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종


대한국 황제
[ 펼치기 · 접기 ]
초대 2대 3대
문조 태황제
헌종 성황제
광종 열황제
4대 5대 6대
세조 무황제
선종 의황제
익종 경황제
7대 8대
숭영제
선덕제
황태자 · 추존 황제 · 태상황 · 황후 및 국서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가야 · 신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익종 경황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청 황제
[ 펼치기 · 접기 ]

대한국 황태자
[ 펼치기 · 접기 ]

몽골 대칸
[ 펼치기 · 접기 ]
초대 임시 제2대
칭기스 칸 툴루이 오고타이 칸
제3대 제4대 제5대
귀위크 칸 몽케 칸 세첸 칸
제6대 제7대 제8대
올제이투 칸 쿨루크 칸 부얀투 칸
제9대 제10대 제11대
게겐 칸 이순테무르 칸 아슈케베 칸
제12대 제13대 복위
자야아투 칸 후투그투 칸 자야아투 칸
제14대 제15대 제16대
린칠반 칸 우카가투 칸 빌레그투 칸
제17대 제18대 제19대
우스칼 칸 조리그투 칸 엥케 칸
제20대 제21대 제22대
니굴세그치 칸 토코칸 칸 오루크테무르 칸
제23대 제24대 제25대
올제이테무르 칸 델베그 칸 에세쿠 칸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아다이 칸 타이순 칸 아크바르진 칸
제29대 제30대 제31대
에센 타이시 우케크트 칸 몰론 칸
제32대 제33대 제34대
만둘 칸 다얀 칸 바르스볼루드 칸
제35대 제36대 제37대
알라그 칸 구덴 칸 자사그트 칸
제38대 제39대 -
부얀 세첸 칸 릭단 칸 에제이
제40대
청 제2대 황제
제41대
청 제3대 황제
제42대
청 제4대 황제
아구다 오루시옝치 나이람다구 복다 칸 에예르 자사그치 칸 엥케 아무굴랑 칸
제43대
청 제5대 황제
제44대
청 제6대 황제
제45대
청 제7대 황제
나이랄투 톱 칸 텡그린 테트국센 칸 사이시얄투 이루겔투 칸
제46대
청 제8대 황제
제47대
청 제9대 황제
제48대
청 제10대 황제
토로 게렐투 칸 투게멜 엘베그투 칸 부린 자사그치 칸
제49대
청 제11대 황제
제50대
제3대 황제
제51대
제4대 황제
바다르굴투 토로 칸 온곤 우짐 칸 토모르 조리그투 칸
제52대
제5대 황제
제53대
제6대 황제
제54대
제7대 황제
체베르 히칭기 칸 알탄 누르인 칸 엔데르 에르켐세그 칸
제55대
제7대 황제
시닐락 어르셜트 '하탄' 칸
대립 아리크부카
조선왕 · 만주왕 · 중산왕 · 화동왕
대한국의 황자
문조 ~ 숭영제
[ 펼치기 · 접기 ]
대한국 6대 황제
익종 경황제 | 翼宗 敬皇帝
출생 1933년 2월 17일
대한성 한성부 창경궁 경춘전
사망 2021년 1월 2일 (87세)
황도특별시 평안궁 명정전
능묘 영릉(榮陵)
재위 대한국 황태자
1961년 1월 20일 ~ 1978년 1월 9일
대한국 황태자 | 대한국 황제 대리청정
1972년 8월 13일 ~ 1978년 1월 8일
대한국 황제
1978년 1월 9일 ~ 2000년 12월 31일
대청국 황제
1990년 1월 8일 ~ 2000년 12월 31일
대한국 · 대청국 태상황
2001년 1월 1일 ~ 2021년 1월 2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全州)
이(李)
곤(熴)
부모 부황: 선종 의황제
모후: 문성의황후
배우자 정명태황태후
자녀 숭영제외 1남 2녀
묘호 익종(翼宗)
시호 선인대장달문결안사간공후정혜순헌숭효경황제
(宣仁戴威達文潔安思簡共厚定惠純獻崇孝敬皇帝)
칸호
ᠠᠯᠲᠠᠨ ᠨᠥᠥᠷᠢᠨ

알탄 누르인
연호 화식 : 융희(隆熙)
만식 : 암바 얼덩어(ᠠᠪᠠ ᡝᠯᡩᡝᠩᡤᡝ)
몽골식 :

개요

대한국의 제6대 황제

생애

2018년 11월 황태자 이표가 연루된 사건이 터지고 몇주뒤 이표를 제외한 관련자가 모두 구속되자 태상황은 즉각 황실회의를 열어 이표의 신병에 대해 어떻게 처리할지를 논의했다. 황가에 대한 면책특권으로 인해 이표에 대한 사법처리가 늦어지고 국민 여론이 크게 악화되자 12월 3일 태상황이 태자를 폐하고 경찰조사에 협조할 것을 주장하였고 그 내용이 담긴 칙서가 반포되었다.

1. 숭영 18년(2018년) 12월 3일부로 황태자 겸 조선왕을 폐한다.
2. 조선왕은 황제 폐하께서 겸한다.
3. 새 황사(皇嗣)는 12개월 내로 결정한다.

2020년 12월 7일, 뇌출혈로 쓰러져 서울대학교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수차례의 수술을 받았으나 차도가 보이지 않았다고 전해졌으나 이듬해 새해 첫날 명정전으로 환궁했다. 그러나 이튿날인 1월 2일, 황제와 상황 내외가 함께한 자리에서 붕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