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폴리네시아: 두 판 사이의 차이

102번째 줄: 102번째 줄:


==[[폴리네시아교|종교]]==
==[[폴리네시아교|종교]]==
{{상세 설명2|폴리네시아교}}
{{상세 내용2|폴리네시아교}}
 
==정치==
==정치==
==사회==
==사회==
==문화==
==문화==

2023년 6월 30일 (금) 21:05 판

폴리네시아의 역사
ђเรՇ๏гא ๏Ŧ ק๏Lאภєรเค
[ 펼치기 · 접기 ]

틀:폴리네시아 관련 문서

고대 폴리네시아
アのレノ刀ム丂ノム
고대 폴리네시아 문명의 영향권.
기원전 10세기 ~ 기원전 464년[1]
위치 폴리네시아
정치 체제 도시국가[2]
언어 폴리네시아어
국교 폴리네시아교
주요 사건
종결 이후 브뤼스 제국

개요

고대 폴리네시아의 중심지, 브뤼스의 폴리스

고대 폴리네시아(アのレノ刀ム丂ノム, ק๏Lเภครเค)는 고대 리스본과 함께 남이스톨리아를 대표하는 문명으로, 이스톨리아 문명, 문화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스톨리아 문화의 근간이라고 불린다. 폴리네시아인들에 의해 건설된 수많은 도시국가들은 크게 브뤼스페르티아 세력으로 나뉘어져 찬란한 문명의 꽃을 피웠고 이는 기원전 464년 브뤼스-페르티아 전쟁을 통해 폴리네시아를 통일시킨 브뤼스 제국까지 이어진다.

고대 폴리네시아의 문화는 향후 이스톨리아 문화의 근간을 다졌다고 평가되지만, 정작 현재 폴리네시아의 문화를 설명하라고 해보면 떠오르는 게 거의 없는 경우가 많다. 모순이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는 브뤼스 제국 이후 시작된 약 1,200년 간의 지배 때문이다. 브뤼스 제국이 서이스톨리아 전쟁으로 가이아 공화국에게 정복당하며 기원전 195년부터 1012년까지 폴리네시아인들은 무려 1,200년 간 기나긴 지배를 받게 된다. 그것도 각각 고대와 중세를 상징하는 초강대국인 가이아 제국키오피 왕국에게 말이다. 과연 이들이 피지배민에게 친절했을까? 완전한 문화 관용 정책을 펼쳤을까? 안타깝게도 전시대에 관용 정책을 펼칠 반면교사가 될만한 사건은 없었고, 고대 폴리네시아의 문화는 전 세계로 전파되었지만 정작 이 문화를 만들어낸 폴리네시아 본토에는 고대의 문화가 남아있지 않은, 매우 기형적인 상태가 되버린 것이다.

문명의 범주

시작
일반적인 정설 도시국가의 양분할
(고대 브뤼스 - 고대 페르티아 세력)
브뤼스-페르티아 전쟁으로 브뤼스 제국 건국
확대파 제1확대파 폴리네시아에서 도시국가 형성 브뤼스-페르티아 전쟁으로 브뤼스 제국 건국
제2확대파 도시국가의 양분할
(고대 브뤼스 - 고대 페르티아 세력)
서이스톨리아 전쟁으로 브뤼스 제국 멸망
강경 확대파 폴리네시아에서 도시국가 형성 서이스톨리아 전쟁으로 브뤼스 제국 멸망

폴리네시아 문명의 범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도시국가가 브뤼스와 페르티아 세력으로 양분할된 기원전 9세기경부터 브뤼스-페르티아 전쟁을 통해 폴리네시아를 통일시키고 브뤼스 제국이 등장한 기원전 464년까지를 정설로 하는 편이다.

이 정설을 반대하는 반대파는 총 3개의 분파로 나뉘어져 있는데, 제1확대파, 제2확대파, 강경 확대파다. 먼저 제1확대파는 시작 부분인 도시국가 양분열을 도시국가의 형성까지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제2확대파는 종결 부분인 브뤼스 제국 건국을 브뤼스 제국의 멸망까지로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강경 확대파는 두 확대파의 주장을 합쳐 주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역사학계에서 제1확대파의 주장이 어느 정도 신빙성을 얻고 있다.

지역

브뤼스 폴리스 델피아
페르티아 그랜드링겐 아폴리

위 지도는 고대 폴리네시아의 주요 도시국가들의 위치를 표시해놓은 지도다. 초기에는 도시국가들을 따로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마구잡이로 흩뿌려져 있었으나, 브뤼스와 페르티아가 성장하고 북쪽과 남쪽에 각각 브뤼스, 페르티아를 중심으로 연합이 형성되었다.

브뤼스 세력의 주요 국가는 브뤼스, 폴리스, 델피아가 있으며 페르티아 세력의 주요 국가는 페르티아, 그랜드링겐, 아폴리가 있다.

  • 브뤼스
    폴리네시아 동부에 걸쳐 있는 도시. 아르메노와의 활발한 교류로 일찍이 번성한 문명을 이뤘으며, 주변의 디오티시아 등의 도시들을 정복하며 세력을 키웠다. 이후 서쪽의 폴리스와 연맹을 맺으며 본격적으로 폴리네시아 남부에서의 패권을 가져가기 시작했다.

    페르티아와의 양분 체제로 들어서며 기원전 464년 브뤼스-페르티아 전쟁으로 폴리네시아를 통일하여 브뤼스 제국으로 이어진다.
  • 폴리스
    폴리네시아 남쪽 끝에 있는 도시. 예로부터 어업과 해상 무역, 특히 '해군'이 발달했던 도시국가였다. 폴리스의 가장 큰 특징인 해군은 내륙에 위치해 해상 전투에 불리했던 브뤼스와 연합하면서 그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했고, 수많은 경험을 통해 다져진 전술은 브뤼스-페르티아 전쟁에서 완벽하게 통하며 브뤼스의 승리를 이끌 수 있었다.

    남쪽 끝에 위치한 군사적 요충지라는 이유로 브뤼스 제국, 폴리네시아 제1왕국, 폴리네시아 왕국 극초반에 수도로 채택되었으나 제노바족이 독립하면서 폴리스는 제노바족의 도시가 되었다.
  • 델피아
    폴리네시아 남서쪽 해안에 위치한 도시. 폴리스 다음으로 브뤼스가 접근한 중견 국가였다.

역사

언어

 자세한 내용은 폴리네시아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종교

 자세한 내용은 폴리네시아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정치

사회

문화

  1. 후술하듯 이 범주에 대해선 여러 가지 의견이 있다.
  2. 도시국가마다 민주정, 왕정 등 다양한 정치 체제들이 공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