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가 정보
정치
경제
군사
![]() 대독일국 Großdeutsches Reich
수도 · 게르마니아
지도자 · 아돌프 히틀러
이념 · 국가사회주의
|
국가 정보
정치
경제
군사
![]() 정치 Großdeutsches Reich
| |||||||||
내각 Kabinett | 이름 | 정당 | |||||||
총통(Führer) | 아돌프 히틀러 Adolf Hitler |
NSDAP-중앙파 | ![]() | ||||||
라이히스탁 의장(Reichstagspräsident) | 헤르만 괴링 Hermann Wilhelm Göring |
NSDAP-개혁파 | ![]() | ||||||
NSDAP 국가지휘자(Reichsleiter) | 루돌프 헤스 Rudolf Heß |
NSDAP-중앙파 | ![]() | ||||||
외무장관(Reichsaußenminister) | 발터 헤벨 Walter Hewel |
NSDAP-개혁파 | ![]() | ||||||
경제장관(Reichswirtschaftsminister) | 오스발트 폴 Oswald Ludwig Pohl |
NSDAP-SS | ![]() | ||||||
내무장관(Reichsinnenminister) | 하인리히 힘러 Heinrich Luitpold Himmler |
NSDAP-SS | ![]() | ||||||
대중계선전국가장관 (Reichsminister für Volksaufklärung und Propaganda) | 파울 요제프 괴벨스 Paul Joseph Goebbels |
NSDAP-좌파 | ![]() | ||||||
산업생산장관(Reichsministerium für produktion) | 알베르트 슈페어 Berthold Konrad Hermann Albert Speer |
NSDAP-중앙파 | ![]() | ||||||
법무장관(Reichsjustizminister) | 헤르베르트 클렘 Herbert Klemm |
NSDAP-중앙파 | ![]() | ||||||
농무장관(Reichsernährungsminister) | 헤르베르트 바케 Herbert Friedrich Wilhelm Backe |
NSDAP-SS | ![]() | ||||||
국방장관(Reichskriegsminister) | 헤닝 폰 트레슈코프 Hermann Henning Karl Robert von Tresckow |
NSDAP-개혁파 | ![]() | ||||||
라이히스탁 Reichstag | |||||||||
|
라이히스탁
|
||||||||
|
NSDAP-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자당
|
국가 정보
정치
경제
군사
Volksempfänger
|
![]() |
1. 개요 |
2. 역사 |
![]() |
![]() |
1939년 9월 1일, 독일에 대한 전쟁의 위협을 느낀 폴란드가 독일에 선전포고하며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였다. 이어 영국과 프랑스가 독일의 위협을 느껴 독일에 선전포고하며 전쟁의 불길을 유럽 전역으로 점점 퍼져나갔다. 소련과 맺은 조약으로 폴란드를 협공하여 빠르게 점령한 독일은 덴마크와 노르웨이에 이어 1940년 베네룩스 3국을 침공, 아르덴 숲을 우회하여 프랑스를 침공하였다. 에리히 폰 만슈타인 장군이 제시한 낫질 작전은 프랑스에게 치명타를 가했고, 침공 6주만에 프랑스는 항복한다. 이어 프랑스를 지원하기 위해 온 영국군 30만을 섬멸하여 영국에게도 큰 타격을 입혔고, 북아일랜드의 IRA와 협업과 루프트바페의 활약으로 브리튼 제도로 상륙에 성공한다. 항공 전력을 앞세운 독일은 세계 최강이라고 평가 받던 영국 해군을 무력화 시켰고, 끝끝내 런던을 함락 시켰다. 영국 왕실과 내각은 항복을 거부하고 캐나다로 망명하였으나 핼리팩스 경을 필두로 한 비상내각이 독일에 항복하며 서부 전선을 종결시켰다. 독일은 동부로 시선을 돌렸다. 그들의 생활권 확보와 유럽 공산주의의 일소를 위해서는 소련을 격파해야만 했다. 1941년 6월, 독일은 독소불가침조약을 파기하고 소련을 침공한다. 개전 2개월만에 스몰렌스크를 함락시킨 독일군은 소련을 빠르게 제압하고자 하였다. 소련은 스탈린의 대숙청이 진행중이던 상태에서 전쟁을 예상치 못하였고, 급하게 전열을 가다듬느라 독일군에게 밀릴 수 밖에 없었다. 진격을 계속한 독일군은 이듬해 1월 모스크바를 점령하였다. 소련은 계속하여 저항하였으나 1943년에는 스탈린그라드를 내주게 되었다. 그러나 독일의 상황 역시 여의치 못하였다. 북아프리카의 이탈리아군은 연합군에게 계속하여 패퇴하여 철수해 지중해 패권의 위협을 겪고 있었다. 연합군은 이탈리아 반도에 상륙하는데 성공하여 독일은 연합군을 상대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이탈리아 전선에 병력을 보낼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동부전선의 공세는 일시적으로 소강되어 소련에게 재정비의 기회를 제공해야만 했다. |
재정비를 어느 정도 마친 소련은 9월 대규모 공세를 감행하였다. 소련 극동군의 병력까지 동원하여 감행한 이 공세는 10월 소련이 모스크바를 재탈환하는 데 성공하였다. 독일은 일시적으로 모스크바 일대에서 후퇴해야만 했다. 상황이 불리하게 돌아가자 독일은 신무기의 개발을 서둘렀다. "우란프로옉트", 즉 핵무기의 실전 사용을 최대한 빠르게 이루고자 했다.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주도로 11월에 1,2차 실험을 끝마쳤다. 1944년 12월 1일, 독일 공군의 전략폭격기가 소련의 우파 상공에 떠올랐다. 이어 하나의 폭탄이 우파에 투하되었고, 거대한 버섯구름이 형성되었다. 세계 최초로 핵을 실전 사용한 것이다. 12월 6일에는 카잔에 핵이 투하되었다. 핵을 사용했음에도 소련은 항전을 계속했다. 1945년 8월 독일군은 모스크바를 다시 공격한다. 신무기들로 무장한 정예군들이 모스크바를 향해 불길을 퍼부었고, 8월 15일 독일군은 다시 모스크바를 밟게 된다. 이 과정에서 소련의 스탈린이 사망했으며 소련은 전시내각체제로 전환하였다. 공교롭게도 같은 날 일본은 미국에 항복하였다. 1946년 2월 10일, 전쟁을 계속할 수 없다 느낀 소련 수뇌부 내 협상파는 반대파를 억누르고 항복한다. 이반 코네프 원수가 독일의 만슈타인 원수에게 공식적인 항복 문서를 전달했다. 2월 12일에는 이탈리아가 전쟁에서 이탈하고 연합국 편으로 참전하여 독일에 선전포고하였으나,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은 이탈리아 사회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독일에 계속하여 가담했다. 이 시기 독일은 이탈리아로부터 쥐트티롤을 강탈했다. 5월 20일, 구대륙에서의 전쟁이 사실상 종결되었다고 판단한 독일과 미국은 런던에서 종전을 결정했다. 동시에 이탈리아 사회공화국과 이탈리아 왕국간의 전쟁도 종식되었다. | ![]() |
![]() |
3. 정치 |
4. 외교 |
빈 협정 (WIenpakt)의 맹주로 유럽 대다수의 국가를 이끌고 있다. 외교상으로 가장 큰 대립 관계는 미국이며, 사실상 동아시아를 제외한 세계를 양분하고 있다. 미국은 자유진영을 이끌고, 독일은 파시스트 진영을 이끌며 경쟁하고 있고 정치적인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7개의 문민통치기관인 국가판무관부를 거느리고 있다. 국가판무관부는 대개 일종의 식민지 개념으로 "게르만화"를 위해 이주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통치 기구와 그 지역을 통칭한다. 독일 외무부는 전쟁 이전에는 크게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기관이었다. 그러나 전쟁 이후 총성 없는 전쟁, 즉 냉전이 전개되며 국가 간의 외교가 중요해지자 외무부는 독일 정부 부서들 중에서도 최중요 부서로 자리매김 하였다. |
6. 군사 |
독일 국방군이 정규군으로 존재하며, 친위대가 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자당의 당군으로 존재한다. 국방군의 경우에는 국방군최고사령부가 최고기관으로 기능하며, 그 아래로 육군총사령부, 해군총사령부, 공군총사령부가 존재한다. 독일 국방군은 나폴레옹 이후 유럽 최강의 군대로 평가 받고 있으며 이베리아 반도에서 러시아, 그리고 잉글랜드에까지 주둔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핵무기를 개발하고 사용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친위대는 슈츠슈타펠 또는 약칭인 SS로 불린다. 정규군이 아닌 당군으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독일의 인종계획에도 상당수 관여한 바가 있다. 역시 독일의 영향권에 있는 모든 지역에 주둔하고 있다. 그러나 잉글랜드 같은 보호국, 즉 명목상의 독립국가에는 주둔하고 있지 않는 점이 국방군과의 차이 중 하나이다. 1946년까지는 친위대의 영향력이 상당했으나 전쟁 이후 친위대가 일으키는 문제들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히틀러는 이를 심각하게 여겨 친위대 인사들을 대거 숙청하였고, 힘러나 하이드리히 같은 최측근을 제외하면 상당수의 인사들이 좌천 또는 불명예전역을 당했다. 이 때문에 친위대는 국가판무관부 운영 업무 또는 치안 유지와 같은 일을 하는 수준의 조직이 되었다. 국방군에 대해 종속적인 관계는 아니지만 친위대의 권한 역시 여러 방면에서 국방군보다 좁다. |
5. 경제 |
유럽 대부분의 지역과 중동, 남미 등을 아우르는 경제권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 다음의 경제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으며, 전쟁 이후 재개된 베를린 증권거래소는 뉴욕증권거래소 다음의 시가총액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국가 주도의 경제 개발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계점과 과도한 재벌의 정경유착으로 인해 경제적 민주화와는 거리가 멀다. 라이히스방크에서 발행하는 라이히스마르크는 달러와 함께 기축통화의 자리를 양분하고 있다. 유럽 내 파운드화와 프랑의 자리를 완전히 대체하였으며, 해외 거래 역시 라이히스마르크로 이루어지고 있다. |
주요 도시 |
- 베를린
독일의 승전함에 따라 건축가 알베르트 슈페어가 설계한 "세계수도 게르마니아" 계획이 완성되어 웅장한 규모를 자랑하는 도시이다. 유럽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살고 있는 도시로 브루탈리즘적 건축물들이 빼곡히 들어섰다. 거대한 돔 형태의 건축물인 국민대회당은 베를린의 가장 상징적인 건물이다. 독일 내에서는 선전의 목적으로 게르마니아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 함부르크
독일 최대의 항구인 함부르크는 유럽과 세계를 연결하는 주요 관문이다. 독일의 무역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유럽에서 가장 많은 배들이 오가는 항구이다. 뿐만 아니라 조선업 역시 발달하였고, 독일 해군 기지도 주둔하여 있다. - 뮌헨
당의 발상지인 뮌헨은 남부 독일의 중심지이다. 당이 출발한 곳과 혁명의 도화선이 불 붙여진 곳이라는 타이틀이 있는 상징적인 도시이다. 한때 바이에른 왕국의 수도였던 뮌헨은 이제 파시스트들의 성지가 되었다. - 빈
1938년 독일과 오스트리아가 합병함에 따라 독일 영토가 된 빈은 여전히 영향력 있는 도시이다. 중부 유럽과 동유럽을 잇는 교통 허브가 위치해 있고, 수많은 고전주의 건축물과 오페라 극장들이 들어서 있다.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한때 공산주의자들과 자유주의자들의 도시이던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은 독일 경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라인란트 공업 지대와 독일을 연결하는 철도 허브가 존재하며 많은 기술자들도 이곳으로 모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