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트럼 연방정부

현재 OEU의 별점은
5점 〕

-별점 주기-
현재 정비, 보강 혹은 추가 중인 내용입니다.
해당 문서, 혹은 문단은 설정 변경, 보강을 위한 정비 작업 중인 글입니다.
문서나 문단의 내용이 정확하지 않거나 중간에 공백, 혹은 어울리지 않는 내용이 담겨져 있을 수도 있는 점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모바일 기기의 열람을 감지했습니다.
OEU 문서는 PC에서의 열람을 권장합니다.

 오펜시브 시리즈 이전 정부 체제인 세계연방총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세계연방총회 문서 참고.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호 · 세레니티
역사 역사 전반 · 태평양 대지진 · 루베르 레이지 화산 대폭발 · 제 3차세계대전 (뉴펜젠스 협정 · 엑소더스 작전) · 가일란트 연방 독재 집권기 · 센트럼 해방 전쟁 (1차 · 2차 · 앰배서더스 전쟁) · 선구자들 사태 · 심판의 날 전쟁
정치 센트럼 연방정부 · 테라티움 하우스 · 세계연방총회 (선구자들 · 원더랜드 계획) · 가일란트 위원회 (연방재건최고의회) · 연방 의회 (상원 · 하원) · 연방 행정각부 · 주 정부 · 행정구역 ( · 지역 목록 · 센티앤달리 · 주요 도시 · 군소제도 · 기타 지역) · 연방총장 · 연방부총장 · 연방 총리 · 연방 하원의장 · 연방대법원장 · 주지사
경제 이스카야 연합
치안과 사법 치안 전반 · 치안 경보 (출입 통제 구역) · 연방대법원 · 센트럼 경찰국 · ZEAL · 크리티컬 트루퍼 · 연방수사국 · 중앙정보수사국 · 오라클 시스템 · 범죄 조직 · 벤트렉스 수용구
국방 센트럼 연방 국방부 (헥사곤 · 편제) · 센트럼 연방군 · 육군부 · 공군부 · 해군부 · 계급 · 역사 · 훈장
가일란트 연방보안군(편제) · 연방통제사령부 · 임페라토르 근위군단 · 켄투리오 특전단 · 예거스 고등보위헌병단 · 가일란트 보안수사국 · 통합안보작전집단군 · 계급
육군 · 공군 · 해군 · 해병대 · 합동참모본부 · 해안경비대 · 주방위군 · 통합전투사령부 · 국토전략안보국 (섹션 8 · 크라이시스) · 센트럼 해방 전선 (센트럼 해방 합종군) · 블랙 센티넬
문화 문화 전반 · 하이퍼폴리스 (센트럼 5대 도시) · 기업
지리 디베다 코스타 산
기타 오펜시브 확장 유니버스 (세계관 문서 목록) · 국적 계열 · 치안 유지 사업 · 보이드러너 · 해결사
센트럼 연방정부
Federal Government of the Centrum
국기 휘장
국가 센트럼 연방 센트럼 연방
수립일 2049년 6월 15일
구성 세계연방총회 중앙 정부
가일란트 연방재건집정정부
3부 연방 각부
  • 연방 행정각부
  • 연방 의회 (상원·하원)
  • 연방대법원 (연방 지방·항소법원)
대표 연방총장 (국가원수, 정부수반)
연방부총장상원의장 (센트럼 상원 수장)
연방 총리 (연방 내각 수장)
하원의장 (센트럼 하원 수장)
연방대법원장 (센트럼 연방법원 수장)

개요

센트럼 연방정부(Federal Government of the Centrum) 혹은 센트럼 세계평화의회연방정부센트럼 연방의 연방정부를 가르킨다. 41개의 주가 연방 헌법의 존재 아래 연방국을 이루고 있는 센트럼 연방은 주 정부와 연방정부가 별개로 존재하며 입법, 사법, 행정의 삼권 역시 주와 연방에 따로 존재한다. 연방정부의 수장은 센트럼 연방총장이며, 주 정부의 수장은 센트럼 연방 주지사다.

상세

센트럼 연방에서 연방정부란 삼권을 아우르는 국체로서의 연방을 가르키며, 그 아래에 대등한 부처로서 센트럼 연방총장과 참모, 행정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연방 행정부(행정)연방 의회(입법), 연방대법원(사법)이 존재한다. 총장의 바뀜에 따라 정권을 구분할 때에는 연방총장의 이름을 사용하여 '○○ 행정부'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행정부의 2인자인 센트럼 연방부총장은 의원의 정족수와 임법부에 대한 견제를 사유로 센트럼 연방 상원의장을 겸직한다. 연방총장과 부총장은 각각 대통령과 부통령에 해당되는 직책인데 센트럼 연방에는 센트럼 연방 총리가 존재한다. 연방 총리는 총장과 부총장을 제외한 내각의 수장으로서 내정과 관련된 정책을 주로 관리하며 일상적인 정부 운영을 감독한다.

역대 연방 정부 요인


역대 연방정부 요인
[ 펼치기 · 접기 ]

센트럼 연방총장
초대
미국 로스 A. 맥페일
2대
미국 조 던리비
3대
프랑스 조르주 데샤넬
4대
독일 밀레나 블라이프트로이
5대
노르웨이 요르겐 외이가르덴
6대
대한민국 홍기준
7대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볼츠와 델로레
8대
프랑스 아드리앙 르네 데샤넬

센트럼 연방부총장
초대
영국 티모시 G. 무니햄
2대
포르투갈 이젠리오 호르타
3대
이탈리아 클라라 디마르코
4대
일본 카나메 마사유키
5대
베네수엘라 가비 콘치타 벨라스케즈
6대
폴란드 즈비그니에프 루바젠코
7대
오스트레일리아 알버트 D. 헨드릭스
8대
캐나다 셔네이 로 해그퀴스트

센트럼 연방 총리
초대
독일 토비아스 폰 밀베르크
2대
싱가포르 코린 탄 리 엄
3대
타이완 진지상
4대
에콰도르 모이세스 아레아가
5대
우루과이 호세 펠리페 데라크루스
6대
프랑스 뤼시 안 뒤부아
7대
미국 서튼 그레이
-

센트럼 연방 하원의장
초대
미국 에밀리 코트
2대
캐나다 뤽 드 크레포
3대
오스트리아 카림 바움가르트너
4대
이라크 몬타데르 알암마리
5대
프랑스 쥘 추아메니
6대
스페인 (동음이의) 바르바라 구티에레스 가고
7대
대한민국 남궁도희
8대
볼리비아 루이스 비야로엘
9대
페루 크리스토페르 페냐
10대
우크라이나 (동음이의) 갈리나 그리고렌코
11대
홍콩 양부성
12대
뉴질랜드 클레이튼 바바루시스
13대
스웨덴 (동음이의) 시그네 쇠데르바움
14대
러시아 마트베이 솔다텐코프

센트럼 연방대법원장
초대
그리스 오디세아스 하치디아코스
2대
아르헨티나 (동음이의) 레안드로 맥 알리스터
3대
인도 수닐 싱 산두
4대
스위스 얀 라시오피

구성

세계연방총회

오펜시브 시리즈 이전까지 존재한 연방 수뇌부 체제.
 자세한 내용은 세계연방총회 문서 참고.

연방정부 삼권각부

센트럼 연방 의회

상원
하원

연방 행정부

내각
연방행정조직

[ 펼치기 · 접기 ]
재무부 법무부 국방부
국세청 경제정책국 크레딧감독조정국 금융정보국 연방금융은행 연방증권거래위원회 연방조폐인쇄국 연방금융보호국 재무지원국 조세행정감찰국 연방저축투자기구 연방경제협력개발청 센트럼 검찰청 연방수사국 (★) 연방보안국 연방교정국 연방법률위원회 위험물종합단속국 중대부패수사국 사법법률지원국 마약단속통제국 중대범죄예방사무국 범죄피해자지원국 연방정책위원회 육군부 (★) 공군부 (★) 해군부 (★)
센트럼 연방군 (★) 합동참모본부 (★) 연방안보집행국 국방정보국 연방정찰국 국방계약관리국 국방병참국 국방보건국 국방정보체계국 고등군사기술연구계획국 국방경제조정국 헥사곤방호국 센티앤달리본부관리국 연방보훈청
내무부 농무부 상무부
센트럼 경찰국 (★) 센트럼 소방국 연방재난안전관리청 수도사업관리국 연방안전위기대응국 안전환경규제국 국립공원관리청 농업진흥국 산림청 식품영양청 농업연구청 식품안전검사국 농업유통국 농림축산검역본부 농업통계국 자연자원보호국 경제정책개발국 경제분석국 특허상표청 경쟁시장관리국 공정거래관리국 인구조사국 연방기업관리위원회 산업안보국 연방표준기술정보국 통신정보관리국 연방국제표준화위원회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 과학기술개발국
환경부 노동부 에너지자원부
토지관리국 지질조사국 연방기상청 연방환경보호국 환경계획보존청 자연보전연맹 야생동식물관리청 연방노동정책국 산업안전관리국 통합고용정책국 노동통계국 연금지급보증공사 연방산업계약사무국 근로자보상소청위원회 직업능력교육청 센트럼 전력국 에너지관리국 에너지과학연구국 에너지정보감찰국 원자력안전관리국 에너지규제관리국 가스전력관리국 센트럼전력관리공사
교육부 보건복지부 국토건설부
교육정보청 교육표준사무국 교육자치협력국 교육혁신개선청 연방교육평가통계센터 특수교육재활센터 중등교육부 센트럼 공공보건국 아동가족청 식품의약국 질병통제관리본부 질병예방대응국 지역사회보건관리국 건강보험관리청 약물중독정신보건국 센트럼전쟁난민보건본부 연방항공청 연방철도청 연방고속도로청 연방광역교통관리국 연방운송회사안정청 연방대중교통청 고속도로교통안전공사 항공교통본부 연방주택도시개발국 연방주택금융청
문화부 연방안보부 문명회복부
문화예술정책국 연방문화진흥국 연방관광정책국 문명유산관리본부 국토전략안보국 (★) 국토안보정보분석국 사이버보안시설안보국 연방법집행훈련센터 비밀임무국 연방해안경비국 재해경감전략국 연방해안경비국 연방외지탐사국 연방해양조사국 문명복구연구청
연방정부 독립기관
중앙정보수사국 (★) 연방통신관리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화생방위협대응관리국 항공우주국 연방인권위원회 연방선거관리위원회 평화봉사단
★: 문서가 있는 항목
15부
  • 재무부
    • 국세청
    • 경제정책국
    • 크레딧감독조정국
    • 금융정보국
    • 연방금융은행
    • 연방증권거래위원회
    • 연방조폐인쇄국
    • 연방금융보호국
    • 재무지원국
    • 조세행정감찰국
    • 연방저축투자기구
    • 연방경제협력개발청
  • 법무부
    • 센트럼 검찰청
    • 연방수사국
    • 연방보안국
    • 연방교정국
    • 연방범률위원회
    • 위험물종합단속국
    • 중대부패수사국
    • 사법법률지원국
    • 마약단속통제국
    • 중대범죄예상사무국
    • 범죄피해자지원국
    • 연방정책위원회
  • 내무부
    • 센트럼 경찰국
    • 센트럼 소방국
    • 연방재난안전관리청
    • 수도사업관리국
    • 연방안전위기대응국
    • 안전환경규제국
    • 국립공원관리청
  • 농무부
    • 농업진흥국
    • 산림청
    • 식품영양청
    • 농업연구청
    • 식품안전검사국
    • 농업유통국
    • 농림축산검역본부
    • 농업통계국
    • 자연자원보호국
  • 상무부
    • 경제정책개발국
    • 경제분석국
    • 특허상표청
    • 경쟁시장관리국
    • 공정거래관리국
    • 인구조사국
    • 연방기업관리위원회
    • 산업안보국
    • 연방표준기술정보국
    • 통신정보관리국
    • 연방국제표준화위원회
    •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
    • 과학기술개발국
  • 환경부
    • 토지관리국
    • 지질조사국
    • 연방기상청
    • 연방환경보호국
    • 환경계획보존청
    • 자연보존연맹
    • 야생동식물관리청
  • 노동부
    • 연방노동정책국
    • 산업안전관리국
    • 통합고용정책국
    • 노동통계국
    • 연금지급보증공사
    • 연방산업계약사무국
    • 근로자보상소처위원회
    • 직업능력교육청
  • 에너지자원부
    • 센트럼 전력국
    • 에너지관리국
    • 에너지과학연구국
    • 에너지정보감찰국
    • 원자력안전관리국
    • 에너지규제관리국
    • 가스전력관리국
    • 센트럼전력관리공사
  • 교육부
    • 교육정보청
    • 교육표준사무국
    • 교육자치협력국
    • 교육혁신개선청
    • 연방교육평가통계센터
    • 특수교육재활센터
    • 중등교육부
  • 보건복지부
    • 센트럼 공공보건국
    • 아동가족청
    • 식품의약국
    • 질병통제관리본부
    • 질병예방대응국
    • 지역사회보건관리국
    • 건강보험관리청
    • 약물중독정신보건국
    • 센트럼전쟁난민보건본부
  • 국토건설부
    • 연방항공청
    • 연방철도청
    • 연방고속도로청
    • 연방광역교통관리국
    • 연방운송회사안정청
    • 연방대중교통청
    • 고속도로교통안전공사
    • 항공교통본부
    • 연방주택도시개발국
    • 연방주택금융청
  • 문화부
    • 문화예술정책국
    • 연방문화진흥국
    • 연방관광정책국
    • 문명유산관리본부
  • 연방안보부
    • 국토전략안보국
    • 국토안보정보분석국
    • 사이버보안시설안보국
    • 연방법집행훈련센터
    • 비밀임무국
    • 연방해안경비국
    • 재해경감전략국
    • 연방해안경비국
  • 문명회복부
    • 연방외지탐사국
    • 연방해양조사국
    • 문명복구연구청
연방정부 독립기관
  • 중앙정보수사국
  • 연방통신관리국
  • 연방준비제도이사회
  • 화생방위협대응관리국
  • 항공우주국
  • 연방인권위원회
  • 연방선거관리위원회
  • 평화봉사단

사법부

연방대법원

주 정부

 자세한 내용은 주 정부 문서 참고.

기타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