한"이라는 과거 탓에 정부수립 초반에는 대외관계가 뒤틀리면서 약소국으로 전락했으나, 대한민국의 원조를 통한 빠른 변화로 2022년 7월 19일 UN 가입에까지 성공하면서 국제 사회로부터의 인정을 받았다.
상징
국호
북조선 공화국의 정식 국호는 북조선 공화국이다. 임시정부가 출범하기 전에 새로이 건국되는 공화국의 국호에 대한 논쟁이 많이 있었는데, 그 중에는 북한 공화국, 조선 공화국 등 정말 여러 가지가 있었다. 최종적으로는 북조선 공화국이 채택되었다.
공식 약칭은 북조선이며, 이전의 명칭인 조선도 자주 사용된다. 다만 북한이라는 명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약칭이다 보니 잘 사용되지 않는다. 공식 영문은 Republic of North Korea이며 보통 North Korea로 줄여 부른다.
국호에 대해 재밌는 일화가 있다. 2003년 5월 13일 임시정부가 수립된 후 국무원들은 매우 중요하고 큰 문제에 직면하는데, 바로 "국호를 무엇으로 정하느냐"였다. 대부분의 국무원들은 북한민국 같은, 이전 흑역사의 흔적을 지우고 새로운 국호로 칭하자고 했으나, 일부 국무원들이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를 정할 때의 사례를 들면서, "북조선으로 망했으니 틀:외부링크제거으로 흥하자"라는 의견을 내놓는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국호를 정할 때도 여운형 등이 대한제국은 이른 시일에 망했으니 대한 대신 조선으로 하자고 주장했으나, 임시정부 초대 교통총장 신석우가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흥하자"라는 의견이 지지를 받으면서 대한민국이 되었었다. 그렇게 국호가 북조선 공화국으로 결정된 것이다.
국기
국화
역사
북조선 공화국의 역사 History of the North Korea | |||||||||||||||||||||||||||
[ 펼치기 · 접기 ]
|
임시정부의 수립
2003년 5월 13일, 중국 톈진에서 탈북민 약 2천 명과 국가혁명당[1] 당원 231명이 모여 임시헌장을 채택하고 국무원을 구성한 뒤 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했다. 그 다음 날인 2003년 5월 14일 임시정부는 국호를 북조선 공화국으로 결정했다.
- ↑ 우리가 아는 그 국가혁명당과는 다르다. 북한 최초의 반정부 정당이며 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톈진으로 이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