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보다 강한 내구력 또는 재생력으로 적의 공격을 받아도 실질적인 피해가 덜할 수 있는 이들. 적의 공격을 받아내는 것 외에도 신체적 특징으로 근접전에 능한 것도 강점이다.
메인 딜러
다른 원거리 딜러들과 구조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지만 에고나 출력의 차이로 남들보다 훨씬 강한 화력을 낼 수 있는 이들. 강한 화력이 중점이기 때문인지 구성원 모두가 개화자다. 단순히 개화자여야만 하는 게 아니라 작품 내에서 꾸준히 독보적으로 에고의 출력이나 화력이 강하다는 묘사가 있었어야 한다. 때문에 다른 원거리 딜러도 모두 개화자임에도 메인 딜러는 아니다.
원거리에 취약하여 근접전이 (반)강제되나 탱커만큼 적의 공격을 큰 피해 없이 받아내기 어려운 이들. 주로 탱커의 사각에서 정교하고 치명적인 근접 공격을 한다. 고이준의 경우처럼 이능력 자체는 원거리 딜러에 가까워도 본인의 활용 및 전투 스타일에 따라 서브 딜러로 분류되기도 한다.
보조형 원거리 딜러
메인 딜러만큼 강력한 화력을 낼 수는 없지만 직접적인 공격이 아니더라도 원거리에서 여러 방면으로 적을 방해하고 제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들.
개별 문서가 생성된 이능력자의 이능력만 기재함. 단, 서하진은 주요 인물(러너)이므로 예외로 기재함.
개화 능력은 기재하지 않음. 정확히는 개화 능력이 기존 이능력의 분류와 상이한 경우 추가 기재하지 않음. 개화의 효과로 인해 개화 이후 기존 이능력이 쭉 다른 분류에 적합할 정도로 변화한 경우는 기재함. 기존 이능력은 전혀 관련이 없으나개화 능력이 시간의 갈림길과 연관이 있는, 즉 갈림길의 능력이라면 예외로 개화의 분류를 함께 적용함.
기존의 이능력을 다른 분류의 것과 유사하게 응용할 수 있는 경우(ex: 에어로키네시스의 혈류 가속: 원소계 → 증강계, 마스터 마인드의 자기 암시: 정신계 → 증강계 등)는 중복 기재하지 않음. 오로지 본래 이능력 자체로써의 기능으로만 분류.
강제로 입력할 수 있는 탄력의 한계가 높음. 탄력의 경우에는 충격력이나 속도로 환산될 수 있는 수치이기 때문에, 그 잠재력이 기대됨. 또한 응용력과 별개로 능력 사용에 익숙하고 숙련도가 있음.
선입력 / Pre-command (현상계, 증강계)
푸른 빛의 눈으로 능력을 사용할 곳을 주시하면서 머릿속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자신의 움직임은 짜여진 시나리오대로만 고정되어 진행된다. 시나리오 진행 중 갑작스러운 상황 발생, 혹은 장애물이나 어떠한 물질로 인하여 방해될 경우 그 상황에서 선입력했던 시나리오는 종료되고 패널티를 받는다. 능력은 그 시점부터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의도되지 않은 상황을 포함하여 눈을 감았을 시에도 시나리오는 강제 종료된다.
시나리오 작성 시 자신의 신체 능력이 따라가지 못할 정도의 행동을 장입하여도 강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1]
신체 능력이 따라가지 못하는 시나리오의 진행이 끝났을 경우에, 그 행동을 위해 겪어야만 할 통증과 피로를 단숨에 받는다. 이 패널티는 시나리오가 방해받았을 경우에도 적용된다. 단, 부상 시에도 시나리오는 얼마든지 진행할 수 있지만 치료를 할 순 없다.
여러모로 주술회전의 투사주법이 떠오르는 능력. 대상이 자신에게만 한정되어 있다고 하면 거의 일치한다.
전투력
기타
↑ex) 높은 벽을 재빠르게 타고 넘어간다. / 눈 앞에 있다가도, 단숨에 상대방의 뒤에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