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1961)


1961 배너1.jpg


과거를 통제하는 자가 미래를 통제한다. 현재를 통제하는 자는 과거를 통제한다. 그리고 현재는 원자력이 통제한다.
1961은 유럽에서의 최종승리를 이룩한 대독일국과, 태평양 전쟁 이후 태평양과 대서양, 자유 세계의 수호자로 등극한 미합중국, 그리고 중일전쟁에서 승전하여 동아시아 대륙 패권을 장악하고 초강대국으로 급부상한 중화민국, 세 초강대국의 냉전을 다룬 1961 팀의 대체역사 세계관입니다.
PC 환경에서의 감상을 추천합니다.
이 버튼을 누른다면, 세계의 운명은 파멸로 향할 것 입니다.
CONFIRM NUCLEAR LAUNCH   CONFIRM   CANCEL
The World Info

중화민국


민국의 위대한 국부 쑨원삼민주의 사상을 중국에 남기고 세상을 떠남으로서, 중국 국민당에는 새 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중화민족이 가야 할 길인 민족, 민권, 민생의 원리를 제시한 삼민주의 사상은 중화민족을 풍요롭게 할 쑨원의 유산이었습니다. 특히 토지 개혁과 독과점 자본을 반대한 민생주의 이론은 당 내의 우익과 좌익의 의견 차이를 정리하고 해법을 제시함으로서 중국 국민당은 하나가 될 수 있었습니다. 민주적 사회주의를 기반으로 국민당은 토지 개혁 등 민생 안정에 힘쓰며 북쪽의 군벌들을 몰아낼 실력을 갈고 닦았습니다. 그리하여 1926년 시작된 북벌. 즉, 국민혁명을 국민당의 지도자 장제스가 북양정부를 무너뜨리고 중국을 통일하는 것으로 완수했습니다. 이후 황금십년이라 불리우는 10년간의 태평성대를 통해 중국은 고도로 성장하며 아편전쟁 이후 비로소 다시 세계 무대에 설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1937년, 통제파가 장악한 일본의 중국 대륙을 향한 야욕은 커져만 갔습니다. 1932년 만주사변을 시작으로 대륙을 향한 야욕을 드러내오던 일본이 1936년 루거오차오에서의 사건을 빌미로 중국을 침략했습니다. 8년 항쟁의 시작이었습니다. 중국의 우방 독일을 포함한 많은 국가들이 중국을 지원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군은 패퇴를 거듭했으며, 개전 1년도 채 되지 않아 수도 난징을 내어주어야 했습니다. 수도를 적에게 내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중화민족의 항일전쟁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국민정부는 항전을 계속했고, 1941년에는 일본이 미국과 개전, 45년에는 미국이 일본에 원자력의 힘을 선보여 일본이 무조건 항복함으로서 중화민족은 다시 한번 승리했습니다. 그러나 전쟁의 상처는 깊이 남아 있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기근에 시달렸고, 인플레이션은 종잡을 수 없이 커져갔습니다. 미국과 독일이 중국에 대한 영향을 확보하고자 수 차례의 원조를 제공하여 상황이 나아지긴 하였으나, 이러한 원조는 중국을 세계 무대에서 곤란히 만들었습니다. 전통적 우방이던 독일과 새로운 동맹인 미국 사이에서 중립을 유지하는 것이 힘들다고 판단한 정부는 경제 개발 계획을 통해 산업 복구에 주력하며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자 했습니다. 이는 성공하였습니다. 정부와 인민의 노력으로 중국은 7억 인구를 보유한 경제 대국이 되었으며 이제는 미국, 독일과 경쟁하는 강대국 중 하나입니다.

▶정치에 대해 알아보기◀

▶경제에 대해 알아보기◀

대독일국


1914년의 대전쟁에서 패배를 경험한 독일의 독수리는 1930년대 총통 아돌프 히틀러의 지도력으로 조약의 쇠사슬을 끊어내고 비상했습니다. 영국과 프랑스를 포함한 연합국의 계속 되는 실패로, 독일은 유럽에서의 완전한 승리를 달성했습니다. 파괴적인 전쟁 기술을 통해 대서양의 영국을 분쇄하고, 저항하는 크렘린에는 원자력의 폭풍을 선사해 천년제국의 운명을 달성했습니다. 고고히 빛나는 세계수도 게르마니아를 중심으로 유럽에는 신질서가 도래했습니다. 파리, 런던, 빈, 바르샤바, 암스테르담, 밀라노, 그리고 모스크바까지. 한때 위대했던 유럽의 도시들은 이제 라이히의 지배 하에 있습니다. 비록 과거의 적이었던 미합중국이 원자력을 이용해 라이히와 다시 경쟁하려 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국가들이 라이히의 패권에 경외심을 품고 있습니다.
악화되는 총통의 건강과 바닥을 드러내기 시작하는 경제 능력이 라이히의 발목을 잡고 있긴 하지만, 그저 라이히는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 비상할 뿐 입니다.

미합중국
중화민국
대독일국
미합중국
3대 열강 국가
타임라인
희생
민권
고국
서고
중화민국의 정치 상황

중화민국 입법원

중화민국은 중국국민당의 일당 체제이다. 다만 국민당 내부에서는 우익 계열인 민권(民權)계, 좌익 계열의 민생(民生)계 2개 파벌로 입법원에서의 대립이 일어난다. 현재 민권계를 이끌고 있는 지도자는 후스, 민생계를 이끌고 있는 지도자는 저우언라이이다.

중화민국의 경제 상황
중화민국의 경제는 급격히 성장했다. 장강의 기적이라고 불리우는 경제 개발을 통해 항일전쟁의 상처를 겸허히 씻어내고 비상하였으며, 현재는 미국, 독일과 경쟁하는 경제 강국이다. 내수 경제 뿐 아니라 중화민국 본토와 한국, 베트남, 시암, 인도네시아를 아우르는 경제권을 이끄는 국가이기도 하다.
등장 팩션
티저 · 크레딧 · 편집지침서 · 가이드

5.16 군사정변 이전
5.16 군사정변 이후
대한민국 유신정부
 
국가 정보
정치
경제
군사
대한민국 大韓民國

수도 · 서울시   지도자 · 홍명희   이념 · 사회민주주의  

 
국가 정보
정치
경제
군사
정치 大韓民國
내각 內閣 이름 정당
총리 홍명희 사회민주당
부총리 조봉암 사회민주당
내무부장관 장면 사회민주당
외무부장관 허정 무소속
산업부장관 정희섭 대한국민당
국토부장관 정헌주 사회민주당
재무부장관 김영선 사회민주당
법무부장관 권승렬 사회민주당
농림부장관 박제환 대한국민당
국방부장관 권중돈 대한국민당
대한민국 국회 國會
 
국가 정보
정치
경제
군사
경제 경제

GDP · 8B   경제권 · 중국 경제권   통화 · 대한민국 환  

 
국가 정보
정치
경제
군사
군사 대한민국 국군
국군총참모부 國軍總參謀部
  • 서울
    • 조선 왕조부터 수도로 삼은, 한때 한양 내지 한성이라 불리운 ㅡ잠시 경성이라고 불리던ㅡ 이 도시는 대한민국의 심장입니다. 광화문 거리에 서 있는 구 조선총독부 건물, 현 중앙청 건물을 중심으로 서울은 서울만의 음악을 연주합니다. 유흥가 사람들의 웃음 소리, 정치인들의 머리 굴리는 소리, 기업가들의 주판알 소리, 그리고 바삐 돌아가는 도시 외곽의 공장의 소리와 학생들의 시위 소리는 서울만이 가진 음악입니다. 각 계층의 마에스트로들이 연주하는 불협화음으로...
  • 인천
    • 인천항으로 많은 배들이 들어옵니다. 미국인 투자자들, 독일인 기술자들, 일본인 사업가들과 중국인 폭력조직들, 그리고 화교들까지. 다양한 국적과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인천항을 통해 한국이란 나라에 발을 딛습니다. 당연하게도, 이곳은 온갖 정보가 오가는 곳입니다. 각 나라의 정보원들이 이곳에서 상대의 은밀한 정보를 캐내기 위해 분투하고 있습니다. 사업가들에겐 기회의 도시이지만 그 속은 권모술수로 가득합니다. 폭력조직들은 자신들이 나름대로 행하는 '사업'에서 유리한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분투합니다. 물론 대한민국 경찰들이 이를 지켜만 보지는 않습니다만.. 이따금씩 들려오는 총성소리에도 인천의 주민들은 서해의 바닷바람을 쐬며 아침을 맞이합니다.
  • 부산
    • 대한민국의 주요 산업도시인 부산은 왜정 당시 시행되었던 근대화의 성과입니다. 바삐 돌아가는 공장과 조선소는 쇠를 부딪치며 돌아가고 대한민국의 산업을 지탱합니다. 새로운 기회와 성장을 제공하는 도시, 부산입니다.
  • 평양
    • 한반도 북부의 중심 도시인 평양은 지난 내전으로 황폐화 된 도시였습니다. 지주-우익 세력과 공산주의자-좌익 세력이 치열하게 전투를 벌이며 도시를 초토화 시켰습니다. 그러나 이런 상처는 한반도 최초의 근대적 계획도시로 성장하는 데 발판이 되었습니다. 황폐화 된 도시를 재건하기 위해 정부는 평양을 계획도시화 하였습니다. 주거지, 공공시설, 산업시설 등이 체계적으로 배치되었으며 이러한 도시 계획은 대한민국 정부의 대형 프로젝트 중 하나였습니다. 현재까지도 평양은 재건의 상징으로써 한국 사람들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과 가능성을 보여주는 도시로 남아있습니다.
  • 대구
  • 함흥
  • 광주
  • 강릉
5.16 군사정변 이전
5.16 군사정변 이후
대한민국 유신정부


() () () () () () () ()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 () 서울은 () () () ()하고 있습니다.※
"친애하는 애국 동포 여러분. 은인자중하던 군부는 드디어 오늘 아침 미명을 기해서 일제히 행동을 개시해, 국가의 행정·입법·사법 삼권을 완전히 장악하고, 이어 군사 혁명 위원회를 조직했습니다."
"군부가 궐기한 것은 부패하고 무능한 현 정권과, 기성 정치인들에게 이 이상 더, 국가와 민족의 운명을 맡겨둘 수 없다고 단정하고, 백척간두에서 방황하는 조국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것입니다."
혁명공약
一. 반공(反共)을 국시의 제일의(第一義)로 삼고 기성정권의 공산주의적 태세를 타파한다.
二. 헌법을 준수하고 국제협력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며, 대한 중심의 자주독립적인 외교를 충실히 이행한다.
三. 이 나라 사회의 모든 부패와 구악을 일소하고 퇴폐한 국민도의와 민족정기를 다시 바로 잡기 위하여 청신한 기풍을 진작시킨다.
四. 절망과 기아선상에서 허덕이는 민생고를 시급히 해결하고 국가 자주경제재건에 총력을 경주한다.
五. 민족의 숙원인 공산주의로부터의 완전해방을 위해 국내외의 공산주의와 대결할 수 있는 실력배양에 전력을 집중한다.
六. 이와 같은 우리의 과업이 성취되면 참신하고도 양심적인 정치인들에게 언제든지 정권을 이양하고 우리들은 본연의 임무에 복귀할 준비를 갖춘다.

() () () () () () () ()
金鍾泌 (중 령) 朴鐘圭 (소 령) 李洛善 (소 령) 車智澈 (대 위) 全斗煥 (대 위)

대한민국의 국민들은 더 이상 불협화음을 용납하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국가의 위난을 극복할 대책을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박정희와 군대는 이를 좌시할 수 없었습니다. 봄비가 내리는 새벽, 그들은 서울을 향해 진군했고, 정권을 장악했습니다. 그들은 말합니다. 자신들은 국가의 정상화를 위해 혁명을 감행하였노라고. 사회주의로 더럽혀진 조국을 씻어내기 위해 서울에 왔노라고.

5.16 군사정변 이전
5.16 군사정변 이후
대한민국 유신정부

제53조 ①대통령은 천재ㆍ지변 또는 중대한 재정ㆍ경제상의 위기에 처하거나, 국가의 안전보장 또는 공공의 안녕질서가 중대한 위협을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어, 신속한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때에는 내정ㆍ외교ㆍ국방ㆍ경제ㆍ재정ㆍ사법 등 국정전반에 걸쳐 필요한 긴급조치를 할 수 있다.


"만일 국민 여러분이 헌법 개정안에 찬성치 않는다면 나는 이것을 국가 재건과 완전무결한 국가의 독립 외교 주권 확보를 원치 않는다는 국민의 의사 표시로 받아들이고 조국 재건과 독립 주권 확보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할 것임을 아울러 밝혀 두는 바입니다."
-1972년 10월 17일 대통령 특별선언 中


대한민국 제3공화국, 또는 대한민국 유신정부는 1972년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무소불위의 권력을 부여한 유신헌법을 기틀로 성립된 정부이다. 긴급조치의 시대라고도 불렸다. 정치적으로는 대통령이 제왕적 권한을 휘둘렀고, 외교적으로는 기존 중국과 미국 영향 하에 있던 외교 기조가 친독-친미-친일 기조로 다각화 되었다. 특히 비슷한 시기 권위주의 정권이 출범한 일본의 영향을 받아 외교적으로 일본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되었다. 특히 일본과의 공동 핵개발을 이루어내며 미국의 동아시아 영향력에 큰 타격을 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의 무역 규제로 인해 초고속으로 성장하던 경제 성장이 악화되는 결과를 낳기도 했으나, 동아시아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하던 미국이 핵을 자위용으로만 사용한다는 조건으로 경제 규제가 완화되었다. 하지만 대통령의 장기집권으로 민주주의를 갈망하던 국민들의 감정이 격화되어 전국적으로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
"미국이 우리의 경제에 간섭하고, 중국이 우리의 외교에 간섭하고 있습니다. 유신 체제는 이러한 간섭들로부터 조국의 주권를 확고히 하고자 한다면 큰 자유를 지킬 수 있습니다. 큰 자유를 지키기 위해서는 적은 자유는 일시적으로 이를 희생할 줄도 알고, 또는 절제할 줄도 아는 슬기를 가져야만 우리는 보다 큰 자유를 빼앗기지 않을 것입니다. "
-1974년 10월 1일 대통령 국군의 날 연설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