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신공 신배너}} {{일본 역대 내각}}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e50038; color:#000; max-width:425px; border:2px solid #e50038; float:right;" |- ! colspan="...)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총리 지명 투표 == | == 총리 지명 투표 == | ||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400px; width: 100%; float: left; border: 2px solid #E50038; text-align: center;"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background: #E50038; color: #FFF; height: 60px" | {{글씨 크기|12|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br><div style="margin: -2px 0px">중의원</div><div style="margin: 2px 0px"></div>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E;" | 후보 | |||
! width=25% style="background: #EEE;" | 득표수 | |||
! width=20% style="background: #EEE;" | 비고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E;" | 정당 | |||
! style="background: #EEE;" | 득표율 | |||
! style="background: #EEE;" | 당락 | |||
|- | |||
| width=20% rowspan="2" style="background: #E50038; color: #FFF" | [[파일:자민당흰.png|x30px|link=자유민주당 (신공)]] | |||
| width=35% | '''[[모테기 도시미쓰]]''' | |||
| '''337표'''<ref>[[자유민주당 (신공)|자유민주당]] 303표, [[공명당]] 23표, [[남방의당]] 4표, [[차세대당]] 1표, [[무소속]] 4표</ref> | |||
| '''1위''' | |||
|- | |||
| {{자민당}} | |||
| '''51.85%''' | |||
| style="background: #FFCC00" | '''지명'''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173283; color: #FFF" | [[파일:일본 사회당 로고 반전.png|x30px|link=일본사회당 (신공)]] | |||
| [[에다노 유키오 (신공)|에다노 유키오]] | |||
| 278표<ref>[[일본사회당 (신공)|일본사회당]] 241표, [[시민 리그]] 30표, [[무소속]] 7표</ref> | |||
| 2위 | |||
|- | |||
| {{일본 사회당}} | |||
| 42.77% | |||
| 낙선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db001c; color: #FFF" | [[파일:일본 공산당 로고 반전.png|x30px|link=일본 공산당]] | |||
| [[시이 가즈오 (신공)|시이 가즈오]] | |||
| 13표<ref>[[일본 공산당]] 13표</ref> | |||
| 3위 | |||
|- | |||
| {{일본 공산당}} | |||
| 2.00% | |||
| 낙선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61BC46; color: #FFF" | [[파일:일본 녹색당 로고 반전.png|x30px|link=녹색당 그린스 재팬]] | |||
| [[가다 유키코]] | |||
| 10표<ref>[[신사회당 (신공)|신사회당]] 6표, [[녹색당 그린스 재팬]] 3표, [[무소속]] 1표</ref> | |||
| 4위 | |||
|- | |||
| {{녹색당 그린스 재팬}} | |||
| 1.54% | |||
| 낙선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0462A8; color: #FFF" | [[파일:Art Spiegelman Cover.png|x30px|link=레이와 신센구미]] | |||
| [[와타나베 요시미]] | |||
| 4표<ref>[[차세대당 (신공)|차세대당]] 3표, [[무소속]] 1표</ref> | |||
| 5위 | |||
|- | |||
| {{차세대당}} | |||
| 0.46% | |||
| 낙선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ED008C; color: #FFF" | [[파일:레신당 로고.svg|x30px|link=레이와 신센구미]] | |||
| [[야마모토 타로 (신공)|야마모토 타로]] | |||
| 3표<ref>[[레이와 신센구미 (신공)|레이와 신센구미]] 3표</ref> | |||
| 6위 | |||
|- | |||
| {{레이와 신센구미}} | |||
| 0.46% | |||
| 낙선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808080; color: #FFF" | '''{{글씨 크기|18|無}}''' | |||
| [[도쿠가와 히사시]] | |||
| 3표<ref>[[무소속]] 3표</ref> | |||
| 6위 | |||
|- | |||
| {{무소속3}} | |||
| 0.46% | |||
| 낙선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808080; color: #FFF" | '''{{글씨 크기|18|無}}''' | |||
| [[히라누마 쇼지로]] | |||
| 1표<ref>[[무소속]] 1표</ref> | |||
| 8위 | |||
|- | |||
| {{무소속3}} | |||
| 0.30% | |||
| 낙선 | |||
|- | |||
|} | |||
{{-}} | |||
== 내각 인사 == | == 내각 인사 == | ||
== 성향 == | == 성향 == |
2022년 7월 19일 (화) 19:34 판
![]() |
---|
Communist 1968, 2020 - 2022 | CC-0 |
![]() 대일본제국 내각 | ||||||||||||||||||||||||||||||||||||||||||
---|---|---|---|---|---|---|---|---|---|---|---|---|---|---|---|---|---|---|---|---|---|---|---|---|---|---|---|---|---|---|---|---|---|---|---|---|---|---|---|---|---|---|
[ 펼치기 · 접기 ]
|
레이와 시대 모테기 내각 茂木内閣 | Motegi Cabinet | |||
---|---|---|---|
2021년 10월 21일 ~ 現 | |||
출범 이전 | 이후 | ||
에다노 내각 | |||
내각총리대신 | 모테기 도시미쓰 / 48대 | ||
부총리 | 고노 다로 / 내무대신 겸직 | ||
주요 선거 | 48회 중원선, 21회 참원선 | ||
여당 | ![]() | ||
연립여당 | ![]() ![]() |
개요
제4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통해 출범한 일본의 내각이다. 현재 집권중인 내각이기도 하다.
상세
내각총리대신은 자유민주당의 총재 겸 도치기현 제5구의 중의원 의원이자, 아베 내각에서 외무대신직을 역임한 바가 있는 모테기 도시미쓰. 부총리로 지명된 의원은 가나가와현 제15구 중의원이자 내무대신을 겸직하는 고노 다로 전 자유민주당 총무회장이다.
48회 중원선의 결과 사회당의 에다노 내각이 4년만에 실각하면서 성립된 보수 성향의 내각이다. 자민당과 공명당의 연립 내각이 과반 325석중 328석을 차지하였기 때문에 안정적인 과반 확보를 위해 중도보수 성향 지역주의 정당인 남방의당을 각외협력의 관계로 연립여당에 참여시켰다. 또한 친보수계 무소속 의원들이 자민당에 입당하면서 현재는 연립여당이 334석이라는 안정된 과반 의석을 확보하고 있다.
총리 지명 투표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중의원
| |||
---|---|---|---|
후보 | 득표수 | 비고 | |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모테기 도시미쓰 | 337표[1] | 1위 |
![]() |
51.85% | 지명 | |
![]() |
에다노 유키오 | 278표[2] | 2위 |
![]() |
42.77% | 낙선 | |
![]() |
시이 가즈오 | 13표[3] | 3위 |
![]() |
2.00% | 낙선 | |
![]() |
가다 유키코 | 10표[4] | 4위 |
![]() |
1.54% | 낙선 | |
![]() |
와타나베 요시미 | 4표[5] | 5위 |
![]() |
0.46% | 낙선 | |
야마모토 타로 | 3표[6] | 6위 | |
![]() |
0.46% | 낙선 | |
無 | 도쿠가와 히사시 | 3표[7] | 6위 |
무소속 | 0.46% | 낙선 | |
無 | 히라누마 쇼지로 | 1표[8] | 8위 |
무소속 | 0.30% | 낙선 |
내각 인사
성향
우익~극우 성향이었던 아베 내각이나 중도~중도좌파 성향이었던 하토야마 내각과 달리 중도보수 노선을 고수하고 있으므로 다케시타 내각 이후 오랜만에 중도보수적인 내각이 탄생했다는 평가가 많다. 공교롭게도 총리인 모테기 도시미쓰는 다케시타 노보루의 파벌인 헤이세이 연구회 출신이다.
전임 내각에서부터 시작된 미일간의 경제 전쟁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외무대신으로 대표적인 반미파에 속하는 이나다 도모미가 임명된 것은 이것의 연장선상이라는 평이다. 그러나 부총리인 고노 다로는 온건한 친미파에 속하므로 미국과는 큰 갈등을 피할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는데 미일 관계가 악화일로를 걷는 도중에 2021년 12월 극적으로 미일 정상회담이 성사되며 어느정도 맞는 해석이 되었다.
親군부, 反관료 성향이 강했던 아베 내각 시절에 비해 군에 대해서는 중립, 관료에 대해서는 친화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다. 모테기 총리 자신부터 관료 출신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