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국왕
[ 펼치기 · 접기 ]
추존
목조
태조 4대조
추존
익조
태조 3대조
추존
도조
태조 2대조
추존
환조
태조 1대조
초대
태조
1392 - 1398
2대
정종
1398 - 1400
3대
태종
1400 - 1418
4대
세종
1418 - 1450
5대
문종
1450 - 1466
6대
광종
1466 - 1480
7대
인종
1480 - 1501
8대
성종
1501 - 1529
9대
현종
1529 - 1538
10대
혜종
1538 - 1543
11대
경종
1543 - 1558
12대
명종
1558 - 1581
13대
중종
1581 - 1605
14대
숙종
1605 - 1617
15대
덕종
1617 - 1634
16대
정조
1634 - 1656
17대
단종
1656 - 1660
18대
선종
1660 - 1678
19대
고종
1678 - 1699
20대
헌종
1699 - 1742
21대
철종
1742 - 1745
22대
순종
1745 - 1791
23대
영종
1791 - 1814
24대
성원군
1814 - 1828
조선 국왕 · 조선 총재 · 대한 황제
조선 국왕
[ 펼치기 · 접기 ]
추존
목조
태조 4대조
추존
익조
태조 3대조
추존
도조
태조 2대조
추존
환조
태조 1대조
초대
태조
1392 - 1398
2대
정종
1398 - 1400
3대
태종
1400 - 1418
4대
세종
1418 - 1450
5대
문종
1450 - 1466
6대
광종
1466 - 1480
7대
인종
1480 - 1501
8대
성종
1501 - 1529
9대
현종
1529 - 1538
10대
혜종
1538 - 1543
11대
경종
1543 - 1558
12대
명종
1558 - 1581
13대
중종
1581 - 1605
14대
숙종
1605 - 1617
15대
덕종
1617 - 1634
16대
정조
1634 - 1656
17대
단종
1656 - 1660
18대
선종
1660 - 1678
19대
고종
1678 - 1699
20대
헌종
1699 - 1742
21대
철종
1742 - 1745
22대
순종
1745 - 1791
23대
영종
1791 - 1814
24대
성원군
1814 - 1828
조선 국왕 · 조선 총재 · 대한 황제
조선 7대 국왕
仁宗 · 인종
왕세손
1466년 4월 8일 ~ 1466년 6월 14일
문종 16년 3월 15일 ~ 문종 16년 4월 23일
왕세자
1466년 6월 14일 ~ 1480년 11월 16일
문종 16년 4월 23일 ~ 광종 14년 10월 6일
국왕
1480년 11월 16일 ~ 1501년 3월 31일
광종 14년 10월 6일 ~ 인종 21년 3월 3일
상왕
1501년 3월 31일 ~ 1502년 9월 8일
인종 21년 3월 3일 ~ 성종 1년 8월 8일
출생
1459년 2월 23일
문종 9년 1월 12일
즉위
1480년 11월 16일 (21세)
광종 14년 10월 6일
사망
1502년 9월 8일 (43세)
성종 1년 8월 8일
본관
전주 이씨
헌 · 巘
부모
광종 / 정순왕후
형제자매
6남 8녀 중 장남
왕비
안혜왕후
묘호
인종 · 仁宗
5대
문종
1450 - 1466
7대
인종
1480 - 1501
조선 7대 국왕
仁宗 · 인종
왕세손
1466년 4월 8일 ~ 1466년 6월 14일
문종 16년 3월 15일 ~ 문종 16년 4월 23일
왕세자
1466년 6월 14일 ~ 1480년 11월 16일
문종 16년 4월 23일 ~ 광종 14년 10월 6일
국왕
1480년 11월 16일 ~ 1501년 3월 31일
광종 14년 10월 6일 ~ 인종 21년 3월 3일
상왕
1501년 3월 31일 ~ 1502년 9월 8일
인종 21년 3월 3일 ~ 성종 1년 8월 8일
출생
1459년 2월 23일
문종 9년 1월 12일
즉위
1480년 11월 16일 (21세)
광종 14년 10월 6일
사망
1502년 9월 8일 (43세)
성종 1년 8월 8일
본관
전주 이씨
헌 · 巘
부모
광종 / 정순왕후
형제자매
6남 8녀 중 장남
왕비
안혜왕후
묘호
인종 · 仁宗
1. 즉위 이전 생애

1459년(문종 9), 광종과 정순왕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광종과 마찬가지로 장남으로서 원손에 올라 왕위계승자로 낙점되었고 6살이 되던 해에 바로 왕세손으로 책봉되어 후계자 교육을 받기 시작하였다. 광종은 선대 왕과 같이 세자 교육을 확충하고자 하여 즉시 시강원을 확대하도록 하였다. 당대 왕이었던 문종이 아픈 와중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서 시강원의 인원을 선별하고 인종과 많은 시간을 보내었다. 특히, 시중을 시켜 한성을 돌아다니며 궁 밖의 세상을 경험하게 해주었고, 나아가 전국의 기술자들을 선별하여 인종에게 여러 기술을 가르쳐 줄 것을 종용하였다. 당시에는 상왕이었던 문종이 광종의 허락없이 세자에게 잡학을 가르친다는 것이 사대부 입장에서는 탐탁치 않은 일이었고, 비유교적인 일이라 생각하여 광종에게 거의 매일 상소를 올렸다. 그럼에도 광종은 늙은 상왕의 뜻을 이해하고
「 원손의 견물을 넓히고자하는 일인데 어찌 그것이 틀렸다 할 수 있고, 과거 세종께서도 대호군과 뜻을 같이하여 학물을 닦았는데, 그런 공덕을 쌓고자하면 어찌 잡학이라고 관심을 두지 아니할 수 있겠는가. 그대들은 저들 잡공의 도움없이 어떻게 무기를 만들어 나라를 지키고 공구를 만들어 농사를 짓고 집을 지어 잠을 청하고 배를 만들어 조세를 나를 수 있겠는가, 하물며 나라를 총괄하는 왕이 그 원리를 모르고 업신여겨서 어찌 나라를 잘 다스린다 말하겠는가. 이 일은 과인의 식견이 아직 짧아 돌보지 못한 것을 상왕께서 도와준 것이니 오히려 은혜로운 것이다.」
하여 상소를 올린 자들을 꾸짖었다.

인종은 어릴적부터 호기심이 많아 문종이 여러 잡학을 소개해주면 관심있게 지켜보았고, 자그마한 물건을 직접 만들어보며 기존의 유교중심적인 세계관에서 자유로운 성향을 가질 수 있었다. 그러면서도 세종을 존경하여 시강원의 학업에도 소홀히 하지 않고 책을 열심히 읽는 것으로 유명했다. 문종과 광종도 세종에 관한 이야기를 자주 들려주고 어떠한 업적을 이루고 이루기 위해 어떻게 정치하였는지 늘 이야기해주었다. 광종은 인종이 6살이 된 해부터 주변 관리에게 인종이 선왕과 같은 성군이 될 것이 분명하다 이야기하고 다녔다 전해진다.

인종이 왕세손이 된 지 얼마되지 못하여 문종의 병은 급격히 악화되었고 병세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자, 인종은 학문도 등한시 하고 문종의 처소에 가서 자리를 지켰다. 그러나 그러한 인종의 태도에

조선 7대 국왕
인종의 업적
[ 펼치기 · 접기 ]
주교개민
국사종법
군무임수
육학육교
특수학문의 교육기관
역학, 의학, 율학, 산학, 천문, 이학을 육학으로 정하여 격을 높이고
사역원, 혜민원, 순도원,
수치원, 관상원, 궁리원이 맡아 교육, 실무 수행
백민훈감
교육제도의 정비
군현의 향교를 통합하고 운영규범을 세워 교육제도를 확립
소교 설치
아동교육 확대
군현마다 소교를 두어 한문, 언문을 포함한 기초적인 이식삼학과 농업을 아동이 배우게 하였다.
양현고 설치
관학지원 장학재단
관학교육을 보좌하는 재단으로 장학기관의 역할을 하였다.
학전 지급
교육기관 지원금
성균관, 상교, 향교에 토지를 주어 경비를 부담하게 하였다.
사가독서
관리들의 학업 권장
조선 시대 젊은 문신들이 임금의 명으로 직무를 쉬면서 글을 읽고 학문을 닦던 제도
훈민서 · 총집
교육내용의 체계화
이식삼학을 포함해 육학에 대한 것을 교육하기 위한 교과서로 교과에 따라 여러 종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간문청 설치
정보매체와 선전
각 지역의 중대한 일과 조정의 사업을 묶어 책자로 발간하거나 문서를 전국에 유통하는 조서의 하위 아문
경국대전 · 대전속록
국가 운영의 체계화
국가의 군법, 형법, 행정법, 노동법, 세법 등 각종 법률을 정리하고 명문화함으로 체계적이고 일률적인 국가 운영을 가능하게 하였다.
육서 설치
주요사업 수행의지
정보, 농업, 상업, 교육, 체신, 연구에 있어 국가적 역량 개발을 위해 조서, 상서, 농서, 교서, 사서, 격서를 두어 맡아하게 했다. 이 때, 격서는 격물청의 후신이다.
조선왕실의궤
의례행사의 보존
조선시대 왕실이나 국가에서 주요 행사나 잔치가 있을 때 그 행사에 동원된 인원, 행사 내용, 사용된 재물, 행렬의 배치, 의식과 절차 등의 제반 내용들을 정리한 기록물
규장각 설치
정보 보관 관리
각 지역의 풍흉, 기후, 인구, 정치, 행정 일체의 정보를 보관하고 관리하고자 설치한 기관
부목군현 통폐합
행정일원화
부, 목, 군, 현으로 세분화된 기존에서 군으로 일원화하고, 읍격의 차이를 줄이는 등, 행정편의를 위해 행정구역을 대대적으로 개선
집형규례
사법행정의 체계화
군청, 감영, 장례청의 3소 제도를 확립하고, 형법을 정비하여 남형을 억제
군선향량제
지역 인재 발굴
지역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 향촌에서 추천하여 상교에서 그 실력을 입증한 뒤, 왕의 면접을 거쳐 선발되었다. 원칙적으로 문음과 같이 청요직에 재직할 수 없으나 과거에 재수해 청요직으로 진급할 수는 있었다.
격서 · 기기청 분리
기계 제작 및 개발
생활에 유용한 기기를 개발하고 이를 제작하는 기관이자, 격서에서 요구하는 기기를 제작하는 격서의 하위아문으로 설치되었다.
육수군 분리
병종 분리 확립
수군의 무관을 육군의 무관과 구별시켜 영선원을 설치하여 양성했으며, 수군과 육군을 제도적으로 분리하였다.
원수부 설치
병종 통합 군사정책 마련
분리된 수군과 육군을 통합하여 총체적인 작전을 실시할 전시 참모부로, 평시에는 중앙군 사령부로 운영
시위영 개편
중앙군의 체계화
중앙군 5사를 시위영 휘하 7부로 개편하여 3만의 중앙군을 체계화하고 관리
동북 5성
남만주 개척 및 확장 시도
훈춘과 야춘 일대의 평야를 점령하고 개척한 군사 사업으로 성종기에 폐지되었다.
周敎啓民
두루 가르쳐 백성을 깨우치게 하거라
國事從法
나라의 일은 모두 법도에 따라야 하느니라
軍務任帥
군사와 관련된 일은
장수가 맡아하게 하라
조선 틀 목록
인종
조선 7대 국왕
인종의 업적
[ 펼치기 · 접기 ]
육학육교
특수학문의 교육기관
역학, 의학, 율학, 산학, 천문, 이학을 육학으로 정하여 격을 높이고
사역원, 혜민원, 순도원,
수치원, 관상원, 궁리원이 맡아 교육, 실무 수행
백민훈감
교육제도의 정비
군현의 향교를 통합하고 운영규범을 세워 교육제도를 확립
소교 설치
아동교육 확대
군현마다 소교를 두어 한문, 언문을 포함한 기초적인 이식삼학과 농업을 아동이 배우게 하였다.
양현고 설치
관학지원 장학재단
관학교육을 보좌하는 재단으로 장학기관의 역할을 하였다.
학전 지급
교육기관 지원금
성균관, 상교, 향교에 토지를 주어 경비를 부담하게 하였다.
사가독서
관리들의 학업 권장
조선 시대 젊은 문신들이 임금의 명으로 직무를 쉬면서 글을 읽고 학문을 닦던 제도
훈민서 · 총집
교육내용의 체계화
이식삼학을 포함해 육학에 대한 것을 교육하기 위한 교과서로 교과에 따라 여러 종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간문청 설치
정보매체와 선전
각 지역의 중대한 일과 조정의 사업을 묶어 책자로 발간하거나 문서를 전국에 유통하는 조서의 하위 아문
경국대전 · 대전속록
국가 운영의 체계화
국가의 군법, 형법, 행정법, 노동법, 세법 등 각종 법률을 정리하고 명문화함으로 체계적이고 일률적인 국가 운영을 가능하게 하였다.
육서 설치
주요사업 수행의지
정보, 농업, 상업, 교육, 체신, 연구에 있어 국가적 역량 개발을 위해 조서, 상서, 농서, 교서, 사서, 격서를 두어 맡아하게 했다. 이 때, 격서는 격물청의 후신이다.
조선왕실의궤
의례행사의 보존
조선시대 왕실이나 국가에서 주요 행사나 잔치가 있을 때 그 행사에 동원된 인원, 행사 내용, 사용된 재물, 행렬의 배치, 의식과 절차 등의 제반 내용들을 정리한 기록물
규장각 설치
정보 보관 관리
각 지역의 풍흉, 기후, 인구, 정치, 행정 일체의 정보를 보관하고 관리하고자 설치한 기관
부목군현 통폐합
행정일원화
부, 목, 군, 현으로 세분화된 기존에서 군으로 일원화하고, 읍격의 차이를 줄이는 등, 행정편의를 위해 행정구역을 대대적으로 개선
집형규례
사법행정의 체계화
군청, 감영, 장례청의 3소 제도를 확립하고, 형법을 정비하여 남형을 억제
군선향량제
지역 인재 발굴
지역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 향촌에서 추천하여 상교에서 그 실력을 입증한 뒤, 왕의 면접을 거쳐 선발되었다. 원칙적으로 문음과 같이 청요직에 재직할 수 없으나 과거에 재수해 청요직으로 진급할 수는 있었다.
격서 · 기기청 분리
기계 제작 및 개발
생활에 유용한 기기를 개발하고 이를 제작하는 기관이자, 격서에서 요구하는 기기를 제작하는 격서의 하위아문으로 설치되었다.
육수군 분리
병종 분리 확립
수군의 무관을 육군의 무관과 구별시켜 영선원을 설치하여 양성했으며, 수군과 육군을 제도적으로 분리하였다.
원수부 설치
병종 통합 군사정책 마련
분리된 수군과 육군을 통합하여 총체적인 작전을 실시할 전시 참모부로, 평시에는 중앙군 사령부로 운영
시위영 개편
중앙군의 체계화
중앙군 5사를 시위영 휘하 7부로 개편하여 3만의 중앙군을 체계화하고 관리
동북 5성
남만주 개척 및 확장 시도
훈춘과 야춘 일대의 평야를 점령하고 개척한 군사 사업으로 성종기에 폐지되었다.
조선 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