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목록 ]
[ 세계관 소개 ]
[ 문서 목록 ]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大韓民國
국기 국장
홍익인간
弘益人間
상징
국가 애국가 [1]
국화
무궁화
위치
width: calc(100% + 5px)
역사
[ 펼치기 · 접기 ]
  • 3.1 독립선언 1919년 3월 1일
  • 임시정부 수립 1919년 4월 11일
  • 광복 1945년 9월 13일
  • 조선인민공화국 수립 1945년 9월 28일
  • 미소공동통치 1945년 10월 13일 ~ 1948년 8월 15일
  • 헌법 공포 1948년 7월 17일
  • 정부수립 1948년 9월 18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서울특별시
최대 도시
서울특별시
면적
220,903㎢
내수면 비율
0.4%
접경국
중국, 유라시아 연합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80,872,517명
밀도
366명/km2
민족 구성
한민족 97%, 기타 3%
출산율
1.03명
평균 수명
87.35세
기대 수명
87.35세
공용어
한국어, 한국수어
지역어
제주어, 육진어
공용 문자
한글
종교
국교
없음
분포
개신교 18%, 불교 16%, 천주교 9%, 기타 3%, 무교 54%
군대
대한민국 국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광역자치단체
1개 특별시, 8개 광역시, 2개 특별자치시, 13개 도, 1개 특별자치도
기초자치단체
422개 시, 군, 자치구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단일국가, 공화제, 대륙법계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 23위 (완전한 민주주의)
국가 원수 (대통령)
반기문
정부
요인
국무총리
유승민
참의원 의장
김종인
민의원 의장
주호영
대법원장
김명수
헌법재판소장
유남석
중앙선거관리
위원회위원장
노정희
입법부
대한민국 국회
 대한민국 참의원 (상원)
 대한민국 민의원 (하원)
여당
한국 독립당
신임과 보완
평양기독교민주국민회
원내 야당
한국 사회당, 참여민주당, 미래진보연대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체제
GDP
(PPP)
전체 GDP
$3조 3,157억
1인당 GDP
$39,332
GDP
(명목)
전체 GDP
$2조 5,341억
1인당 GDP
$30,060
무역
수입
$5,128억
수출
$6,672억
외환 보유고
$3조 50억
신용 등급
무디스 Aa+
S&P AA
Fitch AA-
화폐
공식 화폐
대한민국 원
ISO 4217
KRW, ₩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9 (대한민국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183개국
3개국 (쿠바, 코소보, 북일본)과 미수교
UN 가입
1948년
ccTLD
.kr, .한국, .대한
국가 코드
410, KOR, KR, ROK
전화 코드
+82

개요

대한민국(大韓民國, Republic of Korea) 혹은 줄여서 한국(韓國, Korea)은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는 공화국이다.
1945년 해방 이후 1948년 정식적으로 정부가 수립되었다. 초기에는 해방정국 당시의 정치적인 혼란으로 인해 한국의 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태도가 많았으나 51년 일본 전쟁 당시 미국측이 한국에 상당한 양의 군수공장을 지어서 경제발전의 토대를 닦았고 미국과 중국의 많은 경제원조와 지원을 바탕으로 6,70년대에 비약적인 경제발전을 이루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임 대통령은 반기문이며 국무총리는 유승민이다.

한국의 수도이자 최대도시인 서울
한국의 제2도시인 부산

국가 상징

국명

공식적인 국호는 대한민국(大韓民國, Republic of Korea)이며 대한은 한민족과 한반도를, 민국은 공화국을 의미한다 하지만 대부분 국내외의 여러 단체와 기관 그리고 개인들은 한국(韓國, Korea)이라는 약칭으로 부른다. 90년대 까지는 대한(大韓)이라는 약칭이 더 많았으나 2002년 월드컵 당시부터 한국이라는 약칭이 확산되었고 현재에는 일부 기관이나 기업, 단체의 명칭에서나 쓰이고 있다.(예시/대한성공회, 대한항공, 대한의사회 등) 70년대 이전까지는 조선(朝鮮)이라는 명칭이 대중적이였으나 70년대 이후부터는 사장되었으며 마찬가지로 일부 기업의 명칭에만 쓰이고 있다.(예시/조선일보, TV조선 등)

국기


태극기
太極旗
지위 공식 국기
채택일 1948년 7월 1일
근거 법령 <대한민국국기에관한규정> (1984년~2007년)
<대한민국국기법> (2007년~현재)
비율 3:2

대한민국의 국기는 태극기이며 1882년 이응준이 조미수호통상조약 조인식에서 최초로 사용하였다. 일제강점기 시대에는 불법화되었고 한국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쓰였으며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에서도 쓰였다. 해방이후에는 조선인민공화국과 신탁통치기 한국에서도 쓰였다. 이후 제헌 국회에서도 국기로 채택되었으며, 몇번의 수정이후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태극기는 흰 바탕과 중심의 태극, 네모서리의 건곤감리 4괘로 구성되어 있다. 4괘는 각각 하늘, 땅, 물, 불을 의미하며 흰색 바탕은 순수한 우리 민족, 태극은 음양의 조화를 나타낸다.

국장


나라문장
지위 공식 국장
채택일 1963년 12월 10일
근거 법령 대통령령 제23399호 <나라문장 규정>
사용처
  • 외국·국제기구 또는 국내 외국기관에 발신하는 공문서
  • 1급 이상 상당 공무원(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공무원을 포함한다)의 임명장
  • 훈장과 훈장증 및 대통령표창장
  • 국가공무원 신분증
  • 국공립 대학교의 졸업증서 및 학위증서
  • 재외공관 건물
  • 정부소유의 선박 및 항공기
  • 화폐
  • 그 밖에 각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국가표지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문서, 시설 또는 물자

대한민국의 국장은 나라문장으로 한국의 국장은 태극문양을 무궁화 꽃잎 5장이 감싸고 ‘대한민국’ 글자가 새겨진 리본으로 그 테두리를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다. 태극기의 색조 변경에 따라서 나라문장또한 색조가 달라져 왔으며 이전에는 건곤감리 4괘가 태극문양을 감싸고 있는 모습이였다. 현재 이전의 나라문장은 한독당의 당문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국가


애국가
愛國歌

지위 공식 국가
채택일 1948년 -월 -일[1]

대한민국의 국가는 애국가로 작사자는 불명, 작곡가는 안익태이다. 대한제국 시기의 국가도 애국가 였으나 현재 대한민국의 국가와는 제목말고는 연관이 없다. 원래 정부수립 이전까지는 스코틀랜드 민요 작별에 가사를 붙여불렀으나 아후에는 안익태의 곡에 가사를 붙여 부른다. 그러나 안익태가 친일행적이 있다는 점을 들어서 이전과 같이 임정 애국가를 부르거나[2]새로운 국가를 지정하자는 움직임도 있으나 국민들 사이에 거부감이 많아 논의에 그치고 있다.

역사

대한민국 (민국 38)/역사 참고

행정구역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의 행정구역(大韓民國의 行政區域)은 대한민국의 영토를 나누는 구획으로 광역자치단체(1단계), 기초자치단체(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행정구역으로 나뉜다.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는 대한민국의 최상위 행정구역이며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로 나뉜다. 특별시, 광역시, 도 산하에는 기초자치단체가 설치되며 특별자치도에는 3단계 (행정시), 특별자치도에는 4단계[3] 행정구역이 설치된다. 총 27개 광역자치단체가 존재하며 1개 특별시, 10개 광역시, 1개 특별자치시, 14개 도, 1개 특별자치도가 존재한다.
  • 기초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는 광역자치단체 산하에 있는 행정구역으로 자치구, 군, 시로 나뉜다. 자치구는 특별시와 광역시 산하의 기초자치단체고 시는 도 산하의 기초자치단체이며 군은 양자 다 가능하다. 총 422개의 기초자치단체가 존재한다.
  • 3단계 행정구역 : 특별자치도, 특례시 산하에 존재하는 행정구역으로 일반구 (행정구)와 행정시로 나뉜다 자치구, 시와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지자체장의 민선유무로 일반구와 행정시는 구청장과 시장이 민선이 아닌 임명직이다.
  • 4단계 행정구역 : 기초자치단체와 특별자치시 산하에 설치하는 행정구역으로 읍·면·동으로 나뉜다.
  • 5단계 행정구역 : 읍면동 산하에 설치하는 행정구역으로 리와 통으로 나뉘며 리는 읍, 면 산하에 설치되고 통은 동 산하에 설치되나 실질적으로 통은 사용되지 않는다.
  • 6단계 행정구역 : 대한민국의 최말단 행정구역으로 일제시대의 애국반이 그 시초다. 실질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으며 반상회 외에는 그 존재감을 느끼는 일은 거의 없다.

정치

대한민국 (민국 38)/정치 참고

외교

한중관계

한국은 중국의 최우방 국가중 하나로 48년 정부수립 이후 중국이 한국에 많은 양의 경제, 군사적 지원을 해주었고 한국또한 80년대 까지는 절대적인 친중국가 였으므로 양국의 사이는 지금도 각별하다. 한국은 상하이 협력기구의 회원국이며 상호안보협력기구의 창립국 이기도 하다. 그러나 90년대 부터는 유련, 류큐등 타 국가와도 관계를 강화하는 등 탈중국 움직임을 보고 있기도 하다. 그러난 아직도 한국은 중국의 제1무역파트너이자 우방국으로 분류되있는 만큼 양국은 매우 우호적이다.

한월관계

역사적으로는 크게 상관이 없었으나 냉전시대 이후에는 우방국으로써 한국을 베트남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즉 중국을 재외하고 가장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중 하나다. 냉전시기에 한국이 베트남 내전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에 베트남 정부군 편으로 참전하고 베트남 또한 한국을 최우방국중 하나로 분류하고 있으며 실제로 반기문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가장 먼저 진행된 해외순방또한 베트남이였다. 또한 양국은 상호안보협력기구의 원년맴버이며 상호안보협력기구의 전신인 한중월 군사동맹에도 참여한 우방국이다.

한미관계

냉전시기부터 최우방은 아니지만 그래도 최대의 협력국중 하나로 미국은 한국의 제2교역국이며 이전부터 많은 경제지원을 해주었으며 군사부문 같은 경우에는 미국의 지원으로 많은 장비들이 개발되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이 중국의 최우방인 만큼 더이상의 관계개선은 어려울 것 같다.

한유관계

전반적으로 좋은 편으로 이전부터 꽤나 우호적인 관계를 맷고 있었으며 류큐 독립당시 한국이 3번째로 수교 할만큼 양국관계는 좋다.

한북관계

북일본이 한국 내전에서 조공측을 지원하고 이후에도 조공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했기 때문에 이전에는 제1적성국 이였으며 군사 정권시기 양국간의 관계는 최악이였다. 그러나 냉전이후 북일본이 급속히 친중으로 기울면서 상호안보협력기구 가입을 추진하자 협력기구 창립회원국인 한국과의 관계또한 개선을 시작, 현재에는 꽤나 우호적인 편이나 1967년 평양 테러로 인해 반좌파적인 시선이 강한 북부지역의 맹주 평양으로 인해 수교에 어려움을 겪는 시선이다.

한일관계

한국과 일본은 냉전시기에는 명목상의 같은 자유진영으로 정부간에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나 박정희 내각 당시 한일 국교정상화의 소식이 전해지자 대규모 시위기 일어날 정도로 국민감정은 좋지않았으며 냉전 종식 이후에는 한북관계가 개선되면서 반대급부료 학화되기 시작했다.

한련관계

냉전 시기에는 험악한 관계였으나 냉전 이후 현재의 유련과는 우방국 내지 우호국으로 평가받는다.

경제








한국의 산업별 GDP 비중      1차산업 (1.92%)     2차산업 (35.82%)     3차산업 (62.26%)

한국의 경제사

오랜시간동안 한국은 농업국가였으며 조선말기의 쇄국정책으로 산업시설은 극히 낙후되었다. 또한 일제시기에 지어진 산업시설도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소련이 전리품을 명목으로 가져가고 산업시설이 몰려있는 북부지역에서 내전이 일어나면서 그나마 남아있던 시설조차도 파괴되었다. 그러나 일본전쟁 당시 미국이 빠른 군수품 수송을 위해 한국에 지속적으로 군수공장을 지었고 냉전시기 도미로 이론이 급부상하자 공산당의 지지율이 높았던 한국에 미중양국이 수많은 지원과 원조를 해주고 많은 정권들이 노력 한 끝에 한강의 기적을 불러왔으며 이후 현재에도 세계 10권의 경제력을 가지고 있다.

1차산업

오랜시간동안 한국은 농업국가였으며 농민들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던 한국인 만큼 토지개혁을 비롯하여 농업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퍼부었으며 광업이나 어업에 대한 지원또한 아낌없이 주었고 주는 중이다.

2차산업

경제성장 초기에는 밀가루, 섬유등의 경공업에 많은 돈을 투자했으며 군사정변으로 집권한 박정희 내각이 불만을 잠재우고 지지율을 높이기 위해 중공업에 투자하면서 세계 15위권 안에 드는 공업력을 가질 수 있었다. 또한 반도체 생산 기술은 세계 최고로 평가받는다.

3차산업

현재 한국인들의 62% 가량이 종사하고 있는 산업으로 인터넷 속도 1위를 자랑하는 한국인 만큼 인터넷 관련 사업이 크게 발달해 있다.

화폐

대한민국 원 (민국 38) 참고

군사

대한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 혹은 한국군(韓國軍)은 대한민국의 군대이다. 공식적인 전신은 한국 광복군이며 실제로 광복군 출신 인원들이 다수 참여했다.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육군의 비중이 가장 크고 그다음이 해군이다. 장준하 내각 - 박정희 내각 시기에 육군에 대한 전폭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이후 집권한 김영삼 정권이 육군을 억누르기 위해 해군에 투자를 집중하면서 인구 대비 비대한 군사전력을 가지게 되었다. 2000년대 들어서는 김대중 - 노무현 정권이 지속적으로 병력을 축소하고 정예화를 추진하면서 비대했던 군전력이 상당히 축소되었다.

사회

원래 유교중심적인 사회였던 만큼 꽤나 보수적이였으나 해방이후 조봉암 총리 주도로 진행된 친일파 숙청과 사회개혁 정책으로 자유주의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었으며 군사정권 시기에도 이런 역사 덕분에 군부정권에 순순히 굴보하지 않았으며 군사 정권시기에도 꽤나 자유로운 분위기였으며 민주화 이후인 현재에도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자유주의적 분위기와 기존의 유교적 가치가 충돌하며 사회적인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문화

이전부터 전통문화가 발달하였고 현대에는 K-POP이라 불리는 한국의 대중가요가 '한류'라는 명칭으로 세계를 휩쓸고 있으며 인터넷 강국인 만큼 웹툰, 웹소설 등의 최전선에 있는 국가다.

매체

일제시대에 만들어진 조선방송협회를 전신으로 하는 한국방송협회(KBS)가 1961년 흑백방송을 시작했으며 지상파 4사에는 KBS, MBC, SBS, TBS가 있으며 신문계에서는 보수언론인 조중동과 진보언론인 한경오가 대립한다. 또한 독립신문, 서울신문등의 타 신문사도 존재한다.

종교

기독교 (개신교)가 1위를 차지하며 그 뒤로는 불교, 천주교, 기타 순이다. 그러나 전체인구의 56%에 육박하는 무종교인 덕분에 국가적인 분위기는 매우 세속적인 편이다. 그러나 기독교 계열 극단주의 정당들과 기독교 계열 사이비 종교들이 우후죽순 생겨나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민족

사실상의 한민족 단일민족 국가로 소수의 외국인과 조선족 만이 외국인으로 거주하고 있다.

교육

6-3-3 제도를 고수하고 있으며 대학은 3년제 혹은 4년제이다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 순이다. 동아시아 국가답게 학구열이 매우 높으나 21세기 들어서 입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사교육이 지나치게 비대해지면서 성적으로 인한 자살 및 아동학대에 가가운 학원 뺑뺑이가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커다란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각주

  1. 날짜 미상
  2. 다만 현재 임정 애국가는 한독당의 당가로 불리고 있어서 불가능에 가깝다.
  3. 단 이경우에는 유일한 특별자치시인 세종시가 규모가 35만의 중소도시이므로 굳이 기초자치단체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