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연방총회

현재 OEU의 별점은
5점 〕

-별점 주기-
현재 정비, 보강 혹은 추가 중인 내용입니다.
해당 문서, 혹은 문단은 설정 변경, 보강을 위한 정비 작업 중인 글입니다.
문서나 문단의 내용이 정확하지 않거나 중간에 공백, 혹은 어울리지 않는 내용이 담겨져 있을 수도 있는 점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모바일 기기의 열람을 감지했습니다.
OEU 문서는 PC에서의 열람을 권장합니다.

 센트럼 연방의 정부 구조 자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센트럼 연방정부 문서 참고.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호 · 세레니티
역사 역사 전반 · 태평양 대지진 · 루베르 레이지 화산 대폭발 · 제 3차세계대전 (뉴펜젠스 협정 · 엑소더스 작전) · 가일란트 연방 독재 집권기 · 센트럼 해방 전쟁 (1차 · 2차 · 앰배서더스 전쟁) · 선구자들 사태 · 심판의 날 전쟁
정치 센트럼 연방정부 · 테라티움 하우스 · 세계연방총회 (선구자들 · 원더랜드 계획) · 가일란트 위원회 (연방재건최고의회) · 연방 의회 (상원 · 하원) · 연방 행정각부 · 주 정부 · 행정구역 ( · 지역 목록 · 센티앤달리 · 주요 도시 · 군소제도 · 기타 지역) · 연방총장 · 연방부총장 · 연방 총리 · 연방 하원의장 · 연방대법원장 · 주지사
경제 이스카야 연합
치안과 사법 치안 전반 · 치안 경보 (출입 통제 구역) · 연방대법원 · 센트럼 경찰국 · ZEAL · 크리티컬 트루퍼 · 연방수사국 · 중앙정보수사국 · 오라클 시스템 · 범죄 조직 · 벤트렉스 수용구
국방 센트럼 연방 국방부 (헥사곤 · 편제) · 센트럼 연방군 · 육군부 · 공군부 · 해군부 · 계급 · 역사 · 훈장
가일란트 연방보안군(편제) · 연방통제사령부 · 임페라토르 근위군단 · 켄투리오 특전단 · 예거스 고등보위헌병단 · 가일란트 보안수사국 · 통합안보작전집단군 · 계급
육군 · 공군 · 해군 · 해병대 · 합동참모본부 · 해안경비대 · 주방위군 · 통합전투사령부 · 국토전략안보국 (섹션 8 · 크라이시스) · 센트럼 해방 전선 (센트럼 해방 합종군) · 블랙 센티넬
문화 문화 전반 · 하이퍼폴리스 (센트럼 5대 도시) · 기업
지리 디베다 코스타 산
기타 오펜시브 확장 유니버스 (세계관 문서 목록) · 국적 계열 · 치안 유지 사업 · 보이드러너 · 해결사
세계연방총회
General Assembly
심볼 및 로고
이명 가장 높은 자 (The highest men)
탁상 위의 공론가들 (Armchair Theorists)
입만 살아있는 자 (Just Talker)
분류 정부 기관
모토 평화로 이어지는 단결
Unity Leading to Peace
창설 2049년 6월 23일
창설자 미상
수장 연방 총장
오스트레일리아 7대 알버트 D. 헨드릭스
본부 센트럼 연방, 센티앤달리, 세계연방총회장
소속 센트럼 연방정부
하위 조직 센트럼 연방정부 삼권각부
스포일러
등장 작품 오펜시브
오펜시브:업라이징
오펜시브:마지노선
세계연방총회
General Assembly
'탁상 위의 공론가들'
"평화로 이어지는 단결"
Unity Leading to Peace

개요

General Assembly/세계연방총회
오펜시브 확장 유니버스에 등장하는 집단 중 하나이자 센트럼 연방의 중앙 정부 집단.

상세

센트럼 연방정부의 수뇌부와 같은 존재들로서 삼권각부인 입법, 행정, 사법 삼권보다 더 위에 있는 상위 존재들이다. 한마디로 센트럼 연방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인물들. 센트럼 연방의 핵심이자 주요 의사결정기구로서 연방 내의 최고 결정을 내리는 총회기구라고 볼 수 있다. 구성은 제 3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뉴펜젠스 협정 당시 세계연방총회에 가입한 회원국들이며 해당 국가의 대표인 혹은 대표단으로 뽑힌 이들로 구성되어 있다. 칭호는 '국회장'으로서 예를 들어 미국의 대표로 뽑힌 정치인이라면 '미국 국회장'이라고 불린다.

주로 연방에서 중대한 사안으로 다뤄지는 것들을 최종적으로 결정하고 의결하는 기구다. 주로 연방 안보에 관련된 사안, 법률 및 제도 제정, 연방총장 선출, 주 정부의 심의와 재재 등을 다룬다. 특히 센트럼 연방이 원활하게 굴러가는 데에 있어 삼권각부를 조율하여 법과 규범, 법률 및 제도 제정에 매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삼권각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는 중앙집권 정부이기 때문에 이들의 결정이 있어야만 법률이 통과가 되며 세계연방총회 내에서도 채택 대기 중인 법률과 결의안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참석국의 2/3 이상의 찬성 표가 필요하다. 모든 표결과 의사결정은 다수결의 원칙을 따른다는 의미.

때문에 '연방제' 국가임에도 세계연방총회의 센트럼 연방 체제는 '중앙집권국가' 성향이 매우 강한 국가다. 사실상 센트럼 연방정부의 최고 결정 기구면서도 다른 주 정부에 대해 겉으로는 '권고'의 성격을 띈다고 표방하나 실질적으로는 거의 반강제적으로 강할 정도의 구속력을 지닌 제안을 내릴 수 있다. 심지어 때로는 아예 반드시 이행해야만 하는 구속력 있는 결의안 결정 권한까지 가지고 있다.

연방총회의 위원국은 초기엔 승전국으로 구성되어있었으며 점차 UN처럼 국가가 하나둘씩 연방총회의 회원국이 된다. 만약 그 국가의 대통령이 생존해있지 않더라도 그 국가의 국방부장관이든 국장이든 그 국가를 대표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회원국의 대표로서 나설 수 있다. 거의 모든 국가가 회원이라고 봐도 무방한데 심지어는 전쟁 당시 모스크바 조약기구 소속이였던 패전국 국가들도 회원국으로 자리잡아있다. 하지만 이 같은 경우에는 전쟁 당시 연합군에 가세한 세력이거나 조약기구에 우호적이지 않았던 세력이 그 국가의 대표부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시간이 감에 따라 각 국가간의 의견 충돌로 제대로 된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가면 갈수록 선택에 대한 부재와 영향력을 잃게 되었고, 결국 센트럼 연방군 마저 빈약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센트럼 연방 내의 치안과 연방군을 가장 신뢰가 높은 기업인 가일란트 코퍼레이션에게 권한을 대행하게 했다.

산하 구조

세계평화연방이사회 (변경 예정)

세계평화연방이사회(World Peace Council)는 센트럼 연방의 기본 임무인 세계 평화의 유지와 안보를 담당하는 핵심 기구로 센트럼 연방의 안보와 관련된 사안을 다룬다. 연방의 질서를 구축하고 세계 평화를 유지하여 다시 과거 전쟁과 같은 참상을 막기 위함을 따른다.

이사회의 결정은 주로 센트럼 연방의 안보와 평화 유지를 목적으로 하고 있기에 실질적인 센트럼 연방군도 이 이사회의 승인이 있어야만 구성을 할 수 있다. 이사회의 구성은 승전국 위주로 이루어져있으며 주로 프랑스, 영국, 미국 , 한국, 독일 등 연합국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승전국 패전국 할 것 없이 거의 모든 국가가 모인 세계연방총회와 달리 이사회는 러시아와 중국과 같은 제 3차세계대전의 패전국, 핵전쟁을 유발한 국가, 분쟁 지역이거나 갈등 사이가 나쁜 국가 출신들은 해당 이사회에 가입할 수 없는 암묵적인 룰이 있다.

가일란트 위원회

가일란트 위원회(Gailant Council)은 가일란트 코퍼레이션이라는 기업이 국가들의 위원인 세계연방총회에 기업 최초로 가입하며 구성되어진 위원회이다. 전쟁 직후 난민 지원과 도시 피해 복구 작업을 무상으로 도와온 기업으로서 이 공로를 인정받아 세계연방총회의 가입 자격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 빈약하고 괴이한 센트럼 연방군을 대신하여 센트럼 연방 내의 군사력과 안보. 치안을 담당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가일란트 위원회 문서 참고.

세계연방총회 위원국 대표

연방총회 위원국 대표
[ 펼치기 · 접기 ]
연방총장
레볼츠와 델로레7대알버트 D. 헨드릭스권한대행[1]아드리앙 르네 데샤넬8대
연방부총장
알버트 D. 헨드릭스6대→공석7대→???8대
연방총리
서튼 그레이6대→공석7대→???8대
미국 스콧 거스틴 영국 맥스 린드웰 독일 나디아 디트리히틴 프랑스 아드리앙 르네 데샤넬
대한민국 신성준 이탈리아 막시모 굴로타 핀란드 라우라 매엔패 일본 야마자키 타카유키
스위스 다비트 비에스네커 덴마크 툰베르 알베르손 캐나다 빅터 레이놀즈 오스트리아 토비아스 지너
벨기에 샤를 마뉴 스페인 라이아 산호세 러시아 로만 베즈루코프 루마니아 알레크 디아 코우
룩셈부르크 스타드 무츠쉬 뉴질랜드 클라이브 투위 아일랜드 마이클 킬리언 포르투갈 조아킹 자네이루
우즈베키스탄 차혼가르 오조코프 스웨덴 한드쇠 융그드르손 아프가니스탄 페로즈 실만 폴란드 일로나 젤렌스키
벨라루스 마르크 알롭스키 크로아티아 르네 쇼바고비치 호주 제프리 스웨이츠 홍콩 조주룡
마카오 링펑웨이 중화민주공화국 주이천 그리스 르노스 보야지스 체코 이리 베리흐
몰디브 아브리힘 나심 노르웨이 리네 토르프 싱가포르 피에르 한 베트남 타인니
이스라엘 줄리아노 크놀레르 멕시코 아론 가르시아 케냐 키런 카테지 이집트 아흐메드 샤리프
대만 전위옌 태국 마리오 윙트라쿨 헝가리 아틸라 이슈트반 아르헨티나 루이사나 폰세
몽골 바르후 카자흐스탄 티무르 버릭 나이지리아 하킴 론즈데일 인도네시아 무함마드 우웨이스
아이슬란드 잉그바르 르마르키 브라질 헤나투 와그너 칠레 네스터 카브레라 필리핀 엔리케 어구스틴
우루과이 조나단 수아레스 사우디아라비아 아흐메드 엘마레 남아공 스텔리오 보슬루 우크라이나 그레고리 페도로
파키스탄 쿠마일 셰이크 에티오피아 케타네 베켈레 인도 우단타 타파 가일란트 코퍼레이션 도미닉 가일란트


 각주
  1. 전 총장 레볼츠와 델로레 사망으로 인한 권한대행이었다가 본격적으로 승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