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다소 난잡하거나 생략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영어: First Republic of Tungus
독일어: Erste Tungusische Republik
러시아어: Первая республика Тунгус
퉁구스 제1공화국
(1875~1889)
通古斯 共和國 / 明完 共和國
국가 자유 찬송가
(중국어: 自由讚頌歌 / 러시아어: Псалмы о свободе)
국목 제비꽃
(중국어: 東北菫菜)
표어 시험받는 동토
(중국어: 試驗東土, 일본어: 試される東土)
수도 남살합림사도 (南薩哈林斯道, 46°57′N 142°44′E)
최대도시 아니와시 (阿尼瓦市, 46°43′N 142°31′E)
면적 161,519 km2 (아시아 27위, 세계 95위, 아시아 0.36%)
이전 국가 - 대완 대완(1752~1875)
다음 국가 - 퉁구스 제2공화국 퉁구스 제2공화국(1889~1893)
- 퉁구스 왕국 퉁구스 왕국(1889~1918)

퉁구스 제1공화국(중국어: 通古斯共和國, 영어: First Republic of Tungus) 혹은 명완 공화국(중국어: 明完共和國)은 1875년부터 1899년까지 사할린(庫頁島)과 북이도(北夷島)에서 존속한 공화정(共和政)이다.

완미통상조약(完米通商條約, 1855), 완러화친조약(完露和親條約, 1858)으로 급작스럽게 문호를 개방하게 된 대완(大完)은 하코다테 전쟁(函館戰爭, 1869)을 거치면서 외세의 침입에 대한 대처가 부실하자, 대대적인 신정권 수립 운동에 직면하게 되었다.

사절단으로서 미합중국을 방문했던 야율적로(耶律赤露)는 명말청초의 학자, 황종희(黃宗羲)의 유교적 민주 정치에 대한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군주정(君主政)을 대신하여 민중의 의사를 대표할 공화국의 설립을 주장했다. 이에 호응한 민중과 지식인 계층은 서야혁명(西野革命, 1875)을 일으켜 기존 체제의 유지 혹은 개혁을 주장하던 수구당(守舊黨)과 입헌당(立憲黨)의 세력을 단숨에 숙청하고 정권을 차지했다.

1875년 10월, 반혁명파 숙청에 도움을 준 숭무영(崇武營) 총재 야율이발(耶律以撥)이 공화당(共和黨)의 압도적인 지지로 초대 대통령 지위에 추대되면서 '퉁구스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그는 4년 임기제를 확립하였으며, 왕정복고(王政復古)를 시도하던 수구·입헌 세력에 맞서서 복벽전쟁(復辟戰爭, 1877)을 벌여 공화 정권의 기초를 다졌다. 또 완러평화조약(完露平和條約, 1879)을 체결해 대외적으로 공화 정권의 수립을 인정받기 위해 노력했다.

완안숙로(完顔淑蘆) 대통령때에 이르러 대완헌법대강(大完憲法大綱, 1884)이 제정되었다. 헌법을 통해 본격적으로 국가가 인민의 기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것을 명시하면서 민주주의(民主主義) 이념에 대한 가치가 확산되었다. 허나 소선거구제(小選擧區制) 기반의 권력 독점과 파벌 정치로 인해 여전히 기본권을 침해받던 아이누인들을 중심으로 아이누 봉기(阿伊努蜂起, 1885)가 발생하면서 민중혁명을 기초로 수립된 공화 정권은 정통성에서 타격을 받았다. 특히 소로불사리(蕭魯不沙里) 대통령의 무소불위의 월권 통치와 오시마 전쟁(大島戰爭, 1889)에서 일본 해군과의 충돌에서 패배를 겪자 공화정에 대한 회의감이 든 민중과 지식인들은 입헌당과 협력하기 시작했다.

끝내 소수 민족의 권리에 대한 선거권 부여 및 법적 조치에 대한 대립에서 시작하여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제한 선거제 유지[1]를 주장한 공화당과 전국적인 선거를 실시하고자 했던 입헌당[2]과의 갈등은 공화당 소속의 육군 총재, 복산유문(僕散有文)이 입헌당의 근거지였던 아니와시(阿尼瓦市)를 선제 공격한 것으로 남북대전(南北大戰, 1899)이 발발하면서 제1공화정은 붕괴되었다.

역사

개항과 막부와의 충돌

대완에서 본격적으로 서구 열강과의 통상 교역 시도가 있던 것은, 제2차 캄차카 탐험(Вторая Камчатская экспедиция, 1733-1743)에 합류했던 러시아군 소속 덴마크 해군 중위, 마틴 페트로비치 스팽버그(Мартын Петрович Шпанберг)의 천도 열도(千島群島)[3]사할린 방문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당시 대완 정권을 아우르던 재상 소료불수(蕭瞭不愁)의 이교도 탄압 정책으로 외세와의 접촉은 일절 금지되었으나, 이들과의 비공식적 혹은 상업적 교류가 잦았던 지식인 및 상단 계층에서는 점차 신문물에 대한 수용의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했다.

서구 문물이 비밀리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예수회(Societas Iesu) 선교사들을 주축으로 천주교(天主敎)가 전래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일부 지식인들의 학문 연구에 그쳤지만, 18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신앙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퉁구스 최초로 세례성사(洗禮聖事)를 받은 학림사 승지(學林社承旨) 설거야(薛炬夜)가 정례성당(正禮聖堂)을 건립하면서 교세는 점차 확장되었고, 이런 새로운 사상의 등장은 기존 체제에 대한 개혁 및 서구와의 교역을 공공연히 주장하는 정치 운동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19세기 초에 이르러 러시아 제국 외교관 니콜라이 레자노프(Николай Петрович Резанов)가 대략 3개월 동안 과이살과주(科尔萨科州)에 머물면서 개국에 대해 요구했으나 조정은 단칼에 거절했으며, 1846년 1월에는 미합중국의 동인도 함대 사령관 제임스 비들(James Biddle)이 아니부사기주(阿尼夫斯基州)에 상륙하여 통상을 요구하자 쇄국 체제에 대한 대외 관계 방침을 이유로 거부하는 등 열강과의 교류를 완전 봉쇄했다.

소료불수의 뒤를 이어 재상 지위를 세습한 소괄륵(蕭适勒)은 대신들의 의견을 통합하여 쇄국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는 방향으로서 골리곶(骨利串)에 포대를 쌓고 대포를 배치하는 등 해안 방어를 강화했다. 허나 내부적으로는 지식인과 상단을 중심으로 개국 운동(開國運動, 1850)이 거센 반향을 일으켰다. 이를 주도하던 완안답리(完顔理答) 등은 두문불출(杜門不出)하던 지식인들을 규합하여 개국파(開國派)를 조직해 조정에 대항했다.

이러한 혼란 속에 매튜 C. 페리(Matthew C. Perry)가 흑선내항(黑船來航, 1853)으로 에도 막부(江戶幕府)를 개국한 후 곧장 과이살과주 해안까지 진입하여 공포탄을 발사하자 조정의 대외 교류 방침은 난처해졌다. 끝내 소괄륵개국파와 포함 외교에 굴복하여 페리 원정대의 상륙을 허가한 뒤 직접 회견을 가졌다. 본국 정부 지시를 관철하는데 성공한 페리 제독은 1년 안에 유예 기간을 거쳐 조약 협상을 진행할 것이라 통보한 뒤 떠났다.

페리의 퇴항 이후에는 여전히 지방 지식인들을 주축으로 한 개국파의 급진적인 요구가 줄기차게 이어졌고, 이에 맞서 조정 관료와 대다수의 농민들은 양이론(攘夷論)을 주장하면서 국내 정세는 골머리를 앓기 시작했다. 국가 의사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소괄륵은 공의정체(公議政体)를 선언했으나, 여전히 개국에 대한 확고한 해답을 내놓을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조치는 결과적으로 소씨 섭정(蕭氏攝政) 체제의 권위를 무너뜨리고 말았다.

1854년, 일본 내 정세 혼란을 이용한 페리 제독이 급작스럽게 그해 3월에 미일화친조약(美日和親條約)을 체결하고 7월에는 류큐 왕국(琉球國)과 조약을 체결하자 조정은 큰 충격에 빠졌다. 이듬해 1월에 페리 제독이 9척에 달하는 함대를 이끌고 재상륙하자 전쟁으로까지 충돌을 우려한 조정은 마침내 여러 차례의 협상 끝에 10개조에 달하는 완미통상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정치 개혁 및 신정권 수립 운동

혁명과 공화정의 수립

체제 안정 및 헌법 제정

파벌 정치의 전횡과 봉기

쇠퇴와 남북 대전의 발발

관련 틀


역대 퉁구스 제1공화국 대통령
1875~1899
1대 2대 3대 4대
야율이발
(1875~1879)
야율승화고
(1879~1884)
완안승로
(1884~1888)
소로불사리
(1888~1889)
역대 대완 군주 / 역대 캄차카 왕정부 국가원수 / 역대 퉁구스 제2공화국 대통령 / 역대 퉁구스 왕국 군주 / 역대 퉁구스 왕국 총리대신

각주

  1. 상대적으로 공화당의 영향력이 강했으며, 이를 지지하던 지식인들의 주요 근거지였기에 제한 선거를 유지할 필요성이 있었다.
  2. 공화 정권에 잇따른 전횡과 소수 민족에 대한 노골적인 차별, 이전 왕정 체제에 대한 향수로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선거를 통해 정권을 차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았기에 주장한 것이었다.
  3. 러시아에서 부르는 명칭은 '쿠릴스키예 아스트라바'( Кури́льские остров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