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역대 대한제국 황제}}
{{역대 대한국 황제(동방)}}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border:2px solid #e3ba62;max-width:450;"
{{역대 조선 국왕(동방)}}
! colspan="5" width="450px"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color: #b22222; font-size: 13pt; line-height: 1.7em" | <big>대한국 초대 황제</Big><br>문조 태황제 | 文祖 太皇帝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border:2px solid #e3ba62;max-width:450px;"
! colspan="5" width="450px"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700; font-size: 12pt; line-height: 1.7em" | 조선 24대 국왕<br><big>문조 | 文祖 </Big>
|-
! colspan="5"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color: #b22222; font-size: 12pt; line-height: 1.7em" | 대한국 초대 황제<br><big>문조 태황제 | 文祖 太皇帝</Big>
|-
|-
| colspan="5" |
| colspan="5" |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묘호
! colspan="1" rowspan="2"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출생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문조(文祖)'''
| colspan="4" style="font-size: ; | 1809년 9월 18일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시호
| colspan="4" style="font-size: | 조선 한성부 창덕궁 대조전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돈문사강소용원이제기현무인의효명'''태황제'''<br>(敦文使剛昭勇元彛齊祈顯武仁懿孝明'''太皇帝''')
|-
|-
! colspan="1" row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출생
! colspan="1" rowspan="2"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사망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1809년 9월 18일
| colspan="4" style="font-size: ; | 1877년 2월 9일 (67세)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조선 한성부 창덕궁 대조전
| colspan="4" style="font-size: | [[대한국 (동방)|대한국]] 한성부 창경궁 환경전
|-
|-
! colspan="1" row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사망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능묘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1874년 2월 9일 (64세)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고릉(高陵)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대한국 (동방)|대한국]] 한성부 창경궁 환경전
! colspan="1" rowspan="8"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재위
| colspan="4" style="font-size: ; color: #ffd400; background: #1b0e64;"| '''조선 왕세자'''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능묘
| colspan="4" style="font-size: ;" | 1812년 8월 13일 ~ 1833년 2월 10일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수릉(綏陵)
|-
|-
! colspan="1" rowspan="8"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재위
| colspan="4" style="font-size: ; color: #ffde00; background: #bf1400;"| '''조선 국왕 대리청정'''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fd400; background: #1b0e64;"| '''조선 왕세자'''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1812년 8월 13일 ~ 1833년 2월 10일
| colspan="4" style="font-size: ;" | 1826년 6월 9일 ~ 1833년 2월 10일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fde00; background: #bf1400;"| '''조선 국왕 대리청정'''
| colspan="4" style="font-size: ; color: #ffde00; background: #bf1400;"| '''조선 국왕'''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1826년 6월 9일 ~ 1833년 2월 10일
| colspan="4" style="font-size: ;" | 1833년 2월 10일 ~ 1860년 12월 31일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fde00; background: #bf1400;"| '''조선 국왕'''
| colspan="4"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대한국 황제'''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1833년 2월 10일 ~ 1860년 12월 31일
| colspan="4" style="font-size: ;" | 1861년 1월 1일 ~ 1877년 2월 9일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대한국 황제'''
| colspan="5" style="border: 0px; background: none;" | <div id="toggle-kremp1" class="toggleBtn" data-target="collapsible-kremp1"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 #fff; color: #000; margin: -4.5px -10px -6.5px; padding: 4px 0px 5px; min-height: 26px; font-size:100%;">'''[ 펼치기 · 접기 ]'''</div>
<div id="collapsible-kremp1" style="display: none; margin: 0px -13px 4px -15px; 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style="margin: 4.5px -10px -12px 3px; 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 background: #fff; font-size: 100%"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1861년 1월 1일 ~ 1874년 2월 9일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본관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전주(全州)
|-
|-
! colspan="1"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연호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건창(建昌)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
|-
|-
| colspan="5"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휘
<div class="mw-customtoggle-moonjo" style="margin: -4px -9.2px -6px -9px; padding: 6px 7px 5px 5px; text-align:center; color:#000; font-size: 11pt;">'''[ 펼치기 · 접기 ]'''</div>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moonjo"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font-size: 9pt; 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본관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전주(全州)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덕인(德寅)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부모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이(李)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부황: 순조 숙황제, 모후: 순원숙황후 김씨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부인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영(旲)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신정태황후 조씨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자녀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덕인(德寅)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헌종 (동방)|헌종 성황제]]외 1남 2녀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부모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묘호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부황: 순조 숙황제, 모후: 순원숙황후 김씨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문조(文祖)'''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부인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시호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신정태황후 조씨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건공연덕강건홍훈성헌건시태형소장대중지정돈문현무인의명효'''태황제'''<br>(建功淵德剛健洪勳成獻乾始泰亨昭章大中至正敦文顯武仁懿明孝'''太皇帝''')
----
'''청''': <s>경원(敬元)</s><ref>문조가 승하하자 일단 받았지만 쓰지는 않았다. [[광종 (동방)|광종]] 치세인 1894년 공식적으로 폐지된다.</ref>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자녀
! colspan="1" style="font-size: ; color: #b22222; background: #e3ba62;" | 연호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헌종 (동방)|헌종 성황제]]외 1남 2녀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건창(建昌)
|}
|}
|}
|}
77번째 줄: 81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조선의 24대 국왕이자 '''[[대한국 (동방)|대한국]]의 초대 황제'''. 묘호는 문조(文祖), 시호는 태황제(太皇帝). 휘는 영(旲), 자는 덕인(德寅)이며 연호는 건창(建昌), 절일은 만수절(萬壽節).
조선의 24대 국왕이자 '''[[대한국 (동방)|대한국]]의 초대 황제'''. 묘호는 문조(文祖), 시호는 태황제(太皇帝). 휘는 영(旲), 자는 덕인(德寅)이며 연호는 건창(建昌), 절일은 만수절(萬壽節).
=생애=
==초년기==
==세자 책봉과 대리청정==
{{인용문7|
임진년(1832년) 설을 쇠고 얼마 지나지 않아 세자 저하께서 문득 동궁 어전에 우의정 조인영, 병조판서 김정희, 부사과 윤상도와 나를 모아놓고 간밤의 꾼 꿈에 대해 이야기하셨다.
스스로를 중일(中一)이라 하는 사람이 조개가 가득 든 망태기를 지고서 활을 차고 강을 끼고 내려오매 그 곁에는 양(羊)이 있었소. 그는 대뜸 하얀 관(冠)을 쓸 것을 권하였는데 꿈이 너무나도 해괴하여 말을 하지 않을 수 없소.
이에 김정희가 저하의 해몽을 해주었다.
중일이라는 자가 조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귀인(貴子)을 뜻합니다. 물을 끼고 양이 내려온다는 것은 커다란 바다(洋)를 뜻하고 그 자가 활을 찼으니 오랑캐(夷)입니다. 저하께 하얀 관을 쓰시라 한 것은 참람한 일이라 차마 말할 수 없습니다.
이에 저하는 판서에게
내(予)가 그대의 해몽을 들으니 더욱 혼란하지 않을 수 없구려. 근래 양이의 배가 근해에 출몰하니 이런 꿈을 꾼 것 같소. 하나 귀한 이인이라니 상상할 수 없구려.|박규수, 헌재집}}
1832년 새해가 밝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 문조가 여러 측근을 모아놓고 꿈에 대해 얘기하였다고 한다.
{{인용문7|무릇 국가의 일도 사람의 일과 같아서, 미리 대비하더라도 예상치 못한 일이 터질 수 있으니 임금은 때마다 상황을 살피고 신속하게 처결해야 한다.|문조실록}}
=업적=

2024년 2월 6일 (화) 14:18 기준 최신판


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대한국 황제
[ 펼치기 · 접기 ]

조선 국왕
[ 펼치기 · 접기 ]
조선 24대 국왕
문조 | 文祖
대한국 초대 황제
문조 태황제 | 文祖 太皇帝
출생 1809년 9월 18일
조선 한성부 창덕궁 대조전
사망 1877년 2월 9일 (67세)
대한국 한성부 창경궁 환경전
능묘 고릉(高陵)
재위 조선 왕세자
1812년 8월 13일 ~ 1833년 2월 10일
조선 국왕 대리청정
1826년 6월 9일 ~ 1833년 2월 10일
조선 국왕
1833년 2월 10일 ~ 1860년 12월 31일
대한국 황제
1861년 1월 1일 ~ 1877년 2월 9일
[ 펼치기 · 접기 ]

개요

조선의 24대 국왕이자 대한국의 초대 황제. 묘호는 문조(文祖), 시호는 태황제(太皇帝). 휘는 영(旲), 자는 덕인(德寅)이며 연호는 건창(建昌), 절일은 만수절(萬壽節).

생애

초년기

세자 책봉과 대리청정

임진년(1832년) 설을 쇠고 얼마 지나지 않아 세자 저하께서 문득 동궁 어전에 우의정 조인영, 병조판서 김정희, 부사과 윤상도와 나를 모아놓고 간밤의 꾼 꿈에 대해 이야기하셨다.

스스로를 중일(中一)이라 하는 사람이 조개가 가득 든 망태기를 지고서 활을 차고 강을 끼고 내려오매 그 곁에는 양(羊)이 있었소. 그는 대뜸 하얀 관(冠)을 쓸 것을 권하였는데 꿈이 너무나도 해괴하여 말을 하지 않을 수 없소.

이에 김정희가 저하의 해몽을 해주었다.

중일이라는 자가 조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귀인(貴子)을 뜻합니다. 물을 끼고 양이 내려온다는 것은 커다란 바다(洋)를 뜻하고 그 자가 활을 찼으니 오랑캐(夷)입니다. 저하께 하얀 관을 쓰시라 한 것은 참람한 일이라 차마 말할 수 없습니다.

이에 저하는 판서에게

내(予)가 그대의 해몽을 들으니 더욱 혼란하지 않을 수 없구려. 근래 양이의 배가 근해에 출몰하니 이런 꿈을 꾼 것 같소. 하나 귀한 이인이라니 상상할 수 없구려.

박규수, 헌재집

1832년 새해가 밝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 문조가 여러 측근을 모아놓고 꿈에 대해 얘기하였다고 한다.

무릇 국가의 일도 사람의 일과 같아서, 미리 대비하더라도 예상치 못한 일이 터질 수 있으니 임금은 때마다 상황을 살피고 신속하게 처결해야 한다.
문조실록

업적

  1. 문조가 승하하자 일단 받았지만 쓰지는 않았다. 광종 치세인 1894년 공식적으로 폐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