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
---|
개요
김창암선(金昌巖線) 또는 김창암 독트린(Kim’s Doctrine)은 서울 강화조약 체결 이후 1953년 7월 10일 김창암 총리가 국민원 연설에서 발표한 외교 정책이다.
이라크와 이란의 국경선 동부와 날짜 변경선 서부 사이의 지역(사실상 아시아, 오세아니아 대부분)에는 서방 국가들이 간섭하지 말라는 것이 주요 골자로, 한국의 아시아-오세아니아 패권을 선언하는 것이었다.
배경
1945년 종전 이후 인도네시아 공화국 임시정부가 독립을 선포하자 네덜란드는 임시정부를 인정하지 않고 네덜란드령 동인도군이 영국군과 함께 자바섬으로 진군을 시작했다. 그러나 여운형 총리는 1944년에 인니 임시정부에게 독립을 약속했던 이위종-수카르노 회담의 결과를 지켜 인니 임시정부의 독립을 지지했다.
한국과 마찰을 벌이기 꺼린 영국군은 1946년 1월부로 인도네시아에서 철군하였고 네덜란드는 결국 1946년 7월 14일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인정하였다.
이는 한국이 인도네시아로부터 서구 열강의 영향력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었고 마침내 1947년 1월 1일 인도네시아 공화국이 탄생한다.
그러나 여운형 총리는 아태평양 전쟁 이후 서구 열강이 아시아에서 자신들의 식민지를 되찾으려는 시도가 여전하다는 것에 대해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이에 1947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로부터 베트남,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영국으로부터 버마를 독립시킨다. 말레이시아도 높은 자치를 인정받았으나 독립은 1957년에서야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