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광양 태종: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8번째 줄: 28번째 줄:
| colspan="4" style="" | 1778년 10월 25일 ~ 1805년 2월 17일 (26년)
| colspan="4" style="" | 1778년 10월 25일 ~ 1805년 2월 17일 (26년)
|}
|}
== 개요 ==
'''북광양 태종(北廣陽 太宗)''', 통칭 '''육군덕'''는 [[원고 세종|원고국 세종]] 치세 말기에 활약한 반란군 수장이자 [[북광양]]의 15대 국왕, 그리고 북광양 국왕 중 묘호를 수여받은 최초의 국왕이다.
[[시난마사 다론|장자고]]와 함께 광양인들의 반란을 주도하였으며 북광양 영토의 북부에 해당하는 녹주를 장악하는 데 성공하고, 이후 명주 전투에서 사망한 다론의 세력을 흡수하여 북광양 최초의 독립 정권을 수립하고 왕으로 즉위했다.
== 생애 ==
=== 내항부의 도망자 ===
육군덕수는 광양을 본관으로 둔 중산층 집안 육군씨의 장남으로, 그의 아버지 육군순(六君順)은 국가 공무원으로써 세무원을 담당하고 있었다. 당시 공무원은 원고국에서 꽤 알아주는 직업이었고, 그 덕분에 육군덕수의 유년은 꽤나 풍족했으나, [[원고 세조|세조]]가 즉위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원고 세종|세종]] 대부터 시작되었던 원고국의 제 2차 전성기는 [[원고 효종|효종]] 치세의 무리한 대외 무력 활동으로 인한 재정 악화가 시작되면서 끝나버렸고,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세조는 특세책을 선포하여 기존보다 높은 세금을 부과했다. 문제는, 광양인에 대한 증세율이 본토인에 비해 지나치게 높았단 것이었다. 당시 특세령을 적용했을 때 본토인에 대한 증세율은 30%였던 반면 광양인에 대한 증세율은 이보다 70%나 더한 100%였다. 이는 선원고국의 쇠퇴가

2023년 9월 15일 (금) 18:23 판

廣陽
북광양 국왕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태조 강헌왕 정종 () () 문종 () () 예종 장헌왕 광종 공순왕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의종 혜장왕 현종 양도왕 장종 강정왕 선종 공희왕 강종 영정왕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희종 공헌왕 헌종 소경왕 순종 장목왕 혜종 충선왕
원광일치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영인대왕 헌숙대왕 명정대왕 덕공대왕
육군광양 종성광양
초대 제2대 제19대 제20대
태종 목종 범철대왕
정성공 · 덕의공 · 무성공 · 도현공 · 진경공
휘성대왕
진경공
제3대 제4대 제21대 제22대
세종 고종 신의대왕
진경공 · 덕신공 · 장영공
길무대왕
장영공
제5대
폐왕
녹주 · 명주의 왕
제22대 제23대 제24대
길무대왕 경진대왕 수적대왕
구원고사제십칠후삼국만목북조남조북광양테지니원고국
북광양 제15대 군주
太宗
태종
묘호 태종
(太宗)
시호 대무장정선문대왕(大武莊正宣文大王)
연호 데자오(大光)
생몰 1746년 7월 5일 ~ 1805년 2월 17일 (58세)
미치마루(六君)
이름 멜라지니(德帥)
재위 북광양 국왕
1778년 10월 25일 ~ 1805년 2월 17일 (26년)

개요

북광양 태종(北廣陽 太宗), 통칭 육군덕원고국 세종 치세 말기에 활약한 반란군 수장이자 북광양의 15대 국왕, 그리고 북광양 국왕 중 묘호를 수여받은 최초의 국왕이다.

장자고와 함께 광양인들의 반란을 주도하였으며 북광양 영토의 북부에 해당하는 녹주를 장악하는 데 성공하고, 이후 명주 전투에서 사망한 다론의 세력을 흡수하여 북광양 최초의 독립 정권을 수립하고 왕으로 즉위했다.

생애

내항부의 도망자

육군덕수는 광양을 본관으로 둔 중산층 집안 육군씨의 장남으로, 그의 아버지 육군순(六君順)은 국가 공무원으로써 세무원을 담당하고 있었다. 당시 공무원은 원고국에서 꽤 알아주는 직업이었고, 그 덕분에 육군덕수의 유년은 꽤나 풍족했으나, 세조가 즉위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세종 대부터 시작되었던 원고국의 제 2차 전성기는 효종 치세의 무리한 대외 무력 활동으로 인한 재정 악화가 시작되면서 끝나버렸고,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세조는 특세책을 선포하여 기존보다 높은 세금을 부과했다. 문제는, 광양인에 대한 증세율이 본토인에 비해 지나치게 높았단 것이었다. 당시 특세령을 적용했을 때 본토인에 대한 증세율은 30%였던 반면 광양인에 대한 증세율은 이보다 70%나 더한 100%였다. 이는 선원고국의 쇠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