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주

대한합중국
연방자치단체
[ 펼치기 · 접기 ]
대화주
광역자치단체
[ 펼치기 · 접기 ]
대한합중국의 주
대화주
大和州
Daehwa State
주기 문장
야마토의 심장
大和心臟
상징
주가
주화 매화
주목 벚나무
주조 때까치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주도 경도특별시
최대 도시 대판광역시
주청 소재지 대화주 경도특별시 중구
천본로 278 (남성동)
면적 33,126km²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23,943,180명
인구밀도 722.80명/km²
공용 언어 한국어, 일본어
공용 문자 한글, 한자, 가나
종교
하위 행정 구역
[ 펼치기 · 접기 ]
광역자치단체 1특별시 1광역시 3도
기초자치단체
정치
[ 펼치기 · 접기 ]
주지사 서융준
부주지사
참의회 의원
민의회 의원
연방자치단체장
연방의회의원
여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명목
GDP
전체 $9,117억 9,024만
1인당 $38,081


개요

대화주는 일본 열도에 있는 대한합중국의 주. 일본인들은 이 지역을 간사이(関西(かんさい), 관서), 긴키(近畿(きんき), 근기)로 부르기도 한다.

경도특별시가 대화주에 존재한다. 그렇기에 일본 지역의 사실상 수도권 역할을 하는 주이다.

vs 판동주

일본 열도는 대화주와 판동주 간의 지역 갈등이 자주 표출되고 있다. 두 지역은 일본의 정치·경제·문화적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두고 오랜 시간 경쟁해 왔으며, 이러한 대립은 행정 결정이나 예산 배분 문제에서도 빈번하게 나타난다. 단순한 지역감정을 넘어서, 국가 운영의 주도권을 놓고 벌이는 실질적인 권력 다툼이라는 분석도 존재한다.

일본제국 성립 이전에는 경도가 오랜 시간 수도로 기능하며 정치·문화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제국이 건국되면서 새로운 권력 중심지로 강호가 선택되었고, 수도 역시 강호로 이전되었다. 이는 단순한 수도 이전이 아닌, 경도 지역의 정치적 위상 약화로 이어졌고, 경도와 강호 사이의 불균형이 본격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일본제국이 대한제국에 합병되면서 새로운 행정 질서가 형성되었다. 대한제국은 일본 열도의 역사적·상징적 중심지로서 경도를 지지하며, 일본 내 행정 중심지를 경도로 다시 옮기는 결정을 내렸다. 당시 이미 강호는 인구와 산업 규모에서 경도를 압도하고 있었으며, 특히 관동 평야를 중심으로 한 도시 확장 가능성도 매우 높게 평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제국은 경도에 총독부를 설치하고 집중적인 행정·문화 투자를 감행하여, 경도를 일본의 수도로 다시 육성하기 시작했다.

대한제국이 이후 대한합중국으로 연방화되며 각 주의 자치권이 대폭 확대된다. 이에 따라 지방 정부의 정치적 입김이 강해졌고, 기존의 지역 간 갈등이 더욱 격화되는 결과를 낳았다.[1] 특히 대화주와 판동주 사이에서는 주도권 다툼이 본격화되었고, 두 주 출신 정치인들은 연방 의회에서 노골적인 비방전과 정쟁을 벌이며 전국적인 갈등의 상징이 되었다. 상황이 악화되면서 실제로 연방의회 내에서 몸싸움이 벌어지는 등 정치적 혼란도 야기되었다.[2]

실제로 도시권의 규모만 놓고 보면, 대화주는 여러 지표에서 판동주에 비해 밀리는 것이 현실이다. 두 주의 면적은 비슷하지만, 판동주의 인구는 대화주의 두 배에 달하며 경제 규모에서도 앞서 있다. 게다가 대화주 내부에서도 중심지를 둘러싼 갈등이 존재한다. 경도특별시가 행정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지만, 인구와 산업 측면에서는 대판광역시가 훨씬 크고 활발한 경제 활동을 보이고 있어, 경도와 대판 사이에서도 미묘한 신경전과 권한 다툼이 반복되고 있다.

  1. 한국 입장에서는 의도한 바는 아니었지만, 지역 간 갈등이 오히려 통치를 용이하게 해주는 요소가 되었다.
  2. 이는 대화주에서는 대한연방당이, 판동주에서는 일본시민당이 각각 강세를 보이는 정치 지형도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