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331번째 줄: 331번째 줄:
===국호===
===국호===
===국기===
===국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000095;"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D4293D;"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000095; color:#fff;" | '''<big>청천백일만지홍기<br>青天白日滿地紅旗</big>'''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big>청천백일만지홍기<br>青天白日滿地紅旗</big>'''
|-
|-
! colspan="4" | <div style="margin: -4px -9px">[[파일:중화민국의 국기.png]]</div>
! colspan="4" | <div style="margin: -4px -9px">[[파일:폴란드 국기2.svg.png]]</div>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e0000; color:#fff;" | '''지위'''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지위'''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중화민국의 국기'''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폴란드의 국기'''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e0000; color:#fff;" | '''채택일'''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채택일'''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1928년]] [[12월 9일]]'''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1928년]] [[12월 9일]]'''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e0000; color:#fff;" | '''설계자'''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설계자'''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루하오둥, 쑨원'''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루하오둥, 쑨원'''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e0000; color:#fff;" | '''근거법령'''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근거법령'''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중화민국 헌법 제1장 제6조'''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중화민국 헌법 제1장 제6조'''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e0000; color:#fff;" | '''비율'''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비율'''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2:3'''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2:3'''
|-
|-
360번째 줄: 360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400px; border:2px solid #000095;"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400px; border:2px solid #000095;"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000095; color:#fff;" | '''<big>청천백일<br>青天白日</big>'''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big>청천백일<br>青天白日</big>'''
|-
|-
! colspan="4" | [[파일:중화민국의 국휘.png]]
! colspan="4" | [[파일:폴란드 국장.svg.png]]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e0000; color:#fff;" | '''지위'''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지위'''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중화민국의 국장'''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중화민국의 국장'''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e0000; color:#fff;" | '''채택일'''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채택일'''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1928년]] [[12월 17일]]'''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1928년]] [[12월 17일]]'''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e0000; color:#fff;" | '''설계자'''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설계자'''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허잉친'''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허잉친'''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e0000; color:#fff;" | '''사용처'''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D4293D; color:#fff;" | '''사용처'''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국가기관<br>국가문서<br>여권<br>훈장<br>해외공관'''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000;" | '''국가기관<br>국가문서<br>여권<br>훈장<br>해외공관'''
|-
|-

2024년 7월 16일 (화) 10:21 판

폴란드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폴란드국 대통령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에드바르트 야로츠키
폴란드국
Polska | State of Poland
국기 국장
Bóg, Honor, Ojczyzna
하느님, 명예, 조국
상징
국가 중화민국 국가
국화 붉은 양귀비
국조 흰꼬리수리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바르샤바(Warszawa)
최대 도시 바르샤바(Warszawa)
면적 312,685km2 | 세계 70위
내수면 비율 3.07%
접경국 몽골 (민국 38) 몽골
유라시아 연합 (민국 38) 유라시아 연합
파키스탄 파키스탄
아프간 아프가니스탄
인도 인도
대한민국 (민국 38) 대한민국
부탄 부탄
네팔 네팔
버마 연방 (민국 38) 버마 연방
라오스 (민국 38) 라오스
베트남 (민국 38) 베트남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인구 40,820,272명(2023년) | 세계 37위
인구 밀도 123명/km2
민족 구성 폴란드인 (98%)
독일인 (0.2%)
우크라이나인 (0.1%)
출산율 1.40명 (2020년)
언어 공용어 폴란드어
공용문자 로마자
종교 국교 없음 (정교 분리)
분포 로마 카톨릭 87.5%
정교회 0.7%
무종교 2.4%
기타 0.3%
군대 폴란드 인민군
인간개발지수 0.916(2020년) | very high | 세계 23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성급행정구 5개 직할시, 23개 성, 6개 자치성, 2개 특별행정구
지급행정구 332개 지급시, 자치주, 지구, 맹
현급행정구 874개 시, 현, 현급구, 기, 자치기
향급행정구 40,766개 진, 향, 구, 소목, 민족소목
촌급행정구 약 590,000개 촌, 리, 알사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준연방제, 이원집정부제, 공화제, 단원제, 대륙법계
민주주의 지수 7.18점, 결함있는 민주주의 (2023년)
(167개국 중 41위)
대통령
(국가원수)
에드바르트 야로츠키
정부
요인
부통령 엘리사 소슈니츠카
대법원장
(정부수반)
타데우시 마조비에츠스키
감사원장 시몬 탈리스만
상원의장 메르체데스 레벤토프스키
하원의장 페리트 슈레야
안보부장 클라우스 카친스키
연립 여당 시민연단 레비차 라젬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시장 경제
GDP
(PPP)
$1,800,540(2024년 4월) | 세계 20위
1인당 $49,060(2024년 4월) | 세계 43위
GDP
(명목)
$8,444억 6200만(2022년 IMF 기준) | 세계 21위
1인당 $23,014(2022년 IMF 기준) | 세계 54위
국부 $2조 460억(2020년) | 세계 24위
무역 수출 $2조 6,147억(2020년)
수입 $1조 9,300억(2020년)
외환보유액 $4조 1350억(2020년)
신용 등급 무디스 A2
S&P A-
Fitch A-
통화 폴란드 즈워티
국가
예산
1년 세입 $2조 7,650억(2020년)
1년 세출 $3조 1,970억(2020년)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1 (일광절약시간제 실시)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1949년 1월 4일
유엔 가입 1945년 10월 24일(창립회원국)
무비자입국 양측 모두 90일
주한대사관 및 총영사관
[ 펼치기 · 접기 ]
주한중국대사관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길 27
주평양총영사관 평양광역시 모란봉구 메아리로 53
주부산총영사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변로 47
주신의주총영사관 신의주광역시 중구 북진로 39
주광주총영사관 광주광역시 남구 대남대로 413
주제주총영사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청사로1길 10
ccTLD
.pl
국가 코드
616, PL, POL
국제전화코드
+48
차량 통행 방향
오른쪽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개요

국가 상징

국호

국기

청천백일만지홍기
青天白日滿地紅旗
지위 폴란드의 국기
채택일 1928년 12월 9일
설계자 루하오둥, 쑨원
근거법령 중화민국 헌법 제1장 제6조
비율 2:3
중화민국 국기는 붉은 바탕에 좌측 상방에 파란 바탕에 하얀 태양이다.
中華民國國旗定為紅地,左上角青天白日。
중화민국 헌법 제1장 제6조
한마음 한 뜻으로 끝까지 변치 말고 나아가자, 청천백일만지홍.
同心同德,貫徹始終,青天白日滿地紅。
<중화민국 국기가> 4행

중화민국의 국기는 청천백일만지홍기이며 루하오둥과 쑨원에 의하여 제작되었다. 1928년 12월 17일 국민정부 시절에 공식적인 국기로 채택되었다. 청천백일만지홍기는 중국의 국부 쑨원이 창시한 삼민주의 사상을 파란색, 빨간색, 흰색의 세가지 색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파란색은 청명과 순수, 자유 그리고 민족을, 빨간색은 희생과 유혈, 박애, 한족을 중심으로 하는 다민족국가인 중국과 삼민주의의 민생을 상징하고, 백색은 정직, 이타, 평등, 민생을 각각 상징하고 있다. 좌측 상단의 청천백일기의 태양에서 뻗어나오는 12개의 빛줄기는 하루 24시간을 2시간씩 12개로 표현하고 1년 12개월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국민들이 끊임없이 정진하고 자강불식(自強不息)할 것을 상징한다.

국장

청천백일
青天白日
지위 중화민국의 국장
채택일 1928년 12월 17일
설계자 허잉친
사용처 국가기관
국가문서
여권
훈장
해외공관

중화민국의 국장은 청천백일문양으로 1924년 황푸 군관학교 총교관으로 근무하고 있던 허잉친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위의 국기와 마찬가지로 1928년에 국장으로 채택되었다. 파란색 원 안에는 12개의 햇살을 가진 하얀색 태양이 그려져 있다. 중국국민당의 당 휘장과 유사하게 생겼으나 원의 색상과 백일의 크기가 다르다. 태양은 혁명 정신을 뜻하며 태양에서 뻗어나오는 12개의 빛줄기는 하루 24시간을 2시간씩 12개로 표현하고 1년 12개월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국민들이 끊임없이 정진하고 자강불식(自強不息)할 것을 상징한다. 파란색과 하얀색은 삼민주의를 두 가지 색으로 표현한 것으로 번영과 민주주의를 뜻한다.

국가

중화민국 국가
中華民國國歌

지위 중화민국의 국가
채택일 1930년 3월 24일
작사 쑨원
작곡 청마오윈
[ 가사 ]
三民主義,吾黨所宗,
삼민주의는 우리가 따를 길,
以建民國,以進大同,
이로써 민국을 세우고, 나아가 대동을 이룩하세,
咨爾多士,為民前鋒,
오, 그대들이여, 민족을 위해 선봉에 서라,
夙夜匪懈,主義是從,
밤낮으로 게으르지 말고, 주의를 따르라,
矢勤矢勇,必信必忠,
맹세코 근면 용감하고, 반드시 정직하고 충실하라,
一心一德,貫徹始終。
한 마음 한 뜻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꾸준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