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2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설명|'''다마''', '''대다마국'''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만화국''' 세계관의 동음이의 문서에 관해서는 [[다마국]](多麻國)을 참고하십시오.}}
{{다른 뜻 설명|'''후소'''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동음이의 문서에 관해서는 [[후소 (동음이의)]]참고하십시오.}}
{{다른 뜻 설명|(한시적 넘겨주기) 2022년 1월에 일어난 정치적 위기에 대한 내용은 [[2022년 다마 쿠데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후소 관련 문서}}
{{다마 관련 틀}}
{{후소 관련 틀}}
{{다마}}
{{후소 표}}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861c32;"
 
{| class="wikitable" style="float:lef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bc0e16; color:#000;"
|-
|-
! colspan="2" style="background:#ffffff; color:#861c32;" "text-align: center;" | '''위치'''
! colspan="2" style="background:#bc0e16; color:#fac53a;" "text-align: center;" | '''위치'''
|-
|-
! colspan="2" style="background:#ffffff; color:#861c32;" "text-align: center;" |
! colspan="2" style="background:#ffffff; color:#fac53a;" "text-align: center;"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Fuso on Globe.png|430px]]</div>
|-
|-
|}
|}
'''다마'''({{llang|ja|多馬|다마}}) 또는 '''대다마국'''({{llang|ja|大多馬國|다이타마코쿠}})[[동아시아]]에 위치한 국가이다. 국토는 [[동중국해]]에 위치한 [[다마 섬]]과 여러 부속도서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면적은 약 9,437 km<sup>2</sup>로 [[키프로스]](약 9,251 km<sup>2</sup>)<ref>[[북키프로스]]와 [[유엔 키프로스 완충지대]],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포함</ref>보다 조금 크다. 수도 및 최대도시는 [[고마]]이며, 인구는 약 583만 명으로 [[덴마크]](약 581만 명)와 엇비슷하다.
{{목차}}
== 개요 ==
'''후소공화국'''({{llang|ja|扶桑共和國|후소오쿄오와코쿠}}), 약칭 '''후소'''({{llang|ja|扶桑|후소오}})[[북태평양]] [[후소 제도]]에 위치한 [[섬나라]]이다. 전체 면적은 34,679km<sup>2</sup>로 [[몰도바]](33,846km<sup>2</sup>)보다 조금 더 크다. 인구는 약 380만 명<ref>[[부산광역시]](약 334만 명)와 [[세종특별자치시]](약 38만 명)를 합친 인구 수와 비슷하다.</ref>으로 [[동아시아]]에서는 [[몽골]](약 320만 명) 다음으로 인구 수가 적다. 수도는 [[세이카부|세이카]], 공용어는 [[일본어]]다.
 
1945년 [[후소 제도]]를 점령한 [[소련군]]<ref>본래는 [[루모이]]-[[구시로]]를 경계로 하여 [[홋카이도]] 북부를 점령코자 했으나 [[해리 S. 트루먼]]의 결렬한 반대 및 계획이 비현실적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자 [[후소 제도]]로 목표를 바꾸었다.</ref>은 현지 주민<ref>대부분은 [[메이지 시대]]에 병역 면제를 목적으로 건너온 빈민 혹은 [[부라쿠민]]의 후손들이었으며 이외에 죄수, 채무자, [[조선인]] 노동자 등이 정착해 있었다. 원주민인 [[후소 아이누]]의 경우 소련 당국에 의해 [[홋카이도]]로 강제이주되었다.</ref>과 [[일본]]에서 건너온 [[공산주의자]]들이 세운 [[후소노동당]]을 통해 [[일본]]·[[소련]]간 완충지 역할을 할 [[위성국]]을 세우고자 했고, 1947년 소련의 지원 아래 [[후소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상징 ==
=== 국호 ===
{| class="wikitable" style="align:left; border:2px solid #bc0e16; max-width:400px"
|-
! colspan="2"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width:400px;" | 언어별 명칭
|-
! style="width:125px; background:#bc0e16; color:#fac53a;" | [[영어|<span style="color:#fac53a;">영어]]
| style="width:275px; text-align:center;" | Republic of Fuso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fac53a;" | [[한국어|<span style="color:#fac53a;">한국어]]
| style="width:275px; text-align:center;" | 후소공화국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fac53a;" | [[일본어|<span style="color:#fac53a;">일본어]]
| style="width:275px; text-align:center;" | {{ruby-ja|扶桑共和國|ふそうきょうわこく}}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fac53a;" | [[표준중국어|<span style="color:#fac53a;">표준중국어]]
| style="width:275px; text-align:center;" | {{ruby-ja|扶桑民主共和國|fúsānggònghéguó}}
|-
|}
'''후소'''({{llang|ja|扶桑|ふそう}})는 [[중국]] [[선진시대]]의 집필된 것으로 알려진 신화집이자 지리서, [[산해경]]에 나오는 전설상의 [[뽕나무]] 혹은 [[나라]]를 일컫는 말로 [[한반도]]나 [[일본]]을 가리키는 별칭으로 쓰였다. 그러다 17세기 중반에 작성된 지방 지도, [[쇼호쿠니에즈]]를 시작으로 여러 지도들이 [[쿠릴 열도]] 남쪽에 위치한 섬을 [[후소지마]](扶桑島)란 명칭으로 기록하였다.
 
오늘날의 국호인 '''후소민주공화국'''(扶桑民主共和國)은


다마는 1946년에 독립한 이후 오늘날까지 정치적 혼란을 겪고있다. 1955년에 내각이 군부의 도움을 받아 [[친위 쿠데타]]를 일으킨 것을 시작으로 하여 수십년 동안 군사 정권들이 수립되고 붕괴되기를 반복해 왔다. 1993년 [[구정 민주화운동]]으로 실시된 자유 선거로 문민정부가 수립, 오랜 정치 불안이 종식되고 [[민주주의]]의 확립이 기대되었다. 그러나 [[2021년 다마 총리 선거]]<ref>국민투표로 총리가 선출되는 [[총리직선제]]로서 [[대통령 중심제]]와 거의 유사한 형태다.</ref>에서 [[부정선거]] 논란으로 인해 시위가 벌어졌고, 이에 정부가 강경 진압과 함께 [[계엄령]]을 선포함으로써 정치 혼란이 재개되었다. 또한 총리 연임 제한 철폐를 담은 개헌안이 통과되자 국민들의 불만은 극에 달했다. 이에 2022년 1월 4일, [[서긍원]] 대령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부와 국회를 해산하고 헌법을 정지했다. 그 뒤 [[구국혁명위원회]]를 설립, [[비상사태]] 기간을 선포하였다.
[[선주민]][[후소 아이누]]는 '수푸야 카무 모시리'({{ruby-ja|スプヤ・カム ・モシリ|supuya-kamu-mosir}})라 불렀는데, 이는 '연기로 뒤덮인 섬'이란 의미로 후소의 [[최고봉]]이자 [[활화산]][[스스가야마]](煤ヶ山)가 분화해 거대한 [[화산쇄설류]]를 분출하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다마는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다마 대군|대군]]이 국가원수로서 그 역할과 지위를 행사하고 있다. 현재 정부와 의회를 대신하여 임시 통치기구인 [[구국혁명위원회]]가 행정·입법부의 역할을 전담하고 있다. 현재 대군은 [[풍주랑]], 총리 권한대행 및 구국혁명위원회 의장은 [[서긍원]]이다.
=== 국기 ===
{{본문|일륜기}}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border: 2px solid #bc0e16; max-width:450px; font-size:10.5pt;" |
|-
! colspan="2"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width:450px;" | {{large|일륜기}}<br/>日輪旗
|-
! colspan="2" style= "background: #ffffff; height: 250px" | [[파일:Flag of Fuso.png|330px]]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width="30%" | 공식 명칭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일륜기'''<br/>日輪旗(にちりんき <small>니치린키</small>)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지위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공식 국기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제정 시기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1946년 9월 10일 <small>([[후소건국인민위원회|<span style="color:#fac53a;">후소건국인민위원회]])</small>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비율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2:3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요소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붉은색 바탕의 가운데에 노란색 원
|-
|}
 
=== 국장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border: 2px solid #bc0e16; max-width:450px; font-size:10.5pt;" |
|-
! colspan="2"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width:450px;" | {{large|후소의 국장}}<br/>扶桑の國章
|-
! colspan="2" style= "background: #ffffff; height: 250px" | [[파일:Coat of Arms of Fuso.png|380px]]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width="30%" | 지위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공식 국장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width="30%" | 제정 시기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1989년 10월 29일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width="30%" | 요소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가운데에 '扶桑共和國'이라 쓰여진 붉은 띠로 감싼 벼 이삭 안에 톱니바퀴, [[후레노보리|<span style="color:#fac53a;">후레노보리]], 국기가 있고 맨 위에는 노란색 테두리의 붉은 [[오각성|<span style="color:#fac53a;">오각성]]이 그려져 있음
|}
 
=== 국가 ===
{{본문|쟁취하라, 민중이여!}}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border: 2px solid #bc0e16; max-width:450px; font-size:10.5pt;" |
|-
! colspan="2"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width:450px;" | {{large|쟁취하라, 민중이여!}}<br/>勝ち取れ、民衆よ!
|-
! colspan="2" style= "background: #ffffff; height: 300px" | [[파일:Kachitore minshuyo root.png|450px]]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width="30%" | 지위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공식 국가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width="30%" | 제정 시기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1946년 9월 10일 <small>([[후소건국인민위원회|<span style="color:#fac53a;">후소건국인민위원회]])</small>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width="30%" | 작사가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우에노 요스케|<span style="color:#fac53a;">우에노 요스케]] {{resize|(1946년)}}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width="30%" | 작곡가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에른스트 안쉬츠|<span style="color:#fac53a;">에른스트 안쉬츠]] {{resize|(1824년)}}
|-
| colspan="2" style="background:#fff;" |
<div class="mw-customtoggle-3434344"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000000;"><div style="margin: -3px 0px">'''[ 가사 정보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3434344"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10pt;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히라가나·한자 혼용 가사'''
|-
| 勝ち取れ、民衆よ! 我等わ一緖だ<br/>高く立て旗を、叫べ自由の聲<br/>抱け、民衆よ! 我等わ一緖だ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히라가나 가사'''
|-
| かちとれ、みんしゅう よ! われらわいっしょだ<br/>たかくたてはたを、さけべざゆうのこえ<br/>いだけ、みんしゅうよ! われらわいっしょだ
|-
| style="background:#bc0e16; color: #fac53a;" | '''한글 가사'''
|-
| 쟁취하라, 민중이여! 우리는 함께다<br/>높이 내걸어라 깃발을, 외쳐라 자유의 함성<br/>품어라, 민중이여! 우리는 함께다
|-
|}</div></div>
|}


1970년대 [[대륙붕]] 탐사를 통해 막대한 석유가스전을 발견, 개발함으로써 급속도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기에 [[아시아의 다섯마리 용]] 중 하나로 지목되었다. 그러나 천연자원에 의존하는 경제와 정치 불안으로 경제 위기를 겪어왔으며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때 절정을 이루었다. 정부는 취약한 경제 구조를 탈피하고자 풍부한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업에 비중을 늘리는데 집중했고, 2000년엔 [[역외금융센터]]이자 [[자유무역지대]]인 [[울주특별경제구역]]을 설치하여 많은 기업들을 유치코자 노력했다.
== 역사 ==
{{본문|후소/역사}}


== 각주 ==
== 각주 ==
{{각주}}
{{각주}}

2022년 9월 1일 (목) 08:31 기준 최신판

후소 관련 문서
扶桑共和國
[ 정치 · 군사 ]
[ 역사 ]
[ 역사 ]
지위 공식 국가
후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동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 펼치기 · 접기 ]
파일:Flag of Fuso.png
대한민국 후소 북한
중국 일본 몽골[1]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1. 중앙아시아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함.
후소공화국
扶桑共和國
Republic of Fuso
파일:Flag of Fuso.png
국기 국장
상징
국가 쟁취하라, 민중이여!
국조
군함조
국화
사탕수수
역사
일본 제국의 항복 선언 1945년 8월 15일
미국으로부터의 독립 1965년 1월 26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세이카부(靖化府 (せいかふ))
최대도시
면적
총 면적
km2 | 세계 위 · 아시아 위
내수면
km2 | %
인접국
일본
필리핀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인구
3,809,740명(2022년) | 세계 129위
인구밀도
명/km2(2022년) | 세계 위
민족 구성
야마토 민족 90.1%
타갈로그족 7.8%
일로카노족 1.4%
• 기타 0.7%
출산율
1.61명(2022년)
기대 수명
82.1세(2022년)
공용어
일본어
공용 문자
한자(구자체), 가나 문자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불교 24.5%
기독교 10.3%
무종교 및 기타 65.2%
군대
후소군
인간개발지수
0.827(2022년) | Very high | 세계 50위
하위 행정 구역
[ 펼치기 · 접기 ]
포괄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공화제(국민주권), 민주주의, 단원제, 다당제, 단일국가, 성문법주의(대륙법계 혼합)
민주주의 지수
3.98점, 권위주의 체제(2022년)
(168개국 중 109위, 아시아·태평양 22위)
대통령
(국가원수)
센자키 쇼이치로 尖崎祥一郞
정부
요인
정부수석
(정부수반)
오타카 후사오 尾高房雄
최고재판소장
가와나베 다카유키 川鍋孝幸
여당
후소자유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시장경제 체제
GDP
(명목)
전체 GDP
$1,043억(2022년) | 세계 70위
1인당 GDP
$27,377(2022년) | 세계 52위
GDP
(PPP)
전체 GDP
$1,527억(2022년) | 세계 82위
1인당 GDP
$40,081(2022년) | 세계 46위
국부
$2,861억(2022년) | 세계 63위
수출입액
수출
$239.8억(2022년) | 세계 66위
수입
$307.1억(2022년) | 세계 61위
외환보유액
$238.4억(2022년) | 세계 61위
신용등급
무디스 Baa1(2022년)
S&P BBB+(2022년)
Fitch BBB(2022년)
화폐
공식 화폐
후소 엔(¥, 円)
ISO 4217
FUY
국가 예산
1년 세입
$148.9억(2022년)
1년 세출
$197.2억(2022년)
지니계수
0.279(2022년) | low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9(후소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날짜형식
yyyy년 m월 d일
yyyy. m. d. (CE)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1966년 2월 23일
북한: 1967년 3월 26일
유엔 가입
1965년 9월 21일
무비자 입국
양국 모두 90일[1]
주한후소대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독서당로 92
ccTLD
.fu, .扶桑[2]
국가 코드
264, FUS, FU
전화 코드
+851
차량 통행 방향
왼쪽
여행경보
여행유의
전 지역


위치

개요

후소공화국(일본어: 扶桑共和國 후소오쿄오와코쿠[*]), 약칭 후소(일본어: 扶桑 후소오[*])는 북태평양 후소 제도에 위치한 섬나라이다. 전체 면적은 34,679km2몰도바(33,846km2)보다 조금 더 크다. 인구는 약 380만 명[3]으로 동아시아에서는 몽골(약 320만 명) 다음으로 인구 수가 적다. 수도는 세이카, 공용어는 일본어다.

1945년 후소 제도를 점령한 소련군[4]은 현지 주민[5]일본에서 건너온 공산주의자들이 세운 후소노동당을 통해 일본·소련간 완충지 역할을 할 위성국을 세우고자 했고, 1947년 소련의 지원 아래 후소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상징

국호

언어별 명칭
영어 Republic of Fuso
한국어 후소공화국
일본어 扶桑共和國 (ふそうきょうわこく)
표준중국어 扶桑民主共和國 (fúsānggònghéguó)

후소(일본어: 扶桑 ふそう[*])는 중국 선진시대의 집필된 것으로 알려진 신화집이자 지리서, 산해경에 나오는 전설상의 뽕나무 혹은 나라를 일컫는 말로 한반도일본을 가리키는 별칭으로 쓰였다. 그러다 17세기 중반에 작성된 지방 지도, 쇼호쿠니에즈를 시작으로 여러 지도들이 쿠릴 열도 남쪽에 위치한 섬을 후소지마(扶桑島)란 명칭으로 기록하였다.

오늘날의 국호인 후소민주공화국(扶桑民主共和國)은

선주민후소 아이누는 '수푸야 카무 모시리'(スプヤ・カム ・モシリ (supuya-kamu-mosir))라 불렀는데, 이는 '연기로 뒤덮인 섬'이란 의미로 후소의 최고봉이자 활화산스스가야마(煤ヶ山)가 분화해 거대한 화산쇄설류를 분출하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국기

일륜기
日輪旗
파일:Flag of Fuso.png
공식 명칭 일륜기
日輪旗(にちりんき 니치린키)
지위 공식 국기
제정 시기 1946년 9월 10일 (후소건국인민위원회)
비율 2:3
요소 붉은색 바탕의 가운데에 노란색 원

국장

후소의 국장
扶桑の國章
지위 공식 국장
제정 시기 1989년 10월 29일
요소 가운데에 '扶桑共和國'이라 쓰여진 붉은 띠로 감싼 벼 이삭 안에 톱니바퀴, 후레노보리, 국기가 있고 맨 위에는 노란색 테두리의 붉은 오각성이 그려져 있음

국가

쟁취하라, 민중이여!
勝ち取れ、民衆よ!
지위 공식 국가
제정 시기 1946년 9월 10일 (후소건국인민위원회)
작사가 우에노 요스케 (1946년)
작곡가 에른스트 안쉬츠 (1824년)
[ 가사 정보 ]
히라가나·한자 혼용 가사
勝ち取れ、民衆よ! 我等わ一緖だ
高く立て旗を、叫べ自由の聲
抱け、民衆よ! 我等わ一緖だ
히라가나 가사
かちとれ、みんしゅう よ! われらわいっしょだ
たかくたてはたを、さけべざゆうのこえ
いだけ、みんしゅうよ! われらわいっしょだ
한글 가사
쟁취하라, 민중이여! 우리는 함께다
높이 내걸어라 깃발을, 외쳐라 자유의 함성
품어라, 민중이여! 우리는 함께다

역사

각주

  1. 2022년 7월 이후 미접종자도 상호 격리가 면제되면서 입국이 자유로워졌다.
  2. 국제화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3. 부산광역시(약 334만 명)와 세종특별자치시(약 38만 명)를 합친 인구 수와 비슷하다.
  4. 본래는 루모이-구시로를 경계로 하여 홋카이도 북부를 점령코자 했으나 해리 S. 트루먼의 결렬한 반대 및 계획이 비현실적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자 후소 제도로 목표를 바꾸었다.
  5. 대부분은 메이지 시대에 병역 면제를 목적으로 건너온 빈민 혹은 부라쿠민의 후손들이었으며 이외에 죄수, 채무자, 조선인 노동자 등이 정착해 있었다. 원주민인 후소 아이누의 경우 소련 당국에 의해 홋카이도로 강제이주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