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분류:아름다운 나라]] | [[분류:아름다운 나라]] | ||
{{틀:아름다운 나라 배너}} | {{틀:아름다운 나라 배너}} | ||
{{대한민국 총통}}{{아태연합 정상회의 구성}} | {{대한민국 총통}}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580009; width: 100%;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580009; color:#cfa547;" | 홍문표 관련 둘러보기 틀 | |||
|- | |||
| colspan="1" style="background:#fff;" | | |||
<div class="mw-customtoggle-114115213"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114115213"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
{| style="font-size:10.5pt;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 |||
| style="border:none;" | | |||
{| style="width:100%; border:2px solid #f0f0f0;" | |||
! style="background:#f0f0f0;" | <div style="margin: -5px -9px">현직</div> | |||
|} | |||
{{아태연합 정상회의 구성}} | |||
|- | |||
| style="border:none;" | | |||
{| style="width:100%; border:2px solid #f0f0f0;" | |||
! style="background:#f0f0f0;" | <div style="margin: -5px -9px">역임한 직위</div> | |||
|} | |||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text-align: center ; border:2px solid #580009; width: 100%;" | |||
| width="100%" colspan="5" style="background:#580009; color:#cfa547;" | [[파일:대한민국 국회휘장.png|30px]] '''대한민국 국회의원 (대구 {{글씨 색|#DC352A|[[달성군|{{글씨 색|#cfa547|달성군}}]]}})''' | |||
|- | |||
| width="30%"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 ''선거구 신설'' | |||
| width="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 → | |||
| width="30%"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 '''제13~17대<br>유승민''' | |||
| width="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 → | |||
| width="30%"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 제18대<br>[[추경호]] | |||
|- | |||
|}</div></div> | |||
|}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00467f; color:#000; max-width:450px; float:right;" |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00467f; color:#000; max-width:450px; float:right;" | ||
|- | |- | ||
! colspan="2" style="width:45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B4C, #00467F 20%, #00467F 80%, #002B4C); color:#ffc224;" | 대한민국 | ! colspan="2" style="width:45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B4C, #00467F 20%, #00467F 80%, #002B4C); color:#ffc224;" | 대한민국 제10대 총통<br>{{large|유승민}}<br>劉承旼 <nowiki> | </nowiki> Yoo Seung-min | ||
|- | |- |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951518 20170510010412 849 0001.jpg|450px]]</div>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951518 20170510010412 849 0001.jpg|450px]]</div> | ||
18번째 줄: | 48번째 줄: | ||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00467f; color:#ffc224;" | 재임 기간 | ! rowspan="2" style="background:#00467f; color:#ffc224;" | 재임 기간 | ||
| style="background:#f5f5f5;" | 대한민국 | | style="background:#f5f5f5;" | 대한민국 제10대 총통 | ||
|- | |- | ||
| [[2020년]] [[5월 13일]] ~ [[2026년]] [[6월 30일]] | | [[2020년]] [[5월 13일]] ~ [[2026년]] [[6월 30일]] |
2022년 5월 24일 (화) 23:23 판
![]() | |||||||||
---|---|---|---|---|---|---|---|---|---|
| |||||||||
| |||||||||
이 세계관의 모든 인물, 사건, 단체, 국가는 가상이며 현실의 어떠한 인물이나 단체도 찬양하거나 비하할 의도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 대한민국 총통 |
---|
[ 펼치기 · 접기 ] |
홍문표 관련 둘러보기 틀 | ||||||||||||||||||||||||||||||||||||||||||||||
---|---|---|---|---|---|---|---|---|---|---|---|---|---|---|---|---|---|---|---|---|---|---|---|---|---|---|---|---|---|---|---|---|---|---|---|---|---|---|---|---|---|---|---|---|---|---|
[ 펼치기 · 접기 ]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18회 대한민국 총통 선거에서 승리하여 총통이 되었다. 대표적인 민주국민당내 중도우익 인사로 꼽힌다. 생애총통 이전1958년 경북 대구에서 2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인 유수호는 법조인 출신으로 11회 대선 민주국민당 대선후보이었고 어머니인 강옥성은 독실한 불교도였다. 유승민은 대입 예비고사에서 전국 3등을 기록하여 서울대(현 우남대) 사회과학대에 진학했다. 전공으로는 경제학을 선택하여 졸업했으며 이후에는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연구관으로 근무했다. 1997년 경제위기 당시에는 39세의 나이로 정부 직속 경제수습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경제 복구를 위해 노력했다. 2000년 총선를 앞두고 민주국민당 이회창 주석의 제안을 받아 민국당에 입당, 정계에 입문했다. 초선 당시에는 전국구 13번으로 공천을 받아 당선되었고 이후에는 고향인 대구에서 연이어 지역구 의원에 당선되었다. 오세훈 정부 시기에는 부총리 겸 재무부장관에 임명되어 2년 동안 활동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대침체의 여파에서 벗어나게 했다는 고평가를 받았다. 2012년 총선에서는 경기도지사 후보에 공천되어 3선을 노리는 현직 도지사 이인제를 꺾고 당선되었다. 2018 대선를 위한 민국당 경선에 참여했으나 최용해에 밀려 2위로 탈락했다. 대선 참패 이후 최용해와 그의 계파가 몰락하자 유승민의 헌정회가 민국당의 주도 계파가 되었다. 그런데 정인규 성폭력 사건으로 정인규가 나락으로 갔고 총통직을 승계한 김영춘 총통이 얼마 지나지 않아 사임하면서 총통 보궐선거가 열리게 된다. 이번에는 당내 경선에서 승리한 유승민은 그 기세를 몰아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되었다. 총통 시절우파 정당인 민주국민당 소속 치고는 사회적으로 좌파적인 정책을 먾이 추진했다. 그 예시에는 동성혼 합법화 투표[2] 등의 정책 등이 있다. 최저임금을 인상하는 동시에 법인세율을 인하하는 등의 정책도 폈다. 임기를 시작하자마자 불타오르던 코로나 초기에는 거리두기에만 의존하다가 백신 확보가 늦어져 전문가들보부터 질타를 받았다. 그래도 칸막이, 열체크 장비 등의 지원은 괜찮았던 모양. 변창흠, 김현미 등 국토건설부 장관들의 삽질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크게 상승하고 설상가상으로 주택공사 직원들의 조직적 땅 투기 의혹까지 터지며 겹악재를 맞았다. 설상가상으로 주호영 법무부장관이 윤석열이 지휘하는 검찰에 의해 구속되었다. 하지만 자신의 전문 분야였던 경제와 국방에서는 성과를 냈다. 유니콘기업&스타트업 양성 프로젝트 등을 추진하였고 2020년에는 코로나 사태에도 불구하고 1.2% 순성장을 이루어냈다. 고용률도 높아저 전체 고용율은 74% 청년 고용률은 61%를 달성했다. 국방 분야에서는 KF-21과 K-11 복합소총이 실전 배치되기 시작했고 해군과 유도탄 분야에 대한 튼 투자가 시행되었다.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왕양 동중국 총통과 함께 러시아 비판 공동성명을 냈다. 2022년 3월에는 국가사회주의대한노동자당에 대해 =자유민주주의 질서를 부정하는 정당은 존재할 수 없으며, 그래서도 안 된다"며 위헌정당 해산심판을 요청하였다. 민국당 전당대회를 무난히 통과하여 19회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자민련의 이낙연 후보와 초접전을 벌이고있다. 대인관계
논란 및 사건사고품격있는 말투와 철저한 공약으로 인하여 유력 정치인중 논란이 얼마 없는 정치인으로 명성이 높다. 정치적 정체성 논란배신자 논란 (유치타)임대아파트 거주민 비하 논란"서울에서 밀려난 가난한 사람들이 경기도 살아" 발언 논란"윤석열과의 전쟁에서 패배할 수 없어" 막말 논란페미니즘 총통 논란자신을 두고 상당한 페미니스트들이라고 하여 큰 논란이 일고 있다. 20대 남성들의 커뮤니티인 에펨코리아, 자민련 마이너 갤러리 등에서는 유승민 총통을 두고 여성우월주의 총통이라고 거세게 비판하고 있다. 같은 당의 이재명 법무부장관 역시 페미니즘은 치료받아야할 정신병이라고 발언하면서 유승민 후보를 격렬하게 비난하였다. 반면 오세훈 전 총통은 이 논란에 대해 "그런 의미로 한 말이 아니었을 것"이라며 유승민 후보를 두둔하였다. 상대당의 이낙연 후보는 "이 건에 대해서 엄중히 바라보고 있습니다"라는 답변만을 남기며 평가를 유보하였다. 안철수 대구시 수성구 재보궐 선거 후보자 역시 "제가 페미니스트일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라고 답하였다. 소속 정당
선거 이력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