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철

신뢰로써 나아간다
노르웨이 왕국
[ 주요 문서 ]
[ 국가 소개 ]
당신의 달 같은 국가, 노르웨이
밴드 가상국가 지성의 총집인 노르웨이, 그 중심엔 국민이, 여러분이 -
모든면에서 다른 국가를 압도하는 파워가 다릅니다.
Since. 2020
이 문서는 가상국가 노르웨이 왕국의 공식문서입니다.
관계자 외의 사용자께서는 수정 자제 부탁드립니다.
 노르웨이 왕국의 13대 국왕에 대한 내용은 테오필리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왕립 트리니티 대학교
역대 부총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안드네스 브뢰거
Andenæs Brøgger
안셀름 에센베르크
Anselm Essenberg
이희철
Theophilis J. von Oldenburg-Mountrigion
왕립학교법인 트리니티 대학교 초대 이사장
왕립 트리니티 대학교 제3대 부총장
이희철
李熙喆 | Lee Hui-Cheol, Theophilis
본명 테오필리스 요하네스 폰 울덴부르크-마운트리기온
(Theophilis Johannes von Oldenburg-Mountrigion)
한문명/활동명 이희철 (李熙喆)
출생 1964년 5월 10일
스위스 바젤
재임기간 왕립학교법인 트리니티 대학교 이사장
2024년 2월 17일 ~ 현재
왕립 트리니티 대학교 제3대 부총장
2025년 4월 7일 ~ 현재
서명
[ 펼치기 · 접기 ]
부모 부친 세르오지오 그레고리오 올덴부르크-몬테리조니
모친 아타나시아 마리아 올덴부르크-몬테리조니
학력 바젤 블레시 초등학교 (졸업)
바젤 크레쉬가튼 중학교 (졸업)
바젤 크레쉬가튼 김나지움 (졸업)
튀빙겐 대학교 (학사/B.Th.)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석사/Ph.M.)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석사/Th.M.)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박사/Th.D.)
종교 개혁교회[1]노르웨이 교회 (세례명:요한 금구)
신체 171cm, O형
수훈
개인문장[2]
실제 개인 문장[3]

개요

이희철(영어:Lee Hui-Cheol, 노르웨이어:Theophilis[4], 한자:李熙喆)은 노르웨이 왕국의 前국가원수·교육자·종교인·기업가[5]·설정작가[6]이다.

2024년 1월 17일노르웨이 왕국 국왕으로 즉위하였으며, 2025년 3월 20일 퇴위하였다. 이후 스스로 설립하였던 왕립 트리니티 대학교의 이사장직을 유지하고 있으며, 부총장으로 취임하며 교육자로 활동중에 있다.


테오필리스 관련 틀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연합왕국 군주
[ 펼치기 · 접기 ]

하랄대훈장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왕립 트리니티 대학교
역대 총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테오필리스 메르켈

각주

  1. 스위스 개신교회
  2. 문장은 3분할 되어있으며, 왼쪽엔 삼위일체 십자가를 무늬로 한 어민(Ermine) 무늬 배경과, 그 위에 십자가와 크리스토그램이 그려진 성경, 가운데엔 익투스에 십자가가 더해진 문양, 오른쪽엔 출생지이자 고향인 바젤의 문양이 그려져있다.
  3. 실제 유저는 바젤 출신이 아닌 관계로, 그 자리에 대신 이신칭의(以信稱義) 교리를 의미하는 그리스도의 피와 부활을 상징하는 십자가, 그것을 잡은 손으로, 손은 신앙행위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믿음을 의미하였고, 흰색 바탕과 손의 흰색 옷은 의인과 죄사함을 의미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하는 IHΣ가 적힌 태양에서 빛을 조명함으로 하나님의 은혜, 인도하심, 선언을 의미하여 "하나님의 의가 신자에게 선언되는 '법정적 칭의'" 를 상징하였다. 이를 통해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인임을 선언받는 이신칭의 교리를 형상화 했으며, 옆에 적인 라틴어로 "Fide iustificatus est",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얻었다란 구절인 로마서 5장 1절을 의미하여 개신교신학의 핵심을 나타내었다.
  4. 공식적인 노르웨이어 명칭은 왕호인 "테오필리스"이다. 활동명과 왕호가 다른 경우가 많다.
  5. 출판사
  6. 제이위키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