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연방 대통령


지구연방
이 문서는 공식 설정이므로 무단 수정은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단,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은 반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 정치 ] 
 [ 소개 ] 
총선 내각
4271년 (62대) 리즈 하프너 내각
자유당
4266년 (61대)
4261년 (60대) 제임스 코르바니 내각
민주당
4256년 (59대)
4251년 (58대) 알론 정 내각
민주당
4246년 (57대)
4241년 (56대)
4236년 (55대)
4231년 (54대)
4226년 (53대)
지구연방 세계관국제(C'estfinale)가 연재하는 은하 배경 정치 중점 가상역사 세계관이다.
초광속 항행 기술이 상용화된 후 은하 곳곳으로 진출한 인류가 맞이하게 될 먼 미래를 배경으로,
그 중에서 최강국인 지구연방의 정치 상황을 구현하고 국가 체계와 정치 제도를 설명하는 것을 중점으로 두나,
그 외의 여러 국가간의 외교 관계와 미래 과학 기술,
미래 사회의 운송 수단 및 도로와 같은 교통과 관련된 부분들도 부차적으로 다룬다.
지구연방 세계관의 기준 시점은 4271년 1월 31일이다.

지구 및 동은하 행성계 연방 대통령
The President of The Union of Earth and the Planetary Systems of the Eastern Milky Way
현직 올렌 개츠비 / 제614대
취임일 4244년 8월 1일
정당 시민당
관저 지구 잉글랜드 런던시
클리블랜드 가 16번지

개요

지구연방 대통령은 지구연방의 국가원수의 역할을 하며, 초기 역사에서는 이원집정부제의 정부 형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정부수반의 역할까지 일부 담당하기도 했었다. 이런 이원집정부제적 전통의 일환으로 지구연방의 재무장관(Chancellor of the Exchequer)은 총리 대신 대통령이 임명하며, 대통령 비상대권 등 여러 대권을 대통령이 행사할 수 있다. 또한 의회해산권과 군 통수권, 법률안과 예산안 등 주요 의회 표결에 대한 거부권[1]을 보유하고 있다.

실권

초반의 이원집정부제 시기에도 지구 내부의 여러 국가들의 알력이 심했던 현실상 의회와 의회에서 선출한 총리의 힘이 더 강하였고, 11세기~13세기 경 대통령의 실권이 가장 강하였던 시기에도 여전히 의회와 많은 충돌을 빚었다. 결국 마지막 실권 대통령으로 불리는 카테치노 메테오의 임기가 끝나자 국가는 본격적으로 의원내각제의 형태로 굴러가기 시작한다. 그래도 지구연방의 인류의 발상지라는 수도의 위치[2]에 따르는 명성과 영향력은 어마어마했기에 국가원수로서 정부수반으로서의 정치적 영향력은 거의 종말을 맞았음에도 엄청난 명예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제임스 체임벌린 총리의 개혁으로 공식적으로 국가의 체제가 의원내각제로 바뀐 뒤 현재까지도 지구연방 대통령의 위상은 높으며, 법 개정 이후로 임기 제한이 풀려 재임 시절 인기가 높으면 거의 종신에 가까운 임기를 누릴 수 있을 정도로 엄청난 명성을 누리게 되었다. 어떠한 사람이던 대통령 지위를 거치면 지구연방의 엘리트 코스를 통칭하는 명예로운 경력을 착실히 밟은 사람들보다도 확실히 커리어에서 우위를 점한다고 할 수 있으며, 대통령과 실제 정치의 연관성이 떨어져감에 따라 은퇴할 정치인 대신 유명인이 대통령 지위를 역임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여러 정치적인 평가를 받을 수 밖에 없는 총리보다도 확실히 평판에서 자유롭게 되면서, 대통령들의 평가도 올라가게 되었다.

역대 대통령 목록

틀:지구연방 대통령 목록

현재 대통령은 올렌 개츠비로, 4239년 7월 17일부터 현재까지 재임하고 있다.

  1. 이 거부권은 의회의 2/3 이상의 동의로만 무력화가 가능하다.
  2. 심지어 이때는 연방의 영토가 크지 않아 사실상 지구 주변이 영토의 전부였던 상태에서, 지구의 위상은 지금보다도 훨씬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