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역사)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namucat|테티스|테티스 정당}} | {{namucat|테티스|테티스 정당}} | ||
{{테티스 상원의회 원내 구성}} | |||
{{테티스 연방의회}} | {{테티스 연방의회}} | ||
8번째 줄: | 9번째 줄: | ||
| colspan="1" row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 | colspan="1" row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 ||
| colspan="1" rowspan="6" width="28%" style="background:#1dac42; color:#fff" |'''테티스 유신회''' | | colspan="1" rowspan="6" width="28%" style="background:#1dac42; color:#fff" |'''테티스 유신회''' | ||
|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 | ||
| colspan="1" rowspan=" | | colspan="1" width=28%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현재'' | ||
|- | |||
| rowspan="1" colspan="1" width=28%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자유민주당 (테티스)|자유민주당]] |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 | |||
| colspan="1" width=28%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개혁신당 (테티스)|개혁신당]] | |||
|- | |||
|} | |} | ||
25번째 줄: | 31번째 줄: | ||
|- | |- | ||
! style="color:#1dac42;" |총재 | ! style="color:#1dac42;" |총재 | ||
|[[ | |[[허경영 (테티스)|허경영]] | ||
|- | |||
! style="color:#1dac42;" |최고위원 | |||
|[[벨도비]] | |||
|- | |- | ||
! style="color:#1dac42;" | | ! style="color:#1dac42;" |총리 | ||
|[[ | |[[허경영 (테티스)|허경영]] | ||
|- | |- | ||
! style="color:#1dac42;" |이념 | ! style="color:#1dac42;" |이념 | ||
36번째 줄: | 45번째 줄: | ||
|중도 ~ 우파 | |중도 ~ 우파 | ||
|- | |- | ||
! style="color:#1dac42;" | | ! style="color:#1dac42;" |상원의회 의원 | ||
|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aaa;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ac42 | |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aaa;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ac42 25.0%, transparent 25.0%); color:#fff;" |'''1석 /4석 (25.0%)''' | ||
|- | |||
! style="color:#1dac42;" |하원의회 의원 | |||
|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aaa;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ac42 59.9%, transparent 59.9%); color:#fff;" |'''411석 / 686석 (59.9%)''' | |||
|- | |- | ||
! style="color:#1dac42;" |주지사 | ! style="color:#1dac42;" |주지사 | ||
|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aaa;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ac42 | |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aaa;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ac42 80%, transparent 80%); color:#fff;" |'''8석 / 10석 (80%)''' | ||
|- | |- | ||
! style="color:#1dac42;" |주의원 | ! style="color:#1dac42;" |주의원 | ||
|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aaa;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ac42 | |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aaa;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ac42 42.3%, transparent 42.3%); color:#fff;" |'''507석 / 1200석 (42.3%) | ||
|- | |- | ||
! style="color:#1dac42;" |당색 | ! style="color:#1dac42;" |당색 | ||
77번째 줄: | 89번째 줄: | ||
[[제13대 테티스 대통령 선거]] | [[제13대 테티스 대통령 선거]] | ||
([[스사1]] 출마, 48.7% 득표, 2위) | ([[스사1]] 출마, 48.7% 득표, 2위) | ||
[[제1회 테티스 제국 하원의회 선거]] | |||
(득표율: 59.9%/광역단체장 10석 중 8석, 연방의회의원 686명 중 411명) (원내 제 1당) | |||
==역사== | |||
{{본문|유신회/역사}} | |||
==역대 집행부== | ==역대 집행부== | ||
129번째 줄: | 147번째 줄: | ||
제4기 지도부 | 제4기 지도부 | ||
(2023.9.22~ | (2023.9.22~2023.11.22) | ||
대표최고위원:[[스사1]] | 대표최고위원:[[스사1]] | ||
137번째 줄: | 155번째 줄: | ||
최고위원(지명직): [[초수]] | 최고위원(지명직): [[초수]] | ||
간사장: | 간사장: [[벨도비]] | ||
국회대책위원장: | 국회대책위원장: [[벨도비]] | ||
정무조사회장: [[이냥]] | 정무조사회장: [[이냥]] | ||
최고 고문:저우언라이 | 최고 고문:[[저우언라이 (테티스)|저우언라이]], 야마토국 | ||
------------------------------------------ | |||
제5기 지도부 | |||
(2023.11.22~2024.1.27) | |||
대표최고위원: [[저우언라이 (테티스)|저우언라이]] | |||
최고위원(선출직): [[벨도비]] | |||
최고위원(지명직): [[이냥]] | |||
국회대책위원장(원내대표): [[초수]] | |||
정무조사회장(정책위의장): [[마쓰이 이치로]] | |||
운영자문위원회 위원장: [[스사1]] | |||
최고 고문: | |||
------------------------------------------ | |||
제6기 지도부 | |||
(2024.1.27~현재) | |||
대표최고위원:[[허경영 (테티스)|허경영]] | |||
최고위원(선출직): | |||
최고위원(지명직): | |||
국회대책위원장(원내대표): | |||
정무조사회장(정책위의장): [[마쓰이 이치로]] | |||
운영자문위원회 위원장: [[스사1]] | |||
최고 고문: | |||
== 계파 == | == 계파 == | ||
{{ | {{유신회의 계파 분류}} | ||
현재 유신회의 주류 세력은 제1,2대 총재 스사1을 중심으로 한 본류파 즉 강경파(우파)가 당권을 잡고 있는 상황이였지만 방류파인 마쓰이 이치로의 차기 총재 당선으로 본류,방류의 미묘한 관계가 형성되었지만 다시 전 총재 였던 스사1이 당권을 잡으면서 본류파가 주류 세력으로 다시 부활 했다. | |||
==당헌== | ==당헌== |
2024년 1월 29일 (월) 01:43 기준 최신판
| ||||||||||||||||||||||||||
[ 펼치기 · 접기 ]
|
| ||
[ 펼치기 · 접기 ] |
테티스의 제3지대•보수정당 | ||||
시대전환 | → | 테티스 유신회 | → | 현재 |
자유민주당 | → | 개혁신당 |
![]() | |
테티스 유신회 Tethys Innovation Party | |
---|---|
슬로건 | The choice for the Future 미래를 위한 선택 |
창당일 | 2023년 3월 15일 |
총재 | 허경영 |
최고위원 | 벨도비 |
총리 | 허경영 |
이념 | 테티스 민족주의 자유보수주의 동화적 다문화주의 |
스펙트럼 | 중도 ~ 우파 |
상원의회 의원 | 1석 /4석 (25.0%) |
하원의회 의원 | 411석 / 686석 (59.9%) |
주지사 | 8석 / 10석 (80%) |
주의원 | 507석 / 1200석 (42.3%) |
당색 | 초록색(#1dac42) |
국제조직 | |
당원수 | 14명 |
로고 | ![]() |
개요
스사1 당시 곤드와나 주지사가 야권 활성화를 위하여 여당이였던 보수당을 탈당하고 창당한 정당이다.
첫 시작은 주지사 1석으로 시작한 평범한 정당이었으나 제9회 테티스 지방선거에서 의석 점유율 28.86%를 기록하여 제1야당으로 부상하였고 제10회 테티스 지방선거에서 보수당과의 연립여당인 우파연대로 인해 광역단체장 2석 연방의회 의석 점유율 39.3%라는 테티스 역사상 최대 야당 의석을 차지하였고 테티스내의 대안정당이라는 포지션을 점차 확립하는 중이다. 더불어 제11회 테티스 지방선거에서는 주지사 5명을 당선시키며 여당 보수당보다 더 많은 주지사를 당선시키는 쾌거를 이루었다.
선거결과
제9회 테티스 지방선거 (전국 득표율 28.86%/광역단체장 10석 중 1석, 연방의회의원 686명 중 198명) (원내 제 2당)
제10회 테티스 지방선거 (전국 득표율 39.2%/광역단체장 10석 중 2석, 연방의회의원 686명 중 271석) (원내 제 2당)
제11회 테티스 지방선거 (득표율: 35.5%/광역단체장 10석 중 5석, 연방의회의원 686석 중 244석) (원내 제 2당)
제13대 테티스 대통령 선거 (스사1 출마, 48.7% 득표, 2위)
제1회 테티스 제국 하원의회 선거 (득표율: 59.9%/광역단체장 10석 중 8석, 연방의회의원 686명 중 411명) (원내 제 1당)
역사

역대 집행부
![]() | |
---|---|
[ 펼치기 · 접기 ] |
창당준비위원회 (2023.3.14)
위원장: 스사1
제1기 지도부 (2023.3.14~2023.6.14)
대표: 스사1
부대표(곤드와나 유신회 상임부대표 겸임):저우언라이
제2기 지도부 (2023.6.14~2023.7.21)
대표: 스사1
부대표:마쓰이 이치로
간사장:저우언라이
최고고문:
국회대책위원장:도비(7월13일 부터)
제3기 지도부 (2023.7.21~2023.9.22)
총재:마쓰이 이치로
부총재:스사1(8월31일 부터)
간사장:저우언라이
최고 고문:스사1
국회대책위원장:도비
운영자문위원회 위원장: 스사1
제4기 지도부 (2023.9.22~2023.11.22)
대표최고위원:스사1
최고위원(선출직): 마쓰이 이치로
최고위원(지명직): 초수
간사장: 벨도비
국회대책위원장: 벨도비
정무조사회장: 이냥
최고 고문:저우언라이, 야마토국
제5기 지도부 (2023.11.22~2024.1.27)
대표최고위원: 저우언라이
최고위원(선출직): 벨도비
최고위원(지명직): 이냥
국회대책위원장(원내대표): 초수
정무조사회장(정책위의장): 마쓰이 이치로
운영자문위원회 위원장: 스사1
최고 고문:
제6기 지도부 (2024.1.27~현재)
대표최고위원:허경영
최고위원(선출직):
최고위원(지명직):
국회대책위원장(원내대표):
정무조사회장(정책위의장): 마쓰이 이치로
운영자문위원회 위원장: 스사1
최고 고문:
계파
![]() | |
---|---|
[ 펼치기 · 접기 ] |
현재 유신회의 주류 세력은 제1,2대 총재 스사1을 중심으로 한 본류파 즉 강경파(우파)가 당권을 잡고 있는 상황이였지만 방류파인 마쓰이 이치로의 차기 총재 당선으로 본류,방류의 미묘한 관계가 형성되었지만 다시 전 총재 였던 스사1이 당권을 잡으면서 본류파가 주류 세력으로 다시 부활 했다.
당헌
당헌
당헌
[ 당헌 펼치기 · 접기 ]
|
정강
정강
[ 정강 펼치기 · 접기 ]
|
포스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