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갈라드

갈라드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7월 19일 (금) 22:12 판 (→‎11)
  • 제이위키의 상당수 표들은 모바일 환경에서는 잘림
  • 모바일 환경, 데스크톱과 랩탑등 화면의 다양한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잘리는 부분 없이 적용 가능을 추구

0-1

대한국 제후왕
[ 펼치기 · 접기 ]
동녕왕 東寧王
초대
명고왕
2대
연호왕
3대
유진왕
송악왕 松岳王
초대
명고왕
2대
연호왕
3대
유진왕
2대
연호왕
3대
유진왕
평양왕 平壤王
초대
명고왕
2대
연호왕
3대
유진왕
2대
연호왕
3대
유진왕

1

대연국
북천보호령 (北天保護領)
大燕國 | Protectorate of Beitian
국기 국장
광명천지
光明天地
상징
국가 애국가
국화 오얏꽃
역사
• 1941년 9월 7일 북천보호령 설립
• 1988년 5월 1일 무진조례 반포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베이핑
최대도시
면적 km2
접경국 대한국, 중국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1급 행정단위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전체 인구 50,174,649명(2020)
민족 구성 한족 86.7%, 한국계 10.2%, 기타 민족 3.1%
인구밀도 43.74명/km2
언어 공용어 표준한국어, 표준중국어
상용어 몽골어, 만주어
종교 국교 없음
무종교 43.2%, 불교 30.6%, 개신교 7.8%, 가톨릭 6.3%, 이슬람교 3.5%, 기타 종교 8.6%
군사
없음
(대한국 국군이 대행)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국가 산하의 보호령, 의원내각제, 양원제, 다당제, 성문법주의(대륙법계)
국가원수
(대한국 황제)
선덕제
총독 예성근
정부요인 중추원 의장 쭝위화
국민원 의장 펑시샹
대법원장 임세건
헌법재판소장 위은용
경제
[ 펼치기 · 접기 ]
명목 GDP 전체 GDP 13조 654억$(2020)
1인당 GDP 53,192$
GDP(PPP)
전체 GDP 13조 9017억$(2020)
1인당 GDP 56,597$
화폐 한국 원(KRW, ₩)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선덕(宣德), 서력기원
시간대 UTC+7 (서부 시간)
UTC+8 (중부 시간)
UTC+8:30 (황도 표준시)
UTC+9 (북강 시간)
UTC+10 (사할린 시간)
UTC+11 (동강 시간)
도량형 SI 단위계
외교
[ 펼치기 · 접기 ]
유엔 가입 1945년
수교국 194개국
ccTLD
.kr, .한국
국제 코드
416, KOR, KR
국제 전화 코드
+82


4

2021년 대한국 전국동시지방선거
2017년 6월 7일
10회 지선
2021년 6월 2일
11회 지선
2025년 6월 4일
12회 지선
투표율 67.6% ▲ 8.1%p
성부급 정부수반 선거 결과
[ 펼치기 · 접기 ]
정당 당선자 수 비율
국민당 3명 18.75%
대한공산당 13명 81.25%
성할 지방정부장 선거 결과
[ 펼치기 · 접기 ]
정당 당선자 수 비율
국민당 10명 29.41%
대한공산당 21명 61.77%
사회민주당 3명 8.82%
기초 지방정부장 선거 결과
[ 펼치기 · 접기 ]
정당 당선자 수 비율
국민당 10명 29.41%
대한공산당 21명 61.77%
사회민주당 3명 8.82%



7

대한국 8대 황제
고종 신황제 | 高宗 神皇帝
묘호 고종(高宗)
시호 효명개선순덕현제의헌각혜성리목영신황제
(孝明改善順德賢齊義獻恪惠聖理穆榮神皇帝)
칸호
ᠰᠢᠨᠡᠯᠢᠭ ᠥᠷᠦᠰᠢᠶᠡᠯᠲᠦ

시닐락 어르셜트
출생 2000년 10월 8일
황도특별시 대한구 황도국립병원
승하 2105년 2월 20일 (104세)
황도특별시 평안궁 헌유원 평천각
능묘 주릉(周陵)
재위 대한국 황태녀
2019년 9월 12일 ~ 2019년 12월 31일
조선왕
2019년 9월 12일 ~ 2044년 12월 31일
대한국 황제
2020년 1월 1일 ~ 2079년 12월 31일
대한국 태상황
2080년 1월 1일 ~ 2105년 2월 20일
연호 선덕(宣德)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全州)
이(李)
희(憙)
부모 부황: 상황 숭영제, 모후: 효연상황후
배우자 고신왕
자녀 영휘제외 1남 2녀
학력 대한한림원
황도대광여고
심양대학교 정치학(학사)


대한국 국서
고신왕 | 高神王
시호 선각현서유덕경헌순명공현고대왕
(宣恪玄徐裕德敬憲順明恭賢高大王)
→ 효문선각현서유덕경헌순명공용원명정고신대왕
(孝文宣恪玄徐裕德敬憲順明恭容元明定高神大王)
출생 1998년 10월 3일
대한성 파주시
출생 2088년 11월 6일
황도특별시 평안궁 명정전
재위 한왕
2027년 3월 3일 ~ 2088년 11월 6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 창녕(昌寧)
분파 상곡공파 (桑谷公派)
성(成)
연호 (演浩)
서홍 (舒弘)
송정 (松靜)
부모
배우자 고종 신황제
자녀
학력


8

대한국 폐태자
나해왕 | 羅海王
시호 강휴왕(荒携王)
출생 1991년 7월 5일
황도특별시 평안궁 명정전
사망 2073년 6월 3일
대한성 함흥시
능묘 창해릉(滄海陵)
재위 대한국 황태자 겸 조선왕
2001년 3월 9일 ~ 2019년 7월 19일
[ 펼치기 · 접기 ]
작위 형친왕(亨親王)
나해왕(羅海王)
이(李)
표(标) → 준(準)
부모 부황: 소종 현황제, 모후: 정성현황후 서씨
배우자 나해왕비 임씨
자녀 2녀
학력 남천대학교 제적
대한국 폐태자
이표 | 李標
출생 1991년 7월 5일
황도특별시 평안궁 명정전
현재지 발해성 돈화시 돈화교도소
신분 기결수 (2019년 9월 13일 ~ 2026년 2월 12일)
재위 대한국 황태자
2001년 3월 9일 ~ 2019년 7월 19일
[ 펼치기 · 접기 ]
작위 조선왕(朝鮮王)
한성공(漢城公)
이(李)
표(标 → 標[1])
부모 부황: 숭영제, 모후: 효연상황후
배우자 임서림
학력 남천대학교 제적


10

고려 제32대 국왕
회민왕 | 懷愍王
시호 회민왕(懷愍王)
출생 1365년 7월 25일
고려 개경
사망 1389년 12월 31일
고려 교주 강릉도 강릉부
(現 대한국 강릉시)
재위 제32대 국왕
1374년 9월 25일 ~ 1388년 6월 8일 (음력)
[ 펼치기 · 접기 ]
본관 개성 (開城)
왕 (王)
우 (禑)
부모 부왕: 공민왕
모비: 순정왕후 / 친모: 반야
배우자 근비(謹妃), 영비(寧妃), 현비(賢妃)
군호 강령부원대군(江寧府院大君)
왕호 전폐왕 (前廢王)
우왕 (禑王)


고려 제33대 국왕
상양왕 | 殤襄王
시호 상양왕(殤襄王)
출생 1380년 9월 6일
고려 개경
사망 1389년 12월 31일
고려 강화부
(現 대한국 강화군)
재위 제33대 국왕
1388년 6월 9일 ~ 1389년 11월 15일 (음력)
[ 펼치기 · 접기 ]
본관 개성 (開城)
왕 (王)
창 (昌)
부모 부왕: 회민왕
모비: 근비 이씨
왕호 후폐왕 (後廢王)
창왕 (昌王)
윤왕 (允王)[2]


메인틀 연습

별빛 속으로
연표 | 타임라인 | 국가목록 | 사건목록

틀7

10

제42·43회 북해성 중추원의원
[ 펼치기 · 접기 ]

11


시에나 황제
[ 펼치기 · 접기 ]

12

이 문서는 분류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특수:분류에서 적절한 분류를 찾아 문서를 분류해 주세요!

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역대 전국대표대회
[ 펼치기 · 접기 ]
지하활동기
제1차
(1909년 10월 12일)
제2차
(1910년 4월 13일)
제3차
(1911년 2월 20일)
제4차
(1914년 6월 5일)
제5차
(1916년 8월 17일)
제6차
(1917년 12월 10일)
제7차
(1919년 7월 11일)
제8차
(1919년 10월 1일)
제9차
(1919년 12월 16일)
제10차
(1922년 9월 22일)
제11차
(1923년 3월 9일)
제12차
(1924년 6월 24일)
제13차
(1926년 7월 2일)
제14차
(1930년 6월 18일)
제15차
(1934년 6월 13일)
제16차
(1937년 7월 5일)
제17차
(1944년 11월 20일)
제18차
(1945년 8월 20일)
제19차
(1947년 4월 23일)
제20차
(1948년 6월 7일)
제21차
(1952년 6월 18일)
제22차
(1956년 6월 24일)
제23차
(1957년 2월 9일)
선거 참여 이후
제24차
(1958년 5월 6일)
제25차
(1959년 6월 13일)
제26차
(1963년 6월 17일)
제27차
(1967년 6월 14일)
제28차
(1971년 6월 16일)
제34차
(1973년 10월 2일)
제35차
(1977년 6월 15일)
제36차
(1979년 4월 1일)
제37차
(1982년 7월 20일)
제38차
(1985년 10월 6일)
제39차
(1986년 7월 25일)
제40차
(1989년 7월 4일)
제41차
(1993년 6월 16일)
제42차
(1997년 6월 18일)
제43차
(2001년 6월 12일)
제44차
(2005년 6월 15일)
제45차
(2007년 6월 13일)
제46차
(2009년 6월 17일)
제47차
(2011년 6월 15일)
제48차
(2013년 6월 12일)
제49차
(2015년 6월 17일)
제50차
(2017년 6월 14일)
제51차
(2019년 6월 12일)
제52차
(2021년 6월 16일)
제53차
(2022년 10월 5일)
대한공산당 제53차 전국대표대회
2021년 6월 16일
제52차
2022년 10월 5일
제53차
미정[3]
개회기간 2022년 10월 5일 ~ 2022년 10월 12일
장소 벡스코 제2전시관 (조선성 부산광역시)
대표보고자 유호준 (중앙위원장)
주요 의제 44대 국선 대비 지도부 재신임
  1. 폐서인 후 법정 인명용한자로 치환
  2. 사시
  3. 2026년 7월 전에 치러져야 한다.