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위기

대한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 펼치기 · 접기 ]
전쟁·분쟁 교전국
경흥 사건
1865
러시아 제국
압록강 전투
1867
청나라
제주 사건
1874
러시아 제국
한-청 국경분쟁
1872 ~ 1880
청나라
한노전쟁
1894 ~ 1895
러시아 제국
의화단의 난
1899 ~ 1900
의화단
외몽골 정벌
1904
외몽골 독립파
하북 평정
1907 ~ 1908
구국군
교주만 점령전
1914
독일 제국
1차 시베리아 출병
1918
x25px 소비에트 러시아
백군 잔당 토벌
1920
러시아 백군
2차 시베리아 출병
1921
x25px 소비에트 러시아
1차 중국 내전
1927 ~ 1935
중국 군벌
기륭 사건
1933
일본 제국
울릉도 포격 사건
1934
일본 제국
오호츠크 해전
1937
일본 제국
제2차 세계 대전
1938 ~ 1945
아태전쟁
1938 ~ 1945
일본 제국 중화민국 남경정부 필리핀 제2공화국
사군의 난
1947 ~ 1948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1949
네덜란드 영국
월남 토벌
1949
월남 친불 군벌
이란 위기
1953
영국
2차 중국 내전
1954 ~ 1960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중화민국 남경정부
인도네시아 전쟁
1961 ~ 1962
인도네시아
몽골 위기
1967
몽골인민해방전선 소련
한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972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소련
믈라카 해협 위기
1975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독립 전쟁
1976 ~ 1981
인도네시아
몽골 위기
1967 Mongol Crisis
기간
1967년 1월 20일 ~ 1967년 10월 5일
장소
몽골성투바성 전역, 흥안성 소련 국경지대
원인
몽골인민해방전선의 몽골 독립 선언 및 무장투쟁 개시
대립 세력
대한국 정부
동투르키스탄
몽골인민해방전선
소련
지휘관
조봉암
송민구[1]
나성재[2]
양근호[3]
울란초노
지브르지드그숨
첸도르지
안규상
병력
대한국 육군
1만 2500명
몽골인민해방전선
약 5백~1천명 추산
피해 규모
대한국
전사 1명
부상 32명
사망자 13명
결과
한국 정부군의 승리
영향
한소관계 악화
소수민족 자치권 확대 및 지방자치제도 실시

개요

배경

전개

절정: 몽골 총독부 직원 납치

결말: 알탄불락 소탕 작전

이후

  1. 몽골총독
  2. 특별진압대장
  3. 육군 제12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