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수프 외즈귀르 외젤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유수프 외즈귀르 외젤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331번째 줄: | 331번째 줄: | ||
===국호=== | ===국호=== | ||
===국기=== | ===국기===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D4293D;"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big>청천백일만지홍기<br>青天白日滿地紅旗</big>''' | ||
|- | |- | ||
! colspan="4" | <div style="margin: -4px -9px">[[파일: | ! colspan="4" | <div style="margin: -4px -9px">[[파일:폴란드 국기2.svg.png]]</div>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지위'''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폴란드의 국기'''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채택일'''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1928년]] [[12월 9일]]'''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1928년]] [[12월 9일]]'''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설계자'''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루하오둥, 쑨원'''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루하오둥, 쑨원'''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근거법령'''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중화민국 헌법 제1장 제6조'''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중화민국 헌법 제1장 제6조'''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비율'''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2:3'''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2:3''' | ||
|- | |- | ||
360번째 줄: | 360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400px; border:2px solid #000095;"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400px; border:2px solid #000095;"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big>청천백일<br>青天白日</big>''' | ||
|- | |- | ||
! colspan="4" | [[파일: | ! colspan="4" | [[파일:폴란드 국장.svg.png]]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지위'''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중화민국의 국장'''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중화민국의 국장'''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채택일'''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1928년]] [[12월 17일]]'''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1928년]] [[12월 17일]]'''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설계자'''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허잉친'''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허잉친'''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사용처'''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국가기관<br>국가문서<br>여권<br>훈장<br>해외공관'''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국가기관<br>국가문서<br>여권<br>훈장<br>해외공관''' | ||
|- | |- |
2024년 7월 16일 (화) 10:21 판
| ||
[ 펼치기 · 접기 ] |
![]() 폴란드국 대통령 | ||||||||
---|---|---|---|---|---|---|---|---|
[ 펼치기 · 접기 ]
|
폴란드국 Polska | State of Poland | ||||||||||||||||||||||||||||||||||||
---|---|---|---|---|---|---|---|---|---|---|---|---|---|---|---|---|---|---|---|---|---|---|---|---|---|---|---|---|---|---|---|---|---|---|---|---|
![]() |
![]() | |||||||||||||||||||||||||||||||||||
국기 | 국장 | |||||||||||||||||||||||||||||||||||
Bóg, Honor, Ojczyzna 하느님, 명예, 조국 | ||||||||||||||||||||||||||||||||||||
상징 | ||||||||||||||||||||||||||||||||||||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주한대사관 및 총영사관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pl | ||||||||||||||||||||||||||||||||||||
국가 코드 | ||||||||||||||||||||||||||||||||||||
616, PL, POL | ||||||||||||||||||||||||||||||||||||
국제전화코드 | ||||||||||||||||||||||||||||||||||||
+48 | ||||||||||||||||||||||||||||||||||||
차량 통행 방향 | ||||||||||||||||||||||||||||||||||||
오른쪽 | ||||||||||||||||||||||||||||||||||||
![]() |
위치 |
지도를 불러오는 중... |
개요
국가 상징
국호
국기
청천백일만지홍기 青天白日滿地紅旗 | |||
지위 | 폴란드의 국기 | ||
채택일 | 1928년 12월 9일 | ||
설계자 | 루하오둥, 쑨원 | ||
근거법령 | 중화민국 헌법 제1장 제6조 | ||
비율 | 2:3 |

중화민국 국기는 붉은 바탕에 좌측 상방에 파란 바탕에 하얀 태양이다. 中華民國國旗定為紅地,左上角青天白日。 |
중화민국 헌법 제1장 제6조 |
한마음 한 뜻으로 끝까지 변치 말고 나아가자, 청천백일만지홍. 同心同德,貫徹始終,青天白日滿地紅。 |
<중화민국 국기가> 4행 |
중화민국의 국기는 청천백일만지홍기이며 루하오둥과 쑨원에 의하여 제작되었다. 1928년 12월 17일 국민정부 시절에 공식적인 국기로 채택되었다. 청천백일만지홍기는 중국의 국부 쑨원이 창시한 삼민주의 사상을 파란색, 빨간색, 흰색의 세가지 색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파란색은 청명과 순수, 자유 그리고 민족을, 빨간색은 희생과 유혈, 박애, 한족을 중심으로 하는 다민족국가인 중국과 삼민주의의 민생을 상징하고, 백색은 정직, 이타, 평등, 민생을 각각 상징하고 있다. 좌측 상단의 청천백일기의 태양에서 뻗어나오는 12개의 빛줄기는 하루 24시간을 2시간씩 12개로 표현하고 1년 12개월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국민들이 끊임없이 정진하고 자강불식(自強不息)할 것을 상징한다.
국장
청천백일 青天白日 | |||
![]() | |||
---|---|---|---|
지위 | 중화민국의 국장 | ||
채택일 | 1928년 12월 17일 | ||
설계자 | 허잉친 | ||
사용처 | 국가기관 국가문서 여권 훈장 해외공관 |

중화민국의 국장은 청천백일문양으로 1924년 황푸 군관학교 총교관으로 근무하고 있던 허잉친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위의 국기와 마찬가지로 1928년에 국장으로 채택되었다. 파란색 원 안에는 12개의 햇살을 가진 하얀색 태양이 그려져 있다. 중국국민당의 당 휘장과 유사하게 생겼으나 원의 색상과 백일의 크기가 다르다. 태양은 혁명 정신을 뜻하며 태양에서 뻗어나오는 12개의 빛줄기는 하루 24시간을 2시간씩 12개로 표현하고 1년 12개월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국민들이 끊임없이 정진하고 자강불식(自強不息)할 것을 상징한다. 파란색과 하얀색은 삼민주의를 두 가지 색으로 표현한 것으로 번영과 민주주의를 뜻한다.
국가
중화민국 국가 中華民國國歌 | |||||||
지위 | 중화민국의 국가 | ||||||
채택일 | 1930년 3월 24일 | ||||||
작사 | 쑨원 | ||||||
작곡 | 청마오윈 | ||||||
[ 가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