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부트 KBO/본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나만의 KBO리그]]{{주니 단편집/사이드바}}{{목차}}
{{namucat|DISPLAYTITLE=리부트 KBO {{fs|18|/ 본문}}|리부트 KBO}}
{{리부트 KBO}}
{|class="wikitable" style="width: 400px; float: right; border: 2px solid #022662;"
|-
! colspan="2" style="width:450px; color:#fff; background: #022662;" | {{large|리부트 KBO}}<br>Reboot KBO
|-
| colspan="2" | [[파일:리부트 KBO 로고.svg|400px|center|link=]]
|-
! style="width: 25%; background: #022662; color: #fff;" | 분류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틀:주니 제작 세계관|주니 세계관]]
|-
! style="width: 25%; background: #022662; color: #fff;" | 연재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2023년 10월 17일 ~ '''현재'''
|-
! style="width: 25%; background: #022662; color: #fff;" | 장르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스포츠(야구), 시뮬레이션
|-
! style="width: 25%; background: #022662; color: #fff;" | 제작자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주니 서명}}
|-
! style="width: 25%; background: #022662; color: #fff;" | 플랫폼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파일:제윜_로고2.svg|60px|link=제이위키]]
|-
! style="width: 25%; background: #022662; color: #fff;" | 상징색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둥근상자2|'''#022662'''|white|#022662|#022662|10}}
|-
! style="width: 25%; background: #022662; color: #fff;" | 링크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파일:제이위키 로고.png|20px|link=리부트 KBO]]
|-
|}
{{목차}}
==개요==
==개요==
'''나만의 KBO리그'''는 [[주니]]의 비공식 세계관으로, [[제이위키]]에서 스포츠로는 3번째, 야구로는 2번째다.
'''리부트 KBO'''(Reboot KBO)2023년 10월 17일부터 연재되고 있는 [[주니]]의 4번째 정식 세계관이다.
==상세==
[[즈바이란트]], [[주니 단편집]], [[헤르메스]]에 이은 [[주니]]의 4번째 정식 세계관이다. 정식 세계관으로서의 연재는 2023년 10월 17일부터이나 이미 그전부터 제이위키에서 [[주니 단편집]]을 통해 제작하고 있었으며 더 나아가 [[주니 고전]]의 일부로서 어릴 때 만든 설정들을 기반으로 제작했다. [[주니 고전]]->[[주니 단편집]]->정식 연재 순인 셈.


어릴 때 자신만의 선수, 구단, 리그를 만들어 노트에 적었던 것이 그 시초이며, 이를 제이위키에 세계관으로서 다시 연재하고 있다. 이때문에 사실상 '''주니의 최장수 세계관'''이라는 별칭이 있다.
제이위키 최초이자 유일한 야구 세계관으로, 주 배경인 2015년부터 2024년까지의 시즌을 가상으로 제작한다. 완전히 새로 제작하는 것은 아니고 실제 KBO 리그를 기반으로 하여 구단, 선수 등 일부 요소들이 가미되어 있다.
==바뀌는 점==
기본적으로 현실에 없는 많은 선수들이 추가된 2023년의 KBO 리그를 전제로 한다. 두산 베어스를 중심으로 하며 SSG 랜더스(SK 와이번스), 동부 치타즈, KIA 타이거즈, 코리아 인터셉터 등 일부 팀들은 조금씩 다룬다.
===두산 베어스===
두산은 세계관의 배경이 되는 2015~2023년까지 '''리그 최고의 구단'''으로 군림했다. 2015년 김태형 감독이 부임하며 3위에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시작으로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통합우승을 거두면서 '''한국시리즈 7연패''', '''6연속 통합우승'''이라는 대기록을 남겼다. ([[2015-2021 두산 베어스 왕조]])


두산이 이렇게 강팀이 될 수 있었던 건 크게 강한 외국인 투수의 영입과 영입한 신인들의 대성공 두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2024년 8월 대문 리메이크가 진행되었으며 기존에 대문으로 사용되었던 문서는 본문으로 이동되었다.
==[[리부트 KBO/변경점|실제와 다른 점]]==
{{상세 설명2|리부트 KBO/실제와 다른 점}}


두산은 2015-2017년에는 니퍼트와 카론, 2018-2020년까지는 에이죠스와 카론의 리그 최강의 원투펀치를 가지고 있었다. 비록 2021년에 들어 외국인 선수들이 거의 떠나면서 이런 장점은 거의 부각되지 않고 있는 추세지만, 그래도 2021년 에이죠스, 스파키, 파이어드래곤의 3명의 외국인 투수를 기용했다. 특히 두산의 외국인 투수 전략이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이유는 세계 최초로 '''용병 불펜'''을 기용했기 때문. 일시적으로 중요한 경기에서 불펜으로 기용하는 게 아니라 그냥 처음부터 끝까지 불펜으로 기용했다. 원래 선발 투수로 영입했던 [[일렉트로 스파키]][[파이어드래곤]]은 부진-재계약 이후 보직을 각각 불펜과 마무리로 교체하면서 말 그대로 '''날아올랐다.''' 스파키의 커리어하이는 '''11승 1패 34홀드 6세이브''', 파이어드래곤의 커리어하이는 '''11승 3패 7홀드 44세이브'''였다.
==[[리부트 KBO/설정|설정]]==
{{상세 설명2|리부트 KBO/설정}}
==[[리부트 KBO/선수 목록|선수 목록]]==
{{상세 설명2|리부트 KBO/선수 목록}}


연속적인 1위를 기록하면서 신인 드래프트 순위도 많이 밀렸지만, 그럼에도 데려온 신인들이 초대박을 터트리면서 운적인 면에서도 성공을 거두고 있다.
==관련 문서==
* 비록 하위 라운드는 아니었지만 2014년에 영입한 '''[[최충완]]'''은 2015년에 신인왕과 신인 우타 최다 홈런을 터트리더니 2016년에는 2년 연속 30홈런, 2017년에는 홈런왕(50홈런)+MVP+골든글러브를 달성하고, 2018년에는 2010 이대호 이후 최초로 '''타격 7관왕+MVP+골든글러브'''를 달성하고 단일 시즌 '''65홈런'''을 달성하면서 대기록들을 전부 싹쓸이하더니 2022년에는 메이저리그까지 진출했다.
* [[주니 고전]]
 
* [[:분류:리부트 KBO]]
* 2015년에 영입한 '''[[이민]]'''은 KT로 이적하기까지 3할 5푼대를 아우르는 높은 타율을 기록했고, 두산의 테이블 세터를 이끌었다.
==둘러보기 틀==
 
{{주니 제작 세계관}}
* 2016년에 영입한 '''[[박치혁]]'''은 초반에는 별 활약을 하지 못하다가 2018년부터 포텐을 터트리며 2019년 24홀드를 기록하면서 [[언더파워]]조로 두산의 불펜을 이끄는 투수가 되었다.
{{주니}}
 
{{주니 고전}}
* 2017년에 영입한 '''[[박치국]]'''은 역시나 초반에는 별 활약을 하지 못하다가 2018년부터 그야말로 날아오르며 다른 언더파워조들이 부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2021년까지 최고의 활약을 해주었다.
==각주==
 
* 2019년에 영입한 '''[[김훈]]'''은 데뷔와 동시에 주전 불펜으로 들어가면서 불펜-마무리를 병행하면서 언더파워조의 일원으로 2019년, 2020년, 2021년 승리에 기여하였다.
 
* 2020년에 영입한 '''[[강우성]]'''은 처음에는 독특한 타격폼으로 주목을 받았으나 2021년 후반기부터 그 기량을 폭발시키면서 리그 최고의 푸슁히팅 타자가 되었다.
 
* 2021년에 영입한 '''[[최정민]]'''은 2021 시즌 선발로 활약하면서 강력한 체인지업을 주무기로 사용하는 투수로 자리잡았고 강현수의 부진을 채워주면서 2021년의 우승에 기여했다.
 
보통 한국시리즈 연패를 달성한 팀은 상위 라운드를 지명하지 못해 세대교체가 제대로 되지 않아 급격하게 하위권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두산은 하위 라운드의 선수도 최고의 활약을 함과 동시에 베테랑들이 선수 생활 말기에 포텐을 터트리면서 이런 압도적인 군림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SK-SSG 랜더스===
===동부 치타즈===
==활동==
모든 문서들은 [[:분류:나만의 KBO리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원래 심심할 때마다 [[최충완]], [[파이어드래곤]], [[김충호]] 같은 문서들을 만들곤 했었다. 그리고 [[2021년 한국시리즈]]를 시작으로 정말 본격적으로 제작해보려고 한다.

2024년 8월 5일 (월) 03:05 기준 최신판

리부트 KBO
Reboot KBO
분류 주니 세계관
연재 2023년 10월 17일 ~ 현재
장르 스포츠(야구), 시뮬레이션
제작자 Junni
플랫폼
상징색 #022662
링크

개요

리부트 KBO(Reboot KBO)는 2023년 10월 17일부터 연재되고 있는 주니의 4번째 정식 세계관이다.

상세

즈바이란트, 주니 단편집, 헤르메스에 이은 주니의 4번째 정식 세계관이다. 정식 세계관으로서의 연재는 2023년 10월 17일부터이나 이미 그전부터 제이위키에서 주니 단편집을 통해 제작하고 있었으며 더 나아가 주니 고전의 일부로서 어릴 때 만든 설정들을 기반으로 제작했다. 주니 고전->주니 단편집->정식 연재 순인 셈.

제이위키 최초이자 유일한 야구 세계관으로, 주 배경인 2015년부터 2024년까지의 시즌을 가상으로 제작한다. 완전히 새로 제작하는 것은 아니고 실제 KBO 리그를 기반으로 하여 구단, 선수 등 일부 요소들이 가미되어 있다.

2024년 8월 대문 리메이크가 진행되었으며 기존에 대문으로 사용되었던 이 문서는 본문으로 이동되었다.

실제와 다른 점

 자세한 내용은 리부트 KBO/실제와 다른 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설정

 자세한 내용은 리부트 KBO/설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선수 목록

 자세한 내용은 리부트 KBO/선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관련 문서

둘러보기 틀


주니 제작 세계관
[ 펼치기 · 접기 ]
즈바이란트
(2021.12.3~2022.12.3)
주니 단편집
(2022.9.12~)
헤르메스
(2023.1.1~)
리부트 KBO
(2023.10.17~)
[ 기타 세계관 펼치기 · 접기 ]
연재 무기한 연기 세계관
아티피셜
(2022.7.28~2022.12.31)
디멘션
(2022.9.1~2022.12.31)
반도
(2023.2.10~2023.6.24)
주니 고전
L.P 프로젝트 리부트 KBO* 이세계
*: 현재는 정식 세계관으로 분리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기본 정보 활동 · 사상 및 견해 · 여담 · 게임
세계관 즈바이란트 · 주니 단편집 · 헤르메스 · 리부트 KBO · 무기한 연기 세계관(아티피셜 · 디멘션 · 반도) · 주니 고전
관련 문서 연습장(1 · 2 · 3 · 4 · 5 · 6 · 메모 · 낙서 · 공부) · 포인트 · 제작 틀 · 분류 · · 프로필
주니 고전
리부트 KBO L.P 프로젝트
(리인포스)
이세계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