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
(→상세)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최초의 아프리카 계열의 연방총장이자 최초의 흑인 연방총장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 상당히 비판을 많이 받는 인물이다. 정확히는 그나마 [[가일란트 코퍼레이션]]에 대한 제재 방안을 시도하거나 계획, 혹은 그들에게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전임 연방총장들과 달리 친가일란트 성향인 것은 아니지만 가일란트 코프에 대해 매우 순응적이고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이 큰 비판점인 인물이다.<ref>심지어 이때가 [[센트럼 해방 전쟁]]이 한창인 것을 생각하면 더욱 이 비판점이 심하게 작용한다.</ref> 하지만 그럼에도 레볼츠와가 센트럼 연방총장으로 당선된 이유는 바로 가일란트 코프의 영향이 매우 크게 작용했다. | 최초의 아프리카 계열의 연방총장이자 최초의 흑인 연방총장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 상당히 비판을 많이 받는 인물이다. 정확히는 그나마 [[가일란트 코퍼레이션]]에 대한 제재 방안을 시도하거나 계획, 혹은 그들에게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전임 연방총장들과 달리 친가일란트 성향인 것은 아니지만 가일란트 코프에 대해 매우 순응적이고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이 큰 비판점인 인물이다.<ref>심지어 이때가 [[센트럼 해방 전쟁]]이 한창인 것을 생각하면 더욱 이 비판점이 심하게 작용한다.</ref> 하지만 그럼에도 레볼츠와가 센트럼 연방총장으로 당선된 이유는 바로 가일란트 코프의 영향이 매우 크게 작용했다. | ||
여태 전임 연방총장들은 죄다 하나같이 가일란트 코프에 비협조적이거나 제재 방안을 통과시키려는 등, 가일란트의 앞길을 가로막으려고 시도했다. 비록 전임 연방총장들의 시도가 가일란트 코프에게 큰 영향을 주진 않았으나 이런 시도 자체가 가일란트에게는 매우 큰 걸림돌이었고 가일란트에게는 협조적이진 않아도 최소한 자신들에게 순응하고, 연방총장으로서 부적합한 무능한 인물을 앉히는 것이 매우 유리했다. | |||
===성격=== | ===성격=== |
2024년 6월 19일 (수) 03:14 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