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브러햄 링컨 (신대륙)

Anonymous (토론)님의 2022년 6월 30일 (목) 13:07 판 (새 문서: {{신대륙의 황제국}} {{역대 미국 총리}}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700f1e; width: 100%; text-align: center" ! style="font-size:10pt; background-image:...)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 Communist 1968, 2022 | CC-0

미국 총리
[ 펼치기 · 접기 ]
조지 1세
초대 제2대 제3대
벤저민 프랭클린 토마스 제퍼슨 존 애덤스
리처드 1세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존 애덤스 제임스 매디슨 조지 클린턴 알렉산더 해밀턴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임스 먼로 제임스 매디슨 드위트 클린턴 티모시 피커링
제11대
존 마셜
리처드 2세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임스 먼로 존 퀸시 애덤스 앤드루 잭슨 마틴 밴 뷰런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존 C. 칼훈 리처드 멘터 존슨 윌리엄 해리슨 존 타일러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재커리 테일러 밀러드 필모어 프랭클린 피어스 제임스 뷰캐넌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퍼슨 데이비스 에이브러햄 링컨 앤드루 존슨 에이브러햄 링컨
조지 2세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에이브러햄 링컨 율리시스 그랜트 러더퍼드 헤이스 제임스 가필드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새뮤얼 틸던 체스터 아서 그로버 크리블랜드 밴저민 해리슨
조지 3세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밴저민 해리슨 그로버 크리블랜드 윌리엄 매킨리 시어도어 루스벨트
제38대 제39대
윌리엄 태프트 우드로 윌슨
에드워드 1세
제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우드로 윌슨 워런 G. 하딩 캘빈 쿨리지 허버트 후버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
찰스 G. 도스 프랭클린 루스벨트 해리 S. 트루먼 토마스 E. 듀이
제47대 제48대 제49대
로버트 A. 태프트 조지 C. 마셜 넬슨 록펠러
에드워드 2세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넬슨 록펠러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리처드 닉슨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헨리 키신저 피에르 트뤼도 로널드 레이건 피에르 트뤼도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마이클 두카키스 조지 H. W. 부시 빌 클린턴 앨 고어
해럴드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앨 고어 조지 W. 부시 존 매케인 버락 오바마
제64대 제65대 제66대 제67대
밋 롬니 힐러리 클린턴 마이크 펜스 쥐스탱 트뤼도
리처드 3세
제67대 제68대
쥐스탱 트뤼도 피트 부티지지
미국 국왕 · 미국 황제
에이브러햄 링컨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미국 제25대 총리
에이브러햄 링컨
Abraham Lincoln
출생 1802년 2월 12일
캐롤라이나주 켄터키 호젠빌
사망 1881년 6월 30일 (향년 79세)
캘리포니아 준주 오레건 포틀랜드
재임 기간 제25대 총리
1860년 1월 20일 ~ 1865년 8월 20일
제27대 총리
1866년 2월 13일 ~ 1870년 2월 23일
초대 노동권리청장
1873년 5월 30일 ~ 1879년 12월 4일
서명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토머스 링컨
어머니 낸시 행크스 링컨
배우자 메리 토드 링컨
자녀 슬하 4남
학력 초등학교 중퇴[1]
종교 개신교 (침례회)[2]
혈통 영국계
의원 선수 4
의원 대수 18, 23, 24, 25
선거구 오대호 일리노이 제7구
소속 정당 무소속
약력 일리노이 프로빈스 의원
미국 서민원 의원
미국 총리
미국 부총리
노동청장

개요

미국의 정치인. 제25대 총리를 역임하였다.

평생을 인종 평등과 노동자 인권 운동에 투신하였으며 제2차 미영전쟁을 승리로 이끈 전설적인 정치인이다. 역대 모든 총리중에서 프랭클린 루스벨트, 피에르 트뤼도와 더불어 가장 고평가받으며 미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 순위에서도 미국의 국부라 할 수 있는 조지 1세와 1위를 다툰다. 좌우를 가리지 않고 인기가 높은데, 우익 진영에서는 제2차 미영전쟁 당시의 영웅적인 전시 총리로서의 역할을, 좌익 진영에서는 종종 미국 사회주의의 시초로 여겨지는 그의 노동 운동을 주목하며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루 그 업적을 인정받고 있다.

생애

낙선으로 점철된 초기 정치 인생

총리로 당선되다

제2차 미영전쟁의 전시 총리

두번째 총리 임기

말년의 노동운동

평가

사회주의자였는가?

소속 정당

선거 이력

여담


  1. 역대 미국 총리중 가장 학력이 낮은 사람이다.
  2. 무신론자였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특정 교단에만 속해있지 않았을 뿐, 복음주의 기독교 자체는 말년까지 믿은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