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클레치아 왕국의 경제: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경제 정보 | 나라 = 사클레치아 왕국 | 그림 = 사클레치아 왕국의 국기.png | 그림_크기 = 200px | 그림_설명 = | 통화 = 사클레치아 보루 (SCB...)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0번째 줄: 40번째 줄:
}}
}}


[[사클레치아 왕국]]의 경제는 명목 국내 총생산 기준으로 경제 규모에서 세계 13위로 [[어나더어스]] 세계의 1.1%를 차지한다. 수출국으로는 8위, 수입국으로는 7위이다. 수도 [[일리오스]]는 경제 중심지로 유명하며 [[노르문티아주]]의 [[시르코]], [[에바른]], [[코이라]], [[바우루스]], [[사카루아]]는 공업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사클레치아 왕국]]의 경제는 명목 국내 총생산 기준으로 경제 규모에서 세계 13위로 [[어나더어스]] 세계의 1.1%를 차지한다. 수출국으로는 8위, 수입국으로는 7위이다. 수도 [[일리오스]]는 경제 중심지로 유명하며 [[노르문티아주]]의 [[시르코]], [[에바른]], [[코이라]], [[바우루스]], [[사카루아]]는 공업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남부 지역인  닭이나 소, 돼지 등을 사육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발달하며 일리오스 지역에서는 맥주 산업이 발달하여 게르마스 왕국에 이어 두번째로 맥주 생산량이 많은 나라로 알려져 덕분에 현재까지 부유한 도시가 되었다. GDP를 산업별로 나누자면 1차 산업이 49.8%로 50%에 가까우며 2차 산업이 그 뒤를 잇는다. 4차 산업은 5.2%로 이미 유로아에서 4차 산업혁명이 조금씩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어나더어스 1차 산업(천연자원)의 경우 점점 줄어드는 추세지만 2차 산업(제조업, 가스 공급업)은 약간 줄어드는 추세를 보인다. 3차 산업(관광업, 교통)과 4차 산업(인프라, 지식정보업) 중 3차 산업 비중이 가장 많고 최근에는 4차 산업 발전에 열중하고 있다. 축산업의 경우 남부 지역에서 닭이나 소, 돼지 등을 사육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발달하며 일리오스 지역에서는 맥주 산업이 발달하여 게르마스 왕국에 이어 두번째로 맥주 생산량이 많은 나라로 알려져 덕분에 현재까지 부유한 도시가 되었다. 노르문티아주에서는 공업 시설이 발달한 곳이기 때문에 사클레치아는 과거 율리우스가가 집권할 때까지 상업과 공업이 발달하면서 부유국으로 성장했었다. 하지만 후기에 경기 침체가 일어나자 헨리 2세의 헨리 계획을 통해 경기 침체를 어느 정도 막아내긴 했다. 하지만 율리우스가 집권 이후 무분별한 시장 경제를 도입하면서 한 때는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등의 불안정한 영향을 끼쳤다. 다만 카이포스 집권기에서 경제 부문에서는 경제성장률이 10%로 안정적인데다 151년에는 실업률이 무려 4%까지 줄어드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카이포스 사퇴 이후 경제성장에 빨간불이 켜질 듯 했으나 다시금 불안정한 영향을 끼쳤고 율리우스 6세 초반에도 실업률이 다시 11%로 늘어나기도 했다. 하지만 200년부터 [[민주당 (사클레치아 왕국)|민주당]] 정부가 시장 경제 체제에서 혼합 경제 체제로 전환하면서 경제 산업에 힘을 실어주기 시작했고 인프라 사업에도 집중하면서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듯 했으나 사이버 공격 등으로 물거품이 되었다. 그 후 아페렌스 총리도 경제 살리기에 주력했으나 돈세탁 의혹이 터지고, 사퇴까지 이어지면서 경제정책은 실패하였다. 결국 [[베르디아 폰 마리조니치]]에게 되돌아왔고 일자리 100만개 창출을 위해 노력했으나 돌아온 것은 자본가들의 불만이었고 결국 자본가들이 촉발시킨 노사 갈등에 총파업까지 이어지면서 마리조니치는 특단의 조치인 노사 합의를 내려야만 했다. 그러나 자본가들은 노사 합의를 거절하고 군주당을 지지하는 한편, 실업자들은 자본가들을 비판하면서 친노동자 성향의 [[노동당 (사클레치아 왕국)|노동당]]과 반자본주의 성향의 [[개혁당 (사클레치아 왕국)|개혁당]]에 들어갔으나 노동당 계열은 대규모 파업에 참가했고, 개혁당은 자본가들을 비판하면서 노사 갈등이 점점 심화되었다. 결국 마리조니치는 노사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수법을 동원하였으나 소용이 없었고 오히려 자본가들의 불만만 높아졌다. 실업률은 조금씩 상승하면서 마리조니치 내각은 최대의 위기를 맞는다. 결국 사측 자본가들과 군주당원들은 퇴진 시위를 벌였고 결국 민주당의 23대 총선 패배 요점이 되었다.
사클레치아는 자본주의에 기반한 혼합 경제 체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헨리가]]부터 [[율리우스가]] 초기까지 상업과 공업이 발달하면서 [[헨리 2세]] 시기의 경기 침체를 제외하면 부유국이 되었으며, 헨리 2세 집권 후반기엔 경기 침체가 일어나면서 [[헨리 계획]]을 통해 경기 침체를 어느 정도 막아냈다. 율리우스가 집권 이후 시장 경제를 도입했으며 이를 반영한 시장 길드들이 등장하면서 길드원, 상인들에겐 이득이 되는 것은 물론 모든 백성들의 사유 재산권을 보장받았으나 무분별하게 도입하다보니 가톨릭교회, 귀족들이 시장 경제를 옹호하기 시작하면서 국가적으로는 제도까지 만들어 친길드, 친귀족 체제가 되자 야당의 반발이 커졌고, 한 때는 보루를 [[사클레치아 조폐공사]]에서 많이 찍어버리는 바람에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등 사태가 심각해지기도 했다. 하지만 [[유로아스피아 전쟁]] 이후 [[율리우스 카이포스]]의 국가 재건을 추진하면서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 다시금 성장했으며 계획 경제 체제를 조금씩 도입하는 가 싶더니 카이포스가 퇴진하자 율리우스 5세 집권 후부터 사실상 국가자본주의에 의존한 군주국가가 되었다. 이 때문에 율리우스 6세 임기 초반까지만 해도 실업률이 11%로 전보다 높았고 시민행복지수도 굉장히 낮아 국제 사회에 조명되었고, 200년부터 [[민주당 (사클레치아 왕국)|민주당]] 정부가 시장 경제 체제에서 혼합 경제 체제로 전환하여 경제 발전을 이룩하기 시작했고, 인프라 사업에도 집중하기 시작했으나 사이버-200 계획이 사이버 공격으로 무산되었고, 아페렌스 체제를 거쳐 [[베르디아 폰 마리조니치]]일자리 창출 계획이 노사 갈등으로 번지면서 노사 해결은 여전히 사클레치아의 문제로 떠오른다. 217년 [[줄리아 메이 내각]]은 경제재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했으나 220년 선출된 [[율리우스 레이소라]] 총리는 이 계획을 무산시키면서 노동자들의 반발이 커졌다.


이후 217년 정부는 강력한 노사 합의, 최저임금제 도입, 일자리 50만 개 창출 등을 담은 경제재개발 5개년 계획을 발표했고 가능하면 220년부터 시행하기로 결정했지만, 220년 5월 율리우스 레이소라 총리가 경제재개발 5개년 계획을 사실상 폐기했다. 이 때문에 노동자들과 사업 측은 반발하는 중이다.
[[분류:사클레치아 왕국]]

2021년 4월 11일 (일) 16:51 기준 최신판

사클레치아 왕국의 경제
순위 13위
통화 사클레치아 보루 (SCB)
0.636$
회계 년도
역년
무역 기구
유로아스피아 무역 기구 (EATO)
통계
GDP 354,280,897,860‬$
GDP 성장률
3.3%
1인당 GDP
71,386$
산업별 GDP
1차: 49.8%
2차: 33.4%
3차: 11.6%
4차: 5.2%
증가 2.1%
33.4%
노동인구
6,191,493
실업률 3.1%
주요 산업
공업, 농업, 인프라, 제조업 등
14위
무역
수출 18,219,619,123$
수입 88,261,135,243$
[[경상수지|틀:Allow wrap]]
10,029 (100만$)
국가 재정
16,302,095,389$
1,123,059,059$
Eco A+2
외환보유고
93,938,193,029$

주요 내용 출처:CIA World Fact Book
모든 값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미국 달러입니다

사클레치아 왕국의 경제는 명목 국내 총생산 기준으로 경제 규모에서 세계 13위로 어나더어스 세계의 1.1%를 차지한다. 수출국으로는 8위, 수입국으로는 7위이다. 수도 일리오스는 경제 중심지로 유명하며 노르문티아주시르코, 에바른, 코이라, 바우루스, 사카루아는 공업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남부 지역인 닭이나 소, 돼지 등을 사육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발달하며 일리오스 지역에서는 맥주 산업이 발달하여 게르마스 왕국에 이어 두번째로 맥주 생산량이 많은 나라로 알려져 덕분에 현재까지 부유한 도시가 되었다. GDP를 산업별로 나누자면 1차 산업이 49.8%로 50%에 가까우며 2차 산업이 그 뒤를 잇는다. 4차 산업은 5.2%로 이미 유로아에서 4차 산업혁명이 조금씩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사클레치아는 자본주의에 기반한 혼합 경제 체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헨리가부터 율리우스가 초기까지 상업과 공업이 발달하면서 헨리 2세 시기의 경기 침체를 제외하면 부유국이 되었으며, 헨리 2세 집권 후반기엔 경기 침체가 일어나면서 헨리 계획을 통해 경기 침체를 어느 정도 막아냈다. 율리우스가 집권 이후 시장 경제를 도입했으며 이를 반영한 시장 길드들이 등장하면서 길드원, 상인들에겐 이득이 되는 것은 물론 모든 백성들의 사유 재산권을 보장받았으나 무분별하게 도입하다보니 가톨릭교회, 귀족들이 시장 경제를 옹호하기 시작하면서 국가적으로는 제도까지 만들어 친길드, 친귀족 체제가 되자 야당의 반발이 커졌고, 한 때는 보루를 사클레치아 조폐공사에서 많이 찍어버리는 바람에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등 사태가 심각해지기도 했다. 하지만 유로아스피아 전쟁 이후 율리우스 카이포스의 국가 재건을 추진하면서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 다시금 성장했으며 계획 경제 체제를 조금씩 도입하는 가 싶더니 카이포스가 퇴진하자 율리우스 5세 집권 후부터 사실상 국가자본주의에 의존한 군주국가가 되었다. 이 때문에 율리우스 6세 임기 초반까지만 해도 실업률이 11%로 전보다 높았고 시민행복지수도 굉장히 낮아 국제 사회에 조명되었고, 200년부터 민주당 정부가 시장 경제 체제에서 혼합 경제 체제로 전환하여 경제 발전을 이룩하기 시작했고, 인프라 사업에도 집중하기 시작했으나 사이버-200 계획이 사이버 공격으로 무산되었고, 아페렌스 체제를 거쳐 베르디아 폰 마리조니치의 일자리 창출 계획이 노사 갈등으로 번지면서 노사 해결은 여전히 사클레치아의 문제로 떠오른다. 217년 줄리아 메이 내각은 경제재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했으나 220년 선출된 율리우스 레이소라 총리는 이 계획을 무산시키면서 노동자들의 반발이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